[include(틀:다른 뜻1, other1=후한 말의 평론가, rd1=허소, other2=후한 말의 자객, rd2=허소(후한), other3=대한민국의 정치인, rd3=허소(정치인))] 許韶 (? ~ 174) [목차] [clearfix] == 개요 == [[고대]] [[중국]] [[후한]] 말의 인물로 [[허창(삼국지)|허창]]의 아들로 양주 회계군 출신. 후한서에서는 허생(許生)이라는 이름으로 나오며, 후한서 효영제기, 정사 [[손견]]전, 자치통감 등에 나온다. == 생애 == 172년에 회계에서 아버지 허창과 함께 무리를 모아 반란을 일으켰는데, 이 때 허소는 스스로 [[대장군]]을 칭했다가 양주자사 [[장민#s-1]]과 단양태수 진인의 공격을 받다가 174년 11월에 이들의 공격을 받아 참수되었다. 정사에서는 아버지 허창과 함께 구장에서 봉기한 것으로 나와 여러 현을 선동해 그 무리가 수만이었다고 하며, 이 때 손견이 오군에서 사마를 지내면서 용맹한 자들을 모집해 1천여 명의 군사로 공격하자 토벌되었다. 손견이 허창, 허소 부자를 토벌한 공적을 장민이 조정에 상주하자 손견은 염독현의 현승이 되었으며, 1천 명으로 진압된 것으로 볼 때 [[송건]]과 비슷하게 큰 세력을 보유하지 않다가 토벌된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양주 지방이 벽지 깡촌인 데다가 워낙 혼란해서 오랫동안 토벌되지 않던 송건과는 달리 강동에는 양양성, 장사성, 말릉성[* 후에 손권에 의해 건업성이 된다.] 등 대도시가 존재하는 데다가 손견이 옆에 있었기 때문에 급속도로 망해 손견의 명성만 올려줬다. == 미디어 믹스 == 일본의 소설인 吳 삼국지에서는 아버지 허창이 양명황제를 칭할 때 허소는 황태자로 세워졌으며, 손견이 출진했다는 소식이 전해질 때 허창에게 5천의 병사를 달라면서 그들의 배후로 돌아가 단번에 무너뜨리겠다고 했지만 허창은 손견의 기세가 등등해 농성하는 것이 좋다고 이를 받아들이지 않았다. 결국 손견에 진압될 때 허소는 어떻게 죽었는지 나오지 않았지만 무사하지 못했다는 것으로 죽었다고 언급된다. [[삼국지를 품다]]에서 게으름 피우다가 손견에게 기습을 받아 도망쳤으며, 손견이 허창을 공격하자 이 사실 때문에 아버지 허창에게 못난 놈이라는 소리를 들으면서 이기지 못하면 아들도 아니라는 소리를 듣고 손견과 싸우러 나갔다가 전사한다. [각주]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허소, version=159, paragraph=2)] [[분류:후한의 인물]][[분류:174년 사망]][[분류:참수된 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