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개요 == 시인 [[정지용]]이 일본에서 유학 생활을 할 때 고향을 그리워하며 쓴 시이다. 현재 고등학교 1학년 교과서에도 등재되어 있으며 우리말의 풍부한 구사, 다양한 감각적 이미지로 고향에 대한 그리움을 나타낸다. 작품에서 유년의 추억과 평화롭고 아늑한 분위기를 느낄 수 있다. 역대 [[필적확인란 문구]] 중 가장 많이 등장한 시로, [[수능]]에만 3회, [[모의평가]]까지 포함하면 총 5회 나왔다. == 원문 == ||{{{#!wiki style="text-align: center" {{{+2 '''향수'''}}} {{{-2 정지용}}}}}} ---- [[2007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넓은 벌 동쪽 끝으로]] 옛이야기 지줄대는 실개천이 회돌아 나가고, 얼룩백이[* 2015 개정 교육과정 고1 <국어>(비상교육, 대표저자 박영민)에는 "얼룩빼기"로 서술되어 있다.] 황소[* '얼룩백이'라는 표현에 주목할 것. 황소는 노란 소가 아닌 큰 수소를 뜻한다. 굳이 이 소의 품종을 따지자면 [[젖소]]가 아닌 한국 토종소인 [[칡소]]를 가리킨다.]가 해설피 금빛 게으른 울음을 우는 곳, 그곳이 차마 꿈엔들 잊힐 리야. 질화로에 재가 식어지면 비인[* 뷔인이라고 적혀있기도 하다. 빈, 비어있는 이라는 뜻] 밭에 밤바람 소리 말을 달리고, [[2009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6월 모의평가|엷은 졸음에 겨운 늙으신 아버지가]] 짚베개를 돋아 고이시는 곳, 그곳이 차마 꿈엔들 잊힐 리야. [[200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흙에서 자란 내 마음]] [[2017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파아란 하늘빛]]이 그리워 함부로 쏜 화살을 찾으려 풀섶 이슬에 함추름 휘적시던 곳, 그곳이 차마 꿈엔들 잊힐 리야. 전설(傳說)바다에 춤추는 밤물결 같은 검은 귀밑머리 날리는 어린 [[누이]]와 아무렇지도 않고 예쁠 것도 없는 사철 발 벗은 [[아내]]가 따가운 햇살을 등에 지고 이삭 줍던 곳, 그곳이 차마 꿈엔들 잊힐 리야. 하늘에는 성근 별 알 수도 없는 모래성으로 발을 옮기고, 서리 까마귀 우지짖고 지나가는 초라한 지붕, 흐릿한 불빛에 돌아앉아 도란도란거리는 곳, 그곳이 차마 꿈엔들 잊힐 리야. || == 분석 == 이 시는 고향의 정경을 표현함으로써 화자가 고향에 대한 그리움을 표현하고 있다. '''그곳이 차마 꿈엔들 잊힐 리야''' 라고 각 연의 끝마다 반복되는 후렴구는 리듬감, 운율을 조성하고 화자가 그리움이라는 정서를 집약해 직접적으로 표현해 화자의 정서를 강조하고 있다. 또한 각 연마다 다른 고향의 정경이 나오는데 이러한 각 연의 내용을 구분지어주고 시에 통일성을 부여해 준다. 정지용 시인은 고향의 그리움을 이렇게 후렴구를 반복함에 그치지 않고 시각, 청각, 촉각, 공감각 등 다양한 심상, 즉 감각적 이미지의 사용과 토속적, 향토적 시어들을 사용함으로써 이 시의 정서를 형성하고 있다. 사용된 심상들은 다음과 같다. * 전설 바다에 춤추는 밤물결(시각적 심상) * 옛이야기 지줄대는 실개천이 회돌아 나가고(청각적 심상)[* 또한 실개천이 회돌아 나가는 모습이 묘사 되었으므로 청각과 시각의 복합 감각이라고 볼 수 있다.] * 서리 까마귀 우지짖고 지나가는 초라한 지붕(청각적 심상) * 풀섭 이슬에 함추름 휘적시던 곳(촉각적 심상) * 따가운 햇살을 등에 지고 이삭 줍던 곳(촉각적 심상) * 해설피 금빛 게으른 울음을 우는 곳(공감각적 심상-청각의 시각화) * 밤바람소리 말을 달리고(공감각적 심상-청각의 시각화) 또한 이런 시어를 통해 시간적 배경이나 공간적 배경을 알 수 있다. 공간적 배경 1연: 넓은 벌 동쪽 끝, 실개천 2연: 아버지가 주무시는 곳(방 안) 3연: 풀섶 (여기서 풀섶은 '풀숲'의 방언이다) 4연: 이삭 줍던 곳 5연: 도란도란거리는 곳(방 안) 시간적 배경 1연: 해설피(해가 설핏 기울 무렵, 해가 저물어 점차 어둑해질 때) 2연: 질화로에 재가 식어지면(겨울 밤) 3연: 이슬 (새벽) 4연: 따가운 햇살(정오) 5연: 서리 까마귀 우지짖고(서리 까마귀는 늦가을의 까마귀를 말하므로 늦가을이라고 추측할 수 있다) 성근별, 흐릿한 불빛 (밤) == 여담 == * 정지용의 모교인 [[휘문고등학교]]와 정지용의 고향인 [[충청북도]] [[옥천군]] [[옥천역]] 마당에 시비가 있다. [youtube(h8V3bm8ioGM)] * [[김희갑(음악인)|김희갑]]이 작곡한 노래로도 나왔으며, [[박인수(1938)|박인수]], [[이동원(가수)|이동원]]이 불렀다. 실제로 [[가곡]]으로 많이 부르는 곡이다. 그런데 박인수는 처음 이 노래를 부른 뒤 클래식계에서 상당한 비난을 받았고[* [[서울대학교 음악대학]] 교수가 감히 '딴따라'랑 같이 음반을 냈다는 이유의, 지금으로서는 말도 안 되는 트집이다.] 국립 오페라단에서 제명을 당하기까지 했다. 당시만 해도 대중가요와 클래식의 거리감은 매우 컸는데 과감하게 크로스오버를 시도했으니 그 충격이 상당했기 때문이다. 이는 시간이 흐르고 성악계의 크로스오버가 자리를 잡으면서 수그러들었다. * 정지용의 고향인 [[옥천군]] 측은 이 시가 고향에 대한 그리움을 노래한 시인 만큼 이 시를 활용한 마케팅을 적극적으로 펴고 있는데,[* 옥천군 특산물 브랜드 이름이 '''꿈엔들'''이다.] 반대로 같은 시인이 '고향에 돌아와도 그리던 고향이 아니러뇨'라고 노래한 <[[고향(시)|고향]]>은 거의 찾아볼 수 없어 쓴웃음을 짓게 한다. [youtube(mus3oV5fEfo)] * [[차이나는 도올]] 8화에서 도올과 호란이 듀엣으로 이 시를 가사로 한 노래를 불렀다. * [[2017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의 필적확인란이 '''흙에서 자란 내 마음 파아란 하늘빛'''으로 이 시에서 인용된 것이다. [[분류:1923년 작품]][[분류:가곡]][[분류:정지용]][[분류:한국 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