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행정구역 개편/경상권)] [include(틀:대한민국의 행정구역 개편)] [목차] [clearfix] == 개요 == [[대구광역시]]의 확장 논의를 정리한 문서. == 편입이 완료된 지역 == === [[달성군]] === [[1995년]] [[3월 1일]] [[대구광역시]]로 편입되었다. === [[군위군]]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행정구역 개편/경상권/대구확장론/군위군 대구 편입)] [[2023년]] [[7월 1일]] [[대구광역시]]로 편입될 예정이다. == 편입 논의, 요구가 나온 지역 == === [[경산시]]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행정구역 개편/경상권/대구확장론/경산시 대구 편입)] === [[청도군]] === [[청도군]]을 대구광역시 청도군 혹은 경산군(경산의 면 지역)으로 편입하겠다는 안이지만, 정식으로 논의된 공약은 아니며 2012년 [[제19대 국회의원 총선거]] 때 경산-청도에 출마한 모 후보의 공약이었다. 그러나 해당 후보자가 당선되지 못 해서 묻혀 버렸다. 하지만 이후에도 매 선거 때마다 청도군 편입을 대표공약으로 삼는 후보가 등장하고 있는 상황이다. 사실 대구, 청도는 원래 같은 지역도 아니었고 생활권도 애매하다. 대구와 청도가 접경 지역이긴 하지만 딱히 왕래가 잦은 지역은 아니며, 산으로 막혀 있는 데다 대구는 [[낙동강]] 유역이지만 청도는 [[밀양강]] 유역이다. 이 때문에 양쪽 지역 주민 모두 딱히 통합의 필요성을 공감하지 못 하고 있다. 또 아예 대구-경산-청도 통합을 논의하기도 했지만, 대구-경산 통합이 현재로서는 요원하고 무엇보다 대구-경산-청도가 모두 통합하면 행정구역이 비대해지며 여러 가지 문제점이 발생하기 때문에 묻혔으며, 실현 가능성은 거의 없다. === [[칠곡군]] === [[칠곡군]]에서 대구 생활권인 [[동명면]]과 [[지천면]]을 [[대구광역시]]로 편입하겠다는 안이다. 둘 다 [[대구광역시 시내버스]]가 운행되며, 산으로 칠곡군 본토와는 분리되어 있다. 여기에 [[왜관읍]] 남부 [[땅거스러미]]까지 편입하자는 안도 있다. 만약 대구에 편입할 시에는 [[지천면]]은 [[달성군]], [[동명면]]은 [[북구(대구광역시)|북구]]에 편입하거나 [[지천면]]과 [[동명면]] 모두 [[북구(대구광역시)|북구]]에 통합하거나 혹은 [[칠곡지구]]과 함께 강북구(혹은 칠곡구)를 구성하는 안이 있다. 그러나 동으로 전환하면 여전히 시골임에도 기존에 받던 농어촌 관련 특혜들이 사라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http://www.yeongnam.com/Photo/2013/09/24/M20130924.010020817260001i2.jpg|행정체계 개편 관련 칠곡군민 입장]] 통계에 따르면 [[지천면]]과 [[동명면]] 주민들은 대구 편입에 호의적인 여론을 가지고 있다. 나머지 지역은 [[칠곡군]]을 그대로 남기거나 가산면을 구미에 편입시키거나 아예 [[구미시]]와 통합을 하는 것을 생각해 볼 만하다. 가산면 동부에 속하는 가산리, 응추리, 용수리의 경우에는 산으로 분리되어 있어 [[군위군]]에 편입시켜야 한다는 주장도 있다. [[왜관읍]]과 그 옆 [[기산면(칠곡)|기산면]]은 왜관을 중심으로 독자적인 생활권을 가지고 있어 신중하게 검토해야 한다. [[대구경북신공항]] 건설 공동합의문의 전제조건으로 인해 [[군위군]]의 [[대구광역시]] 편입이 확정되었는데, [[대구광역시]]와 [[군위군]] 사이에 있는 [[칠곡군]]도 편입 대상으로 언급되고 있다. [[https://m.yeongnam.com/view.php?key=20200804010000474|#]] 기사에 언급은 안 되어 있지만 [[동명면]], [[가산면(칠곡)|가산면]] 지역이 편입 대상으로 언급된다고 보면 될 듯. 대구 시내에서 [[군위군]]으로 가려면 해당 지역을 무조건 통과해야 한다. 다만 [[칠곡군]] [[동명면]], [[가산면(칠곡)|가산면]] 중 1곳이라도 [[대구광역시]]에 편입될 경우 [[칠곡군]]의 면적과 인구가 줄어들고 향후 [[시(행정구역)/대한민국|시]] 승격에도 걸림돌이 돼 [[칠곡군]] 측에서 편입을 반대할 것이기 때문에 사실상 불가능에 가깝다. === [[고령군]] === [[고령군]] [[다산면]] 일대는 [[대구광역시]]와 더 가까워 대구로 편입해달라는 소리가 나왔었다. 다만 다산면의 인구가 9,423명으로 고령군의 인구 30% 가까이를 다산면이 차지하고 있기 때문에 고령군과 경상북도 측에서 좋아할 리가 없다. 만약 다산면이 대구광역시 달성군에 편입된다면 다사읍-하빈면의 월경지가 다산면으로 인해 달성군 본토와 연결되게 된다. 다만 다사읍에서 다산면과 다산면에서 논공읍으로 바로 넘어가는 교량이 없어 편입이 되어도 여전히 [[월경지|실질월경지]]다. 참고로 화원읍과 다산면 사이에는 [[사문진교]]가 있다. 그리고 [[낙동강]] 서쪽의 땅도 얻게 된다. 그렇게 되면 [[고령JC]]는 다산JC로 변경되고, [[동고령IC]]는 성산IC로 회귀될 것으로 예상된다. == [[1990년대]] 대구시역 확장 검토안 == [[1995년]] 전국적인 행정구역 개편 당시 대구시역 확장을 앞두고 [[1994년]] 내무부에서 검토한 바가 있는 대구확장안들이다. * 1안: 경산시-군, 영천시-군, 달성군, 청도군, 칠곡군, 고령군, 성주군, 군위군 * 2안: 경산시-군, 영천시-군, 달성군, 청도군, 칠곡군[*B 동명면ㆍ지천면 한정], 고령군 * 3안: 달성군[*C 화원읍ㆍ옥포면ㆍ다사면ㆍ하빈면ㆍ가창면], 칠곡군[*B], 고령군[*D 다산면], 경산군[*E 하양읍ㆍ와촌면 한정] 일부 * 4안: 달성군[*C], 경산군[*E] 하지만 도역 상실을 원치 않던 [[경상북도]]의 반대로 서술되어 있는 안들 중 어느 하나도 온전히 실현되지 못하고 [[달성군]]만 [[대구광역시|대구]]로 편입되었다. 경산시-군과 달성군이 대구 편입을 두고 경합했다는 이야기도 있지만, 위의 서술과 같이 경합보다는 [[달성군]]의 단독 편입으로 계획이 축소되었다고 봐야할 것이다. [각주] [[분류:행정구역 개편]][[분류:대구광역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