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373a3c,#373a3c '''{{{+1 행복 그래피티}}}'''[br]幸腹グラフィティ}}}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행복그래피티_1권.jpg|width=100%]]}}} || || '''{{{#373a3c,#373a3c 장르}}}''' ||[[일상물|일상]], [[4컷 만화]] || || '''{{{#373a3c,#373a3c 작가}}}''' ||카와이 마코토 || || '''{{{#373a3c,#373a3c 출판사}}}'''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호분샤]][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대원씨아이]] || || '''{{{#373a3c,#373a3c 연재처}}}''' ||[[망가타임 키라라 미라클]] || || '''{{{#373a3c,#373a3c 레이블}}}'''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망가타임 KR 코믹스[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NT 코믹스 || || '''{{{#373a3c,#373a3c 연재 기간}}}''' ||2012년 3월호 ~ 2016년 11월호 || || '''{{{#373a3c,#373a3c 단행본 권수}}}'''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7권 ,,(2016. 09. 27. 完),,[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5권 ,,(2023. 11. 30.),, || [목차] [clearfix] == 개요 == [[파일:attachment/2039855_201407160284758001405494642c.jpg|width=380]] [[4컷 만화]] 형식으로 구성된 일본의 [[일상물|일상]] 만화. 작가는 카와이 마코토(川井マコト). == 줄거리 == >'''행복하고 사랑스러운 배 빵빵 행복 가득한 힐링 먹방!''' >'''만화 사상 가장 사랑스럽고 두근두근한 소녀들의 먹방이 온다!''' > >할머니가 돌아가시며 혼자 살게 된 여중생 ‘료’. 혼자 먹는 밥이 맛이 없어 자신의 요리실력에 자신을 잃어가던 료에게 어느 날 육촌인 키린이 찾아온다. 키린과의 식사를 통해 료는 그동안 잊고 있던 감정을 떠올린다. > >함께 살게 된 두 소녀가 만들어가는 먹방 커뮤니케이션! 사정에 의해 자취를 하게 된 마치코 료. 어느 날 숙모의 부탁으로 주말뿐이지만 [[육촌]]인 모리노 키린과 같이 살게 되었다. 료와 키린, 입시학원에서 알게 된 시이나와 같이 함께 식사로 따뜻한 관계를 구축해 나가는 이야기를 그린다. == 발매 현황 == 일본의 망가타임 KR 코믹스 레이블로 발매되었다. 한국어판은 2015년 8월 25일 대원씨아이에서 원작 1권이 정발되었다. 이어서 2, 3, 4권도 각각 9, 10, 11월에 정발되었다. 키라라 미라클 연재작 중 최초의 한국어판이다. 하지만 4권 이후 정발이 중단되었다.[* 왜냐면 대원씨아이가 번역은 물론이고 그림체 편집을 엉망으로 해놨기 때문.] 이후 6년이나 지난 2021년 8월에 정발된 4권까지 e북으로 출시되었다. 2023년 11월 30일 5권이 국내 정식 발매되었다. 2016년 11월호에서 완결. 일본판은 단행본으로 7권 분량이다. == 특징 == [[망가타임 키라라]] 미라클에서 연재한, 미술고를 다니는 여고생 세명의 이야기를 다루는 [[일상물]], [[먹방]]물이다. 키라라 계열의 미소녀 일상물답게 [[백합(장르)|백합]]요소가 있다. [[히다마리 스케치]]와 흐름이나 개그 포인트는 거의 똑같아 히다마리 스케치가 재미있었다면 이것도 재미있을 가능성이 높다. 캐릭터성까지 비슷해서, 료가 유노&히로, 키린이 미야코, 시이나가 사에를 닮았다. == 등장인물 == [Include(틀:스포일러)] * '''마치코 료(町子 リョウ)''' {{{-1 - 성우: [[사토 리나]]}}} [[파일:external/92ff791f1acc4c8f8f648904dfd742ede40ba8d61622c79ee482e6b6dba4e0dd.jpg|width=400]][[파일:pyoSOgC.jpg]] [include(틀:망가타임 키라라 주인공)] 본작의 주인공. 미술 관련 진학을 준비중. [[부모]]는 해외 근무중. 먹방할 때 유독 심각하게 에로하다는 평가를 키린에게 받는다. 실제로 먹방때의 버프를 가장 많이 받는 주인공 중 하나. 무엇보다도 일단 먹을때만큼의 표정연기나 작화 버프가 상당히 에로하게 압권. 흔히 말하는 뿅갔다라는 표현이 어울릴 정도. 심지어 성우마저도 [[사토 리나]] 버프를 받은 덕분에 [[야마토 나데시코]]처럼 전형적인 캐릭터가 되었다. 스타일 좋은 미인인데다 요리도 만능인 어느 하나 빠질 것 없는 팔방미인. 4화에서 나온 대로 중학생임에도 불구하고 매우 나이스한 바디를 자랑한다. 심지어 장래희망 마저도 할머니가 이야기 해 주신 참한 신부가 되는 것. 덜렁이 기질이 다소 있으나 오히려 이 점이 백치미로 커버가 되는데다가 가만히 있지 못하고 사람을 이것저것 돌봐주는 게 특기. 독백이나 혼잣말을 자주하지만 4컷 만화 원작인데다가 애니메이션 특성상 오히려 이러한 점이 더 귀엽게 보이는 부분. 이것저것 생각하는 게 어른스럽다. [[존댓말 캐릭터]]인데 의외로 엄마한테는 반말을 한다.[* 애니플러스에선 키린과 시이나에겐 반말하는 걸로 나온다.] 작중 애니 1화에서 감기에 걸려 몸져누운 키린에게 우동이라던가, 간병을 해준다던가 이것저것 많이 챙겨주는데다가 자신이 하는 밥은 왜 맛이 없을까에 대한 질문에, 혼자서 먹기 때문이다라는 지적을 받아서 오히려 키린과 함께 매주 밥을 먹을거라는 생각에 기운을 차리는 강한 멘탈까지. 덕분에 주인공임과 동시에 거의 어머니 포지션으로 자동 안착된 사례. 성적은 평범한 수준인데, 운동은 못하는 편이다. 애니 8화에 그 이야기가 나오는데 체육 대회에 대해서 안 좋은 기억밖에 없다.[* 날아오는 농구공에 코를 맞아서 코피를 쏟았다든가, 이어달리기에서 발목을 삐긋한다든가.] 부모에 대해서는 명확하게 언급은 되지 않지만 뭔가 세계를 주무르는 인물이라는 분위기로 언급되고 있으며, 료는 오랜 시간 떨어져 살아온 이유도 있고 해서 그런 부모 사이에서 얼만큼 거리를 두어야 적절할지 곤란해 하기도 한다. 12화에서 마침내 원하던 미술계 고등학교에 진학 성공하여 키린 및 시이나와 같은 반이 되었다. * '''모리노 키린(森野 きりん)''' {{{-1 - 성우: [[오오가메 아스카]]}}} [[파일:external/c75075cb30ede66e826d3d447321838a9167f95422a758cb53d8892565e04992.jpg|width=400]] 료의 육촌이자 같은 나이의 소녀. 도쿄의 학교에 진학하고자 부모님과 다투고 상경한다. 힘 좋은 바보 캐릭터로 무거운 짐도 문제없다. 요리를 먹었을 때는 오버액션 담당. 자신의 집 요리는 맨날 야채요리라서 맛이 없다고 불평불만을 일삼기도. 료와 처음 만났을때부터 시골에서 올라온 소녀 + [[감기]] 디버프로 이것저것 손이 많이 가게 만들었지만 혼자 사는 데 능숙해져 있던 료는 전혀 개의치 않았다. 오히려 료의 따뜻한 마음씨와 간병에 마음이 풀리고, 집으로 돌아가서 어머니와 화해를 하고 제대로 승낙을 받아오겠다고 료와 약속을 하는 등 의욕 넘치는 캐릭터. 처음보는 어른들 앞에서는 엄청 긴장을 하기 때문에 쓸데없이 예의가 좋아져서 고향에서는 "예의바른 키린"이라고 불린다고 한다. 긴장이 극에 달하면 사극풍 예의로 업글되어버린다. 료를 무척 좋아해서 처음에는 료의 친구인 시이나에게 질투를 하기도 했지만 어느새 3인이 함께 보내는 경우가 늘었다. 고등학교에 입학을 한 후에는 마치코의 집에 얹혀살게 된다. 고교에서의 반도 키린, 시이나와 같다. 부활동은 키가 작음에도 농구를 선택했다. 여담으로 애니에서 신발을 신고 걸을때 약간 뽁뽁뽁 하는 유아틱한 신발 소리가 난다. 가지고 다니는 가방은 현실세계에서도 구하기 힘든 환상의 아이템으로 [[만화고기|만화판 고기]]를 형상화한 것. 휴대폰은 [[삼성전자]]의 [[갤럭시 S4 Active]]와 동일한 디자인이다. * '''시이나(椎名)''' {{{-1 - 성우: [[코마츠 미카코]]}}} [[파일:external/d4f535dd9344c44a90d322b07cfbfe2c22ddeed12f0fa40fd1b08fdf05921f79.jpg|width=400]] 예비고에서 알게 된 동급생. 해당 호칭은 성이다[* 어머니가 등장하는 에피소드, 추천 합격 통지표 에피소드가 있었음에도 이름은 공개되지 않음.]. 주인공 3인방 포지션이지만 합류가 좀 늦어서, 애니 1화에선 얼굴만 살짝 비췄다. 유서 깊은 가문 출신으로서 집안이 꽤나 재력이 있는 듯 집도 크고 고용인들도 많다. 그런 출신성분답게 쿨하면서도 청초하고 품위있는 몸가짐을 지니고 있다. 주변에서 인기는 높은 편이지만 고고한 이미지 탓에 친구가 없었고, 그런 그녀에게 있어 무방비하게 다가와 친절을 베풀어준 료는 특별한 존재이다. 미술의 자질은 높은 편으로 료나 키린보다 한 발 앞서 같은 고교에 합격하여, 같은 반이 되었다. 고등학교에서도 처음에는 료와 키린 말고 다가오는 급우가 없었지만, 요리 실습을 계기로 다른 친구들도 생기기 시작한다. 의외로 체력은 매우 약한 편으로 비에 젖는 것만으로도 감기에 걸릴 정도다. || [[파일:attachment/행복 그래피티/a1-pic.jpg|width=200]] || [[파일:attachment/행복 그래피티/jottomatte.jpg|width=250]] || ||<-2> 백문이 불여일견 || 분명 주인공 3인방 중 한 명인데도, 오프닝에서는 등장 횟수가 거의 없이 이상하게 찬밥 취급당하고 있다. 그리고 제작진은 이 캐릭터의 안티가 분명하다. 다른 캐릭터들의 진지한 그림체에 비해 지나치게 이 캐릭터만 격차가 심하다. * '''우치키 유키(内木 ユキ)''' {{{-1 - 성우: [[이구치 유카]]}}} 료와 키린이 사는 맨션 바로 아래층의 주민. 대졸. 이름 같이[* 성에 쓰인 우치키(内木)는 내성적이라는 뜻의 内気와 발음이 같다. 이 점을 노리고 작명한 듯.] 굉장히 내성적이고 우물쭈물하는 성격이다. 배달 피자를 좋아한다. 네 가지 종류가 한 판에 있는 피자를 자주 먹는데, 그 이유는 피자 한 판으로 여러끼니를 질리지 않고 해결할 수 있어 간편해서라고 한다. 초반부터 등장할 조짐만 계속 던져주다가 10화에서 드디어 모습을 보이게 된다.[* 엄마랑 통화하는 신으로 등장. 엄마 성우는 [[아라이 사토미]].] 애니메이션 시점에서는 취업활동으로 나름 바쁜 모습을 보였고 후반부 어느 고등학교의 면접을 마치고 돌아가는 모습이 보여졌다. 마지막화에서 살짝 모습을 비췄는데. 상대방이 '''우치키 선생님'''이라고 말하는 걸 봐서는 10화에서 나온 고등학교에 취직이 되어서 교사가 된 것으로 보인다.[* 그 학교가 료 일행이 합격한 학교다. 원작에선 사서로 부임하여 이후 여러번 등장한다.] * '''마치코 아키라(町子 明)''' {{{-1 - 성우: [[노나카 아이]]}}} [[파일:attachment/행복 그래피티/Example.jpg|width=250]] 료의 이모.[* 료의 엄마의 동생. 료가 어렸을 때 학생인 것을 보면 자매간에 나이차이가 좀 있는 듯. 성이 같은 것을 보면 료의 아버지가 데릴사위로 들어온걸로 보인다.][* 애니플러스에선 숙모로 번역했다.] 왜 내가 만든 요리는 맛이 없을까 하면서 쳐져있던 료에게 오히려 [[알몸 에이프런]]으로 커버해버리라는 짓궂은 농담을 할 정도로 쾌활하다. 전형적인 하이텐션 캐릭터. * '''츠유코(露子)''' {{{-1 - 성우: [[코바야시 유우]]}}} 시이나 家의 생활보조계. 시이나의 어머니는 일로 바쁘다보니 츠유코가 시이나 家의 각종 업무를 담당하고 있는 경우가 많다. 외모와 분위기가 시이나와 비슷해 키린이 어머니로 착각했을 정도. 꽤나 심상치 않을 정도로 해박한 지식도 가지고 있으며 업무조차 전문가 수준이다. * '''시이나의 엄마''' {{{-1 - 성우: [[마츠키 미유]]}}} 전업주부는 아니며, 딸을 걱정하는 좋은 엄마. 여담으로, 애니 5화에서 정말로 귀엽게 묘사된다. 차회 예고에서도 SD화 되어 춤추고 있는 걸 보면 제작사에서 어느 정도 호감을 가진 듯. 료가 음식을 먹을 때 표정이 야하게 되는 모습을 보고 "저렇게 먹는건 우리 아이만 그런 게 아니었구나~"라면서 안심하였다. * '''모리노 부부''' {{{-1 - 성우: 불명([[토네 켄타로]])&린([[히로하시 료]])}}} 키린의 아버지와 어머니. 어머니의 이름은 린으로 료의 엄마인 미도리와는 사촌. 그녀는 요리를 그다지 잘하는 편이 아니다. 늘 요리는 야채볶음에 보크라이스 뿐이다. 그래서 그런지 외식을 좀 하는 편인 것 같다. 다만 남편은 아무런 군말없이 맛있게 먹는다. * '''마치코 부부''' {{{-1 - 성우: 불명 & 미도리([[노토 마미코]])}}} 료의 아버지와 어머니. 해외 파견근무중. 무슨일을 하는지는 구체적으로 모르지만 일을 그만두면 마치코가 사는 마을이 망한다고 하고, 세계에서 중요한 인물들 중 하나라고 한다. 료에게 보디가드도 붙이려고 하였지만 할머니가 막았다고 한다. 일단 꽤나 영향력이 있는 듯 하다. 어머니인 미도리는 길치 속성이 있어 백화점에 가면 미아가 되는 바람에 료가 직접 엄마를 찾으러 왔다고 한다. 이후 원작에서 등장할때마다 길 잃었다는 말이 나올 정도. * '''와타나베(渡辺さん)''' {{{-1 - 성우: [[와타나베 아케노]]}}} 료의 할머니가 살아 계셨을 때부터 신세를 졌던 [[도서관]] [[사서(직업)|사서]]. [[어린이]]들에게도 인기가 많다. * '''편의점 주인''' {{{-1 - 성우: [[야마모토 쇼타]]}}} 도서관 근처의 패밀리마트 [[점장]]. 5년전과 딱히 달라지지 않았다. 80년대 날라리같은 스타일의 험악한 인상의 아저씨지만, 성격은 좋으며 아이를 잘 달래는 듯 하다. 애니 4화의 차회 예고편에서, 험상궂은 자신을 보고 겁먹은 어린 시절의 료를 간단하게 웃게 만들었다. * '''츠치다 메이(土田 芽生)''' {{{-1 - 성우: [[나가츠마 쥬리]]}}} * '''야마사키 히나(山崎 陽菜)''' {{{-1 - 성우: [[치스가 하루카]]}}} 료의 친구들. 츠치다는 갈색의 롱헤어, 야마사키는 금발 속성. * '''요네타니 미사키(米谷 美咲)''' {{{-1 - 성우: [[니시 아스카]]}}} 료의 동급생. * '''료의 외할머니''' {{{-1 - 성우: [[쿠보타 타미에]]}}} 미도리와 아키라의 어머니. 1년전에 고인이 되었다. 요리 실력이 뛰어나 지금도 료는 그 맛을 그리워하고 있다. 료에게 어릴때부터 현모양처의 기틀을 잡아준 훌륭하신 분. 료의 회상도 대부분 할머니와 많이 연관되어 있다. 원래는 요리를 못하였지만 료를 키우게 되면서 요리를 배웠다고 한다. == 미디어 믹스 == === 애니메이션 === [include(틀:망가타임 키라라 작품)] ||<-2>
{{{#373a3c,#373a3c '''{{{+1 행복 그래피티}}}''' (2015)[br]幸腹グラフィティ[br]Gourmet Girl Graffiti}}}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koufuku_graffiti_keyvisual.jpg|width=100%]]}}} || ||<-2> {{{#373a3c,#373a3c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작품 정보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
'''{{{#373a3c,#373a3c 원작}}}''' ||카와이 마코토(川井マコト) || || '''{{{#373a3c,#373a3c 총감독}}}''' ||[[신보 아키유키]] || || '''{{{#373a3c,#373a3c 감독}}}''' ||[[타츠와 나오유키]] || || '''{{{#373a3c,#373a3c 시리즈 구성}}}''' ||[[오카다 마리]] || || '''{{{#373a3c,#373a3c 캐릭터 디자인}}}''' ||시오츠키 카즈야(潮月一也) || || '''{{{#373a3c,#373a3c 밥 디자인}}}''' ||이토 요시아키(伊藤良明) || || '''{{{#373a3c,#373a3c 총 작화감독}}}''' ||시오츠키 카즈야[br]니시자와 신야(西澤真也)[br][[요코타 타쿠미]] || || '''{{{#373a3c,#373a3c 미술 감독}}}''' ||나이토 타케시(内藤 健) || || '''{{{#373a3c,#373a3c 미술 설정}}}''' ||오오하라 모리히토(大原盛仁) || || '''{{{#373a3c,#373a3c 색채 설계}}}''' ||와타나베 야스코(渡辺康子) || || '''{{{#373a3c,#373a3c 촬영 감독}}}''' ||아이즈 타카유키(会津孝幸) || || '''{{{#373a3c,#373a3c 편집}}}''' ||마츠바라 리에(松原理恵) || || '''{{{#373a3c,#373a3c 음향 감독}}}''' ||카메야마 토시키(亀山俊樹) || || '''{{{#373a3c,#373a3c 음악}}}''' ||코토링고(コトリンゴ) || || '''{{{#373a3c,#373a3c 음악 제작}}}''' ||플라잉 독(フライングドッグ) || || '''{{{#373a3c,#373a3c 프로듀서}}}''' ||야마구치 야스히로(山口泰広)[br]카와모토 사치(河本紗知)[br]코바야시 히로유키(小林宏之)[br]오오시마 미쿠(大嶋実句)[br]이토 쇼세이(伊藤将生)[br]하야시 요헤이(林 洋平)[br]이시즈카 마사토시(石塚正俊) || || '''{{{#373a3c,#373a3c 애니메이션 제작}}}''' ||[[샤프트(기업)|샤프트]] || || '''{{{#373a3c,#373a3c 제작}}}''' ||행복 그래피티 [[제작위원회]][br][[TBS 테레비|TBS]] || || '''{{{#373a3c,#373a3c 방영 기간}}}''' ||[[애니메이션/2015년 1월|2015. 01. 09.]] ~ 2015. 03. 27. || || '''{{{#373a3c,#373a3c 방송국}}}'''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TBS 테레비|TBS]] / (금) 01:46[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애니플러스]] / (수) 23:30 || || '''{{{#373a3c,#373a3c 편당 러닝타임}}}''' ||24분 || || '''{{{#373a3c,#373a3c 화수}}}''' ||12화 || || '''{{{#373a3c,#373a3c 시청 등급}}}''' ||[[대한민국의 텔레비전 등급 제도#관련 규정|[[파일:15세 이상 시청가 아이콘.svg|width=20]] {{{#373a3c 15세 이상 시청가}}}]] || || '''{{{#373a3c,#373a3c 관련 사이트}}}''' ||[[http://www.tbs.co.jp/anime/koufuku_g/|[[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5]]]] |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koufuku_g, 크기=25)] || }}}}}}}}}}}} || [[샤프트(기업)|샤프트]]에서 제작에 들어갔다는 말이 뜨기가 무섭게 인지도가 급상승한 만화. 총감독은 [[샤프트(기업)|샤프트]]의 기둥인 [[신보 아키유키]], 감독은 [[안녕 절망선생/애니메이션|안녕 절망선생 시리즈]]의 부감독으로 유명한 [[타츠와 나오유키]]가 맡았다. 원작이 4컷만화이기 때문에 샤프트가 4컷만화의 내용을 어떻게 애니메이션으로 길게 승화하느냐가 큰 문제였는데 그런 고민은 필요도 없다는 듯이 1화에서부터 먹방씬 하나만으로도 2015년 1월부터 먹방애니 상위권을 탈취했다. 일본 현지에선 샤프트 후광 뿐만 아니라 [[망가타임 키라라|키라라 계열]]이라는 점까지 겹쳐서 [[일상물 난민|난민]]들까지 몰려드는 중. 오히려 그냥 조용한 일상 먹방물임에도 불구하고 캐릭터, 성우 배치간의 밸런스가 좋아서 [[듀라라라!!/애니메이션#s-2|듀라라라 x2승!]]이나 [[알드노아. 제로]] 2쿨 , [[롤링☆걸즈]], [[탐정 오페라 밀키 홈즈/애니메이션#s-5|밀키홈즈 4기]], [[DOG DAYS#s-3|DOG DAYS 3기]], [[밤의 얏타맨]], [[창궁의 파프너 EXODUS]] , [[시원찮은 그녀를 위한 육성방법(애니메이션 1기)|사에카노]], [[아이돌 마스터 신데렐라 걸즈/애니메이션|신데마스]], [[함대 컬렉션(TVA)|칸코레]] 등의 수많은 경쟁작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인지도만큼은 지지 않는 부분. [[먹방]]애니의 특성 상 위꼴이 많아서 배고플 때 보면 심히 곤란하다. 애니메이션의 오프닝 디렉터는 [[우메츠 야스오미]]인데, 우메츠가 샤프트 애니메이션에 참가하는 것은 [[그래도 마을은 돌아간다]] 이후 만 4년 만이다. 그때도 오프닝 가수는 [[사카모토 마아야]], 감독(정확하게는 부감독)도 타츠와 나오유키였다. 이제 곧 또다른 먹방방송이 될 [[식극의 소마]]도 애니방영을 앞두고 있어서 2015년 초부터 먹방애니의 시작을 알린 셈이 되었다[* 참고로 관서에서는 비슷한 시간대에 방영되고 있으므로 학습효과로는 강력. 식극의 소마도 [[아니메이즘]] 시간대.]. 한국에서도 [[애니플러스]]에서 방영되었다. 2018년 1월 15일 계약 만료.[* 참고로 이 때 [[데스 퍼레이드]]와 함께 처음으로 2015년 신작이 계약 만료 리스트에 올라갔다.] 그런데 2018년 5월에 TV에서 재방송을 해서 당황하는 반응들이 나왔다.[[http://bbs.ruliweb.com/family/211/board/300074/read/30612988?|링크]] BD 판매량은 초동 1475장으로 집계되었다. ==== 주제가 ==== ===== OP ===== ||<-2>
'''{{{#373a3c,#373a3c OP[br]幸せについて私が知っている5つの方法[br]행복에 관해 내가 알고 있는 5가지 방법}}}'''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 width=100%)]}}} || ||<-2> '''{{{#373a3c,#373a3c TV ver.}}}'''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FYiilURv16M, width=100%)]}}} || ||<-2> '''{{{#373a3c,#373a3c Full ver.}}}''' || || '''노래''' || [[사카모토 마아야]] || || '''작사''' || 이와사토 유호(岩里祐穂) || || '''작곡''' ||<|2> [[라스무스 페이버]] || || '''편곡''' || ||<-2><^|1>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주제가 애니메이션 정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콘티''' ||<|2> [[우메츠 야스오미]] || || '''연출''' || || '''작화감독''' || 시오츠키 카즈야(潮月一也)[br]니시자와 신야(西澤真也)[br]이노우에 미카(井上美香)[br]카와시마 쿠미코(河島久美子) || }}}}}}}}} || ||<-2><^|1>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가사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 }}}}}}}}} || ===== ED ===== ||<-2>
'''{{{#373a3c,#373a3c ED[br]笑顔になる[br]웃음이 나}}}'''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 width=100%)]}}} || ||<-2> '''{{{#373a3c,#373a3c TV ver.}}}'''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och056NVuK0, width=100%)]}}} || ||<-2> '''{{{#373a3c,#373a3c Full ver.}}}''' || || '''노래''' || 료와 키린(リョウときりん)[br]{{{-2 ([[사토 리나]], [[오오가메 아스카]])}}} || || '''작사''' || 마츠우라 유키(松浦勇気) || || '''작곡''' ||<|2> 키타가와 카츠토시(北川勝利) || || '''편곡''' || ||<-2><^|1>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주제가 애니메이션 정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디렉터''' || [[야세 유키]] || || '''작화감독''' || [[요코타 타쿠미]] || || '''메카 작감''' || 이토 요시아키(伊藤良明) || }}}}}}}}} || ||<-2><^|1>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가사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 }}}}}}}}} || ==== 회차 목록 ==== * 전화 각본: [[오카다 마리]] * 전화 총 작화감독: 시오츠키 카즈야(潮月一也), 니시자와 신야(西澤真也), [[요코타 타쿠미]] ||
'''회차''' || '''제목'''[* 한국어 번역 제목은 정식 방영사인 [[애니플러스]] 방영판을 기준으로 한다.] || '''콘티''' || '''연출''' || '''작화감독''' || '''밥 작화감독''' || '''방영일''' || || {{{-2 1화}}} || {{{-2 ほかほか、じゅわっ。[br]따끈따끈, 스르륵}}} || {{{-2 [[사사키 신사쿠]]}}} || {{{-2 [[미야모토 유키히로]]}}} || {{{-2 이노우에 미카[br](井上美香)[br]카와시마 쿠미코[br](河島久美子)}}} || {{{-2 이토 요시아키[br](伊藤良明)}}} || {{{-2 日: 2015.01.09.[br]韓: 2015.01.14.}}} || || {{{-2 2화}}} || {{{-2 ふんわり、ゴガガガッ。[br]폭신폭신, 쭈욱}}} || {{{-2 [[스기야마 노부히로]]}}} || {{{-2 히로타 코스케[br](尋田耕輔)}}} || {{{-2 사이토 카즈야[br](斉藤和也)[br]후지모토 마유[br](藤本真由)[br][[오오카지 히로유키]][br]우시지마 노조미[br](牛島 希)[br]사쿠라이 츠카사[br](桜井 司)}}} || {{{-2 아라이 히로토시[br](新井博彗)}}} || {{{-2 日: 2015.01.16.[br]韓: 2015.01.21.}}} || || {{{-2 3화}}} || {{{-2 ショクショク、トロッ。[br]아삭아삭, 주룩}}} || {{{-2 [[야세 유키]]}}} || {{{-2 [[타츠와 나오유키]]}}} || {{{-2 이토 요시아키[br]이노우에 미카[br]카와시마 쿠미코[br]나카야마 하츠에[br](中山初絵)}}} || {{{-2 이토 요시아키}}} || {{{-2 日: 2015.01.23.[br]韓: 2015.01.28.}}} || || {{{-2 4화}}} || {{{-2 じんわり、バリリッ。[br]천천히, 찌익}}} || {{{-2 카와바타 타카시[br](川畑 喬)}}} || {{{-2 오오타니 하지메[br](大谷 肇)}}} || {{{-2 오다 타에코[br](小田多恵子)[br]요시오카 토시유키[br](吉岡敏幸)[br]와니부치 카즈히코[br](鰐淵和彦)[br]요시무라 히로유키[br](嘉村弘之)[br]야마모토 슈헤이[br](山本周平)[br]이치노세 유리[br](一ノ瀬結梨)}}} || {{{-2 아라이 히로토시}}} || {{{-2 日: 2015.01.30.[br]韓: 2015.02.04.}}} || || {{{-2 5화}}} || {{{-2 ぢゅるるんっ、ごくん。[br]스르륵, 꿀꺽}}} || {{{-2 카즈이 히로코[br](数井浩子)}}} || {{{-2 요시자와 미도리[br](吉澤 翠)}}} || {{{-2 [[야노 아카네]][br]우시지마 노조미[br]카와시마 쿠미코[br]시미즈 카츠유키[br](清水勝祐)}}} || {{{-2 이토 요시아키}}} || {{{-2 日: 2015.02.06.[br]韓: 2015.02.11.}}} || || {{{-2 6화}}} || {{{-2 あつあつ、もちもち。[br]따끈따끈 쫄깃쫄깃}}} || {{{-2 후지사와 토시유키[br](藤澤俊幸)}}} || {{{-2 [[오오하시 카즈키]]}}} || {{{-2 미야지마 히토시[br](宮嶋仁志)[br]요시다 미나미[br](吉田 南)[br]이노우에 미카[br]카와시마 쿠미코[br]아라이 히로토시[br]이치노세 유리}}} || {{{-2 아라이 히로토시}}} || {{{-2 日: 2015.02.13.[br]韓: 2015.02.18.}}} || || {{{-2 7화}}} || {{{-2 ジュー、プシーッ。[br]슈욱, 지글지글}}} || {{{-2 [[와카노 테츠야]]}}} || {{{-2 히로타 코스케}}} || {{{-2 키쿠나가 치사토[br](菊永千里)[br]키쿠치 마사요시[br](菊池政芳)[br]카이호 히토미[br](海保仁美)[br]카와시마 쿠미코[br]이노우에 미카[br]나카야마 하츠에}}} || {{{-2 이토 요시아키}}} || {{{-2 日: 2015.02.20.[br]韓: 2015.02.25.}}} || || {{{-2 8화}}} || {{{-2 ほくほく、はぷっ。[br]모락모락, 합}}} || {{{-2 [[요코야마 아키토시]]}}} || {{{-2 미나미카와 타츠마[br](南川達馬)}}} || {{{-2 이치노세 유리[br]이토 요시아키[br]이노우에 미카[br]마에다 요시히로[br](前田義宏)[br]카와시마 쿠미코[br]미야지마 히토시[br]요시다 미나미}}} || {{{-2 아라이 히로토시}}} || {{{-2 日: 2015.02.27.[br]韓: 2015.03.04.}}} || || {{{-2 9화}}} || {{{-2 グツグツ、へは……。[br]보글보글, 휴}}} || {{{-2 오오이시 미에[br](大石美絵)}}} || {{{-2 미야모토 유키히로}}} || {{{-2 카와시마 쿠미코[br]이노우에 미카[br]이치노세 유리[br]아라이 히로토시[br]야마자키 카츠유키[br](山崎克之)[br]요시다 미나미[br]마에다 요시히로[br]토쿠라 에이이치[br](徳倉栄一)[br][[요코타 타쿠미]]}}} || {{{-2 이토 요시아키}}} || {{{-2 日: 2015.03.06.[br]韓: 2015.03.11.}}} || || {{{-2 10화}}} || {{{-2 はもはも、みちちっ。[br]우물우물, 지익}}} || {{{-2 세키노 마사히로[br](関野昌宏)}}} || {{{-2 요시자와 미도리}}} || {{{-2 이노우에 미카[br]카와시마 쿠미코[br]요시다 미나미[br]사쿠라이 츠카사[br](櫻井 司)[br]나카야마 하츠에[br]이토 요시아키[br]니시자와 신야[br](西澤真也)}}} || {{{-2 아라이 히로토시}}} || {{{-2 日: 2015.03.13.[br]韓: 2015.03.18.}}} || || {{{-2 11화}}} || {{{-2 ジャキジャキ、ずるるっ。[br]싹둑싹둑, 자르르}}} || {{{-2 야세 유키}}} || {{{-2 오오타니 하지메}}} || {{{-2 이노우에 미카[br]카와시마 쿠미코[br]마에다 요시히로[br]아라이 히로토시[br]요코타 타쿠미[br]요시다 하지메[br]시마다 히데아키[br](しまだひであき)[br][[핫토리 켄지]]}}} || {{{-2 이토 요시아키}}} || {{{-2 日: 2015.03.20.[br]韓: 2015.03.25.}}} || || {{{-2 12화}}} || {{{-2 しみしみ、むぎゅっ。[br]촉촉, 꾸욱}}} || {{{-2 카즈이 히로코}}} || {{{-2 오오하시 카즈키}}} || {{{-2 이토 요시아키[br]이노우에 미카[br]카와시마 쿠미코[br]야마자키 카츠유키[br]사쿠라이 츠카사[br]미야지마 히토시[br]마에다 요시히로[br]니시자와 신야}}} || {{{-2 아라이 히로토시}}} || {{{-2 日: 2015.03.27.[br]韓: 2015.04.01.}}} || ==== [[/엔드 카드|엔드 카드]]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행복 그래피티/엔드 카드)] ==== 평가 ==== [[샤프트(기업)|샤프트]]가 제작을 맡는다는 것에 대한 걱정 중 하나인 작품의 작화가 있는데 이 작품은 그러한 걱정과는 다르게 작화는 안정적이고, 음식의 작화 또한 좋고 캐릭터 디자인도 귀엽게 뽑혔다. 내용 자체는 [[일상물]]에 먹방물이지만, 작중 주인공인 마치코 료가 할머니에 대한 생각을 하는 장면이 자주 나오는데, 그러한 장면에서는 특유의 쓸쓸함이 있다. 총 12화로 완결이 되었고 원작의 15화, 키린과 료가 고등학교에들어가고 키린이 료네 집에 같이 들어가는 부분까지 커버를 하여 깔끔하게 끝냈다. ==== 기타 ==== * [[은수저 Silver Spoon]] 이후로 간만에 시도되는 [[먹방]] 소재 애니메이션. 하지만 그쪽은 부수효과에 해당한다고 치면 이쪽은 본격적으로 그 노선을 타고 있다는 게 차이. * 공교롭게도 [[미나미가]]에 나오는 세 자매와 비슷해 보인다는 일설도 있다. 미나미가 역시 세 자매가 주인공으로 나오는 애니메이션이기 때문에 동일하지만 이쪽은 먹방 소재가 거의 짙어보이는 편에다가 각각 주인공과 육촌지간과 학교 동급생이라는 점이 있기 때문에 친자매라고 보기는 어렵다. 게다가 미나미가 세 자매는 각각 초, 중, 고등학생 자매라는 점이 있다. 특히 주인공 성우로 나오는 [[사토 리나]]가 캐스팅되었다는 점이 동일한 편이었는데 미나미가에서는 고교생 맏언니 역할을 하였다. * 오히려 같은 TBS계열 작품으로 인연이 있는 [[전파녀와 청춘남/애니메이션|전파녀와 청춘남]]에 나왔던 성우들이 대거 출연했고, 이미 샤프트에서의 작품에 익숙한 성우들도 목소리를 내고 있다[* 사토 리나 역시 샤프트 제 애니메이션 주역 출신.]. 또한 다작으로 유명한 [[오카다 마리]]가 처음으로 샤프트 애니메이션의 각본을 맡은것도 포인트. * 샤프트 작품이지만 1화에선 샤프트 특유의 연출은 별로 드러나지 않아서 이게 샤프트 제작인지 몰랐다는 경우도 있었다. 하지만 2화에서 특유의 그 연출이 대폭발해서, [[샤프트(기업)|특유의 목꺾기]]가 세 번이나 나왔다. 그리고 그 이후론 샤프트 특유의 연출과 분위기와 느낌이 난다. 캐릭터 그림체 때문에 익숙치 않은 사람들은 느끼기 힘들 수 있다. * 동분기 같은 주관 방송국 방영작인 [[총황무진의 파프니르]]와는 다르게 관동 최속이지만 비슷한 시간대에 관서에서도 방영한다. * 오프닝 영상은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를 모티브로 만들었다. 그리고 [[우메츠 야스오미]]가 오프닝 디렉터, 콘티, 연출을 다 맡았다. * 아이캣치 제공화면에 나오는 캐릭터 송의 중독성이 있다. 제목은 '''ごはんの練習(식사 연습)'''으로 2015년 2월 25일에 발매된 엔딩곡에 같이 수록되어 있다. 이 엔딩곡의 앨범에는 다음화 예고를 소개할 때 나오는 료와 키린이 부르는 "타베루~ 츠쿠루~"라는 노래도 같이 수록되어 있다. 이 노래의 제목은 '''행복 그래피티(しあわせグラフィティ)'''이다. [youtube(44yEXdNc5Lk)] * 4화에 등장한 편의점에서 한국 물건의 흔적들이 발견되어 화제가 되었었다. 아마도 배경 협력에 참여한 한국인 스태프들의 소행인 듯. 심지어 편의점 카운터를 비춘 화면에선 오른쪽 윗 부분에 연금복권 520 1등 당첨자란 팻말이 놓여져 있다. 5분 20초경 일기예보에서는 '[[일본해]] 방면...'이라는 대사가 나오나, 블루레이에선 태평양으로 나온다. 하지만 블루레이에서 연금복권이 사라졌다. * 3화에서 료의 휴대폰 효과음이 [[소드 아트 온라인]]의 스테이터스 창 효과음이며, 11화에서 시이나가 료와 키린의 수험날 배웅을 하는 장면(정확하게는 돈카츠 샌드위치를 받고 전철게이트 앞)에서는 배경에 "[[뽀로로 극장판 슈퍼썰매 대모험]]"의 포스터가 붙어 있다. * 음식을 먹을 때 등장인물들의 그림체가 변할 때가 있는데 이때의 등장인물들의 그림체는 [[샤프트(기업)|샤프트]]가 제작에 참여한 [[3월의 라이온/애니메이션|3월의 라이온]]의 [[애니메이션]] 그림체와 비슷하다. == 기타 == * 제목 '행복 그래피티'에서 행복은 원제 '幸腹グラフィティ'를 보면 일반명사인 행복의 福(복 복)복과는 다른 腹(배 복)자인 걸 알 수 있다. 행복하게 배를 채운다는 중의적 표현인 듯. 일본어 독음도 둘 다 こうふく로 동일하다. [[분류:망가타임 키라라 미라클]][[분류:일본 만화/목록]][[분류:2012년 만화]][[분류:4컷 만화]][[분류:일상 만화]][[분류:요리 만화]][[분류:일본 애니메이션/목록]][[분류:2015년 1분기 일본 애니메이션]][[분류:일본 만화 원작 애니메이션]][[분류:샤프트(기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