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회원수정2)] [목차] == 개요 == [[서민금융진흥원]]에서 제공하는 여신 지원 사업을 통틀어서 총칭하는 부분이다. 서민금융통합지원센터 방문을 통해 신청해야 했지만, 코로나19 관계로 서금원 앱을 통해서도 비대면으로 신청이 가능하다. == 상품 목록 == === 생활안정자금 === ||<-3><#ffffff> {{{+1 '''햇살론 뱅크'''}}} || ||<-3> '''제도권금융 안착을 지원하는 보증부 대출 상품''' || ||<-3> 정책서민금융상품을 이용했던 저신용·저소득자가 부채 또는 신용도 개선을 통해 은행권에 안착할 수 있도록 지원 || ||<-3> [[https://www.kinfa.or.kr/product/sunBank.do#none|서민금융진흥원 햇살론뱅크]] || || '''대출한도''' || '''대출기간''' || '''상환방법''' || || 최대 2,500 만원[* (’22.2.25~’23.12.31일 한시적 증액)] || 3년 또는 5년[* (3년 선택시) 거치기간 1년 + 원리금상환기간 2년, (5년 선택시) 거치기간 1년 + 원리금상환기간 4년 선택 가능] || 원리금균등상환 || ||<-3> '''이용절차''' || ||<-3> 협약은행 창구 또는 App을 통한 신청[* (사전조회) 대출신청 전 서민금융진흥원 App을 통해 자격대상 여부를 조회 후 은행을 방문하시면 보다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 ||<-3> '''지원대상''' || ||<-3>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text-align:left;" [br] || * ① 정책서민금융상품[* 새희망홀씨, 미소금융, 근로자햇살론, 사업자햇살론, 햇살론15, 햇살론17, 바꿔드림론, 안전망대출, 안전망대출Ⅱ, 햇살론유스, 햇살론뱅크] 6개월 이상 이용한 * ② 현재 정상이용 중인 자 (또는 정상 완제 후 3년이 경과하지 않은 자) 이면서 * ③ 부채 또는 신용도가 개선된[* 보증신청일 기준 최근 1년 가계 대출잔액 감소 또는 신용평점(KCB 또는 NICE) 상승] 저소득·저신용자[* 연소득 3,500만원 이하(신용평점 무관) 또는 신용평점 하위 100분의 20에 해당하면서 연 소득 4,500만원 이하] || }}}}}} || ||<-3> '''협약은행''' || ||<-3>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text-align:left;" [br] || BNK경남은행, 광주은행, KB국민은행, IBK기업은행, NH농협은행, DGB대구은행, BNK부산은행, SH수협은행, 우리은행, 전북은행, 제주은행, 하나은행, 신한은행, 토스뱅크 || }}}}}} || ||<-3> '''기타''' || ||<-3>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text-align:left;" [br] 새희망홀씨, 미소금융, 근로자햇살론, 사업자햇살론, 햇살론15, 햇살론17, 바꿔드림론, 안전망대출, 안전망대출Ⅱ, 햇살론유스, 햇살론뱅크를 이용하면서 6개월 이상 정상 상환하고 부채나 신용점수가 개선된 사람을 대상으로 지원하는 대출이다. 온라인은행, 제일은행, 산업은행, 수출입은행을 제외한 은행에서 취급하며 대출 금리는 연 2.9~6% 수준이며 보증료 연 2%[* 사회적배려대상자 1.0%p 인하, 금융교육·컨설팅 이수자 0.1%p 인하, 저소득 청년 0.5% 인하(단, 사회적 배려대상자와 중복적용 불가)]가 별도로 부과된다. 한도는 본래 2천만원이지만, 2022년 12월 31일까지 2500만원으로 한시적으로 증액되었다. }}}}}} || ||<-3><#ffffff> {{{+1 '''근로자햇살론'''}}} || ||<-3> '''근로자 대상 보증부 대출 상품''' || ||<-3> 제도권금융 접근이 어려운 저소득·저신용 근로자에 대한 보증부대출을 통해 금융접근성을 제고하고, 금리 부담을 완화할 수 있도록 지원 || ||<-3> [[https://www.kinfa.or.kr/product/workerSun.do|서민금융진흥원 근로자햇살론]] || || '''대출한도''' || '''대출기간''' || '''상환방법''' || || 최대 2,000 만원[* (’22.2.25~’23.12.31일 한시적 증액)] || 3년 또는 5년 || 원리금균등상환 || ||<-3> '''이용절차''' || ||<-3> 햇살론은 상호금융, 저축은행 및 보험사에서 신청 가능(지점, 모바일앱 가능) || ||<-3> '''지원대상''' || ||<-3>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text-align:left;" [br] || * 3개월 이상 재직자 신청가능[* (단, 이직 등의 경우 현 직장에서 1개월 이상 재직중이고(급여수령 必) 최근 1년 이내 3개월 이상 근로의 경우 재직요건 충족 인정)] * 저소득자 : 연소득 3,500만원 이하 * 저신용자 : 개인신용평점이 하위 100분의 20[* 23년 기준 KCB 700점, NICE 749점 이하]에 해당하면서 연소득 4,500만원 이하 || }}}}}} || ||<-3> '''취급처''' || ||<-3>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text-align:left;" [br] || * 저축은행 * 농협, 새마을금고, 신협, 수협, 산림조합 * 보험사(삼성생명) || }}}}}} || ||<-3> '''기타''' || ||<-3>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text-align:left;" [br] 흔히 햇살론으로 잘 알려진 상품으로 제2금융권에 해당하는 [[농업협동조합]], [[수산업협동조합]], [[신협]], [[새마을금고]], [[산림조합]], [[상호저축은행]]을 통해 지원된다. 당연히 농협은행 및 수협은행에서는 지원이 불가능하다. 연 [[소득]] 3500만원 이하이거나, 연 소득 4500만원 이하이면서 개인 신용평점이 하위 20% 이하[*하위20% 2021년 기준 NICE 744점, KCB 700점 이하]인 사람이 지원받을 수 있다. 이율은 근로자, 자영업자 공히 10.5% 내외. }}}}}} || ||<-3><#ffffff> {{{+1 '''햇살론유'''}}} || ||<-3> '''청년층 대상 보증부 대출 상품''' || ||<-3> 취업준비생 및 사회초년생의 자금애로를 완화, 취업활동에 전념하고 제도권 금융에 안착할 수 있도록 지원 || ||<-3> [[https://www.kinfa.or.kr/product/sunYouth.do|서민금융진흥원 햇살론유]] || || '''대출한도''' || '''대출기간''' || '''상환방법''' || || 최대 1,200만 || 10년 ~ 15년 || 원리금균등상환 || ||<-3> '''이용절차''' || ||<-3> 햇살론은 상호금융, 저축은행 및 보험사에서 신청 가능(지점, 모바일앱 가능) || ==== 자영업자 햇살론 ==== 사업운영자금 기준 최대 2000만원, 창업자금 기준 최대 5000만원까지 대출이 가능하다. [[https://www.fss.or.kr/s1332/financial/financial03030301.jsp|금감원 홈페이지에 나와 있는 사업운영자금 점수표]] === 햇살론15 === 제1금융권 은행(산업은행, 수출입은행, 케이뱅크, 토스뱅크만 아니면 된다)을 통해 대출이 되는 상품이다. 햇살론과 마찬가지로 연 소득 3500만원 이하이거나, 연 소득 4500만원 이하이면서 개인 신용평점이 하위 20% 이하[*하위20% 2021년 기준 NICE 744점, KCB 700점 이하]인 사람이 지원받을 수 있다. 이율은 15.9%[* 본래 17% 내외의 햇살론17로 제공되었으나, 이마저도 이율이 인하된 것이다.]이지만 성실히 상환하는 경우 매년 1.5%~ 3%씩 금리를 인하[*이율감면 대출기간이 3년인 경우 1년마다 3.0%p 감면, 대출기간이 5년인 경우 1년마다 1.5%p 감면]한다. 이율이 터무니없이 높긴 하지만 [[단기카드대출]]이나 [[장기카드대출]] 대신 쓰라고 만들어진 상품이긴 하며 성실히 상환하면 매년 금리가 인하된다는 점이 유용하긴 하다. 신한, 우리, 전북, 광주, 카카오뱅크, 부산은행은 모바일 앱으로 햇살론15 신청 가능하다. 햇살론15마저 거절된다면 최저신용자 특례보증을 이용해 볼 수 있다. 위탁보증 한도 700만원을 포함해 총 1400만원 한도로 받을 수 있었으나, 마찬가지로 코로나19 관계로 한시적으로 2천만원 한도로 상향. ==== 위탁보증 ==== 3개월 이상 재직기간이나 1개월 이상 연금 수령 이력이 있으면 되고, 전북은행, 신한은행, 우리은행, 카카오뱅크는 온라인으도 신청 가능하다. 나머지 취급 은행은 점포를 방문해야 한다. ==== 특례보증 ==== 위탁보증으로 지원받기 어려운 급여현금수령자, 재직 1개월 이상~ 3개월 미만자, 무등록 및 유점포 사업자, 정규증빙이 어려운 개인택시 운전자 및 농축임어업 종사자, 채무조정 성실상환자를 대상으로 진행된다. 서금원 서민금융지원센터를 방문하거나 해서 지원 신청을 해야 한다. ==== 최저신용자 특례보증 ==== 햇살론과는 별개의 상품이지만 햇살론15 거절 이력이 있어야 하기에 햇살론 15 문서 하위에 서술했다. 연소득 4500만원 이하이면서 신용평점 하위 10%[* 22년 기준 KCB 670점 또는 NICE 724점 이하]애 해당하는 사람을 대상으로 지원한다. 이율은 햇살론15와 마찬가지로 15.9%이지만 성실히 상환하는 경우 매년 1.5%~ 3%씩 금리를 인하[*이율감면 대출기간이 3년인 경우 1년마다 3.0%p 감면, 대출기간이 5년인 경우 1년마다 1.5%p 감면]한다. 최초 대출시 500만원 한도로 승인되지만, 성실상환시 같은 금융기관에서 1회 추가 대출이 가능하다. 22년 9월 29일 현재 광주은행, 전북은행에서만 신청이 가능하며, 22년 4분기 중으로 웰컴저축·DB저축·하나저축·NH저축은행, 23년 상반기 중으로 신한저축·우리금융저축·BNK저축·IBK저축·KB저축은행에서 출시될 예정이다. === [[햇살론 유스]] === 대학생 및 청년 대상 상품. 해당 문서 참고. === 햇살론카드 === 롯데, 현대, 국민, 삼성, 신한, 우리, 하나카드에서 발급하며 연 가처분소득 600만원 이상, 신용평점 하위 20% 이하[*하위20% 2021년 기준 NICE 744점, KCB 700점 이하], 햇살론카드 필수교육을 이수한 사람으로서 기존 신용카드가 없는 사람에 한해 발급된다. 한도는 최대 180만원[* 서금원 보증한도에서 20만원 차감된 한도]이며 카드대출(현금서비스, 카드론, 리볼빙) 및 결제대금 연기, 분할납부가 제한된다. 또한 클린카드로 발급되어 사행성 업종에서는 결제가 불가능하다. 또한 모든 카드가 국내전용으로 발급되어 해외 결제가 불가능하다. 연회비가 여타 카드 대비 저렴하기도 한 편. == 그 외 == === 신용·부채관리 컨설팅 === 상기 정책금융상품을 이용한 사람을 대상으로 서민금융진흥원 금융컨설턴트가 월 1회 전화상담 혹은 채팅상담을 통해 신용등급 향상 솔루션을 제공한다. 소소하게는 햇살론뱅크 이용시 보증료 0.1% 할인 혜택이 주어지기도 한다. === 금융사기 대응 === [[https://www.fss.or.kr/s1332/privateLoan/privateLoan05020401.jsp|해당 링크 참조.]] == 사건사고 == === 대출사기 브로커 구속기소 === [[https://www.spo.go.kr/preview/skin/doc.html?fn=ebb67eb0-06f8-45d2-be80-21428b4eb2c9.pdf&rs=/preview/result/board/1403/|221024_보도자료(서민금융상품_대출사기_브로커_5명(4명_구속)_기소)-서울남부지검.pdf]] [[분류:여신(금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