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2022년 영화]][[분류:한국의 코미디 영화]][[분류:12세이상관람가 영화]] ||<-2>
{{{#000000,#dddddd '''{{{+1 핸썸}}}''' (2022)[br]}}} || ||<-2>{{{#!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핸썸2947.jpg|width=100%]]}}}|| || '''장르''' ||{{{#!wiki style="margin: 0px 10px" 코미디}}} || || '''감독''' ||{{{#!wiki style="margin: 0px 10px" 김동욱}}} || || '''각본''' ||{{{#!wiki style="margin: 0px 10px" 김동욱, 조선학}}} || || '''각색''' ||{{{#!wiki style="margin: 0px 10px" 신용훈, 박지현, 정원준, 반금희}}} || || '''제작''' ||{{{#!wiki style="margin: 0px 10px" 김성룡, 조병연, 용세형}}} || || '''투자''' ||{{{#!wiki style="margin: 0px 10px" 조병연}}} || || '''프로듀서''' ||{{{#!wiki style="margin: 0px 10px" 서채우}}} || || '''기획''' ||{{{#!wiki style="margin: 0px 10px" 성채영, 장혜진}}} || || '''프로듀서''' ||{{{#!wiki style="margin: 0px 10px" 서채우}}} || || '''출연''' ||{{{#!wiki style="margin: 0px 10px" [[신현준]], [[박솔미]] 외}}} || || '''촬영''' ||{{{#!wiki style="margin: 0px 10px" 최영선}}} || || '''조명''' ||{{{#!wiki style="margin: 0px 10px" 남한호, 정용택}}} || || '''편집''' ||{{{#!wiki style="margin: 0px 10px" 서승현}}} || || '''음악''' ||{{{#!wiki style="margin: 0px 10px" 장준구, 허수진}}} || || '''미술''' ||{{{#!wiki style="margin: 0px 10px" 강소현}}} || || '''의상''' ||{{{#!wiki style="margin: 0px 10px" 박정미}}} || || '''분장''' ||{{{#!wiki style="margin: 0px 10px" 왕민}}} || || '''동시녹음''' ||{{{#!wiki style="margin: 0px 10px" 김진호, 오지홍, 박대현}}} || || '''음향''' ||{{{#!wiki style="margin: 0px 10px" 장준구}}} || || '''시각효과''' ||{{{#!wiki style="margin: 0px 10px" 황동욱}}} || || '''무술감독''' ||{{{#!wiki style="margin: 0px 10px" 전제혁}}} || || '''조감독''' ||{{{#!wiki style="margin: 0px 10px" 정원준}}} || || '''색보정''' ||{{{#!wiki style="margin: 0px 10px" 노현준}}} || || '''제작사''' ||{{{#!wiki style="margin: 0px 10px"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모그픽쳐스}}} || || '''투자사''' ||{{{#!wiki style="margin: 0px 10px"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더그레이트 컴퍼니}}} || || '''배급사''' ||{{{#!wiki style="margin: 0px 10px"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박수엔터테인먼트]]}}} || || '''개봉일''' ||{{{#!wiki style="margin: 0px 10px"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2022년 7월 13일}}} || || '''상영 시간''' ||{{{#!wiki style="margin: 0px 10px" 94분}}} || || '''대한민국 총 관객 수''' ||{{{#!wiki style="margin: 0px 10px" }}} 1,503명 || || '''상영 등급''' ||{{{#!wiki style="margin: 0px 10px" '''[[12세 이용가|[[파일:영등위_12세이상_2021.svg|width=30]] {{{#373a3c,#dddddd 12세 이상 관람가}}}]]'''}}}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2022년 코미디 영화이다. 김동욱[* 2006년 영화 [[생날선생]]과 2008년 영화 '죽이고 싶은 남자'를 연출한 적이 있는 감독이다.]이 연출의 총책임을 맡았고, [[신현준]], [[박솔미]] 등이 출연하였다. == 예고편 == [youtube(s3lY83kl3_Y)] == 시놉시스 == >얼굴만 보면 100% 조폭! >어느 날 내가 강력반 제일가는 꽃미남이 되었다?! > >범죄 소탕 작전 잠입수사가 한창, 착하고 순한 성격과는 달리 >얼굴만 보면 조폭이 더 어울리는 정식 경찰 ‘노미남’. >어느 날, 동료 형사의 싸움을 말리다 사고를 당해 수술 후 한달만에 깨어났다. >그런데, 깨어나 처음 본 내 얼굴이 달라졌다?! >조폭 같은 NO미남에서 세계 최고의 미남이 되었다! >나를 보는 남들의 시선도 달라져 보이는 나르시시즘에 빠진 ‘노미남’. >얼굴만 믿고 나서는 강력반 제일가는 골치덩이가 되어 >결국 변두리 미용실 잠입수사로 밀리게 되는데… > >못생긴 나에게 찾아온 초대형 기회! 과연 그 결과는? >---- >출처: [[다음 영화]] == 등장인물 == * [[신현준]][* 김경모가 대역을 맡았다.] - 노미남 역 강력반 최강의 꽃미남. 사실 이것은 자칭이고, 사고 전까지 자신의 얼굴에 자신감이 없었으나, 사고 후 병실에서 일어나보니 자신의 얼굴이 [[나르시시즘|꽃미남처럼 느껴졌다.]] 잠입수사를 주로 한다. * [[박솔미]] - 아리 역 노미남이 스스로를 꽃미남처럼 느낀 이후, 임무 수행을 위해 잠입하게 된 미용실의 사장. 노미남을 미용실 시다로 고용한다. * [[박민지]] - 노여옥 역 노미남의 여동생. 노미남에게 각별하다. * 윤정섭 - 신재혁 역 * [[박형섭]] - 유민 역 * 전제혁 - 보스 역 * 이종일 - 서장 역 * 김미림 - 비서 역 * 손소영 - 황길례 역 * 오윤수 - 찬주 역 * 남태하 - 피의자 역 * 김보성 - 만취남 역 * 정재훈 - 정재훈 역 * 이마태오 - 이마태오 역 * 김현섭 - 유민준 역 * 김수호 - 김일곤 역 * 김승우 - 김승우 역 * 손범서 - 손범서 역 * 김윤우 - 김윤우 역 * 우주명 - 우주명 역 * 변미선 - 변미선 역 * [[조덕현]] - 탁 반장 역 (특별출연) 강력반의 반장이다. * 김정팔 - 타보스 역 (특별출연) * 신용훈 - 준식 역 (우정출연) * 홍여준 - 오토바이남 역 (우정출연) {{{#!folding [ 단역급 인물 펼치기ㆍ접기 ] * 엄선영 - 빌라여자 역 * 김경탁 - 순경1 역 * 이관욱 - 순경2 역 * 박시하 - 옆집 견모 역 * 강기재, 조민준, 한태경, 이동현, 한찬규 - 보스조직원 역 * 신두리, 김원중, 구중림, 우성현, 박진영, 범승제 - 타 보스조직원 역 * [[장명준]] - 소매치기 역 * [[박민규(더블비)|박민규]] - 용감한시민 역 * 김지수, 류이나 - 헌팅녀1 역 * 정서연 - 여중생 역 * 황순혁, 천석기 - 덩치 역 * 우광훈 - 의사 역 * 김세별 - 양간호사 역 * 황지수 - 김간호사 역 * 현다슬 - 유간호사 역 * 김승아, 오지연, 박소라 - 간호사 역 * 채수연 - 병원여인 역 * 강소현 - 공옥자 역 * 이현준, 문성환 - 보디가드1 역 * 한여화 - BJ핑꾸똥꾸 역 * 허애선 - 양언니 역 * 박소라, 문현지 - 미용실손님1 역 * [[돌잼|강진우, 김도혁, 오지환]], 이선제, 김미경 - 안토니오 팬 역 * 최자인 - 영정할머니 역 * 엄정숙, 김옥자 - 할머니 역 * 한바다 - 남고생 역 * 김정섭 - 엔딩보스 역 * 강기재, 이동민, 한동주, 구중림, 정성재, 김기훈, 범승제, 독고광, 이승건, 박재우, 오승택, 정유준, 심형우, 도형우, 김보근, 신연우, 김민우, 임상완, 정현서 - 엔딩조직원 역}}} == 줄거리 == == 사운드트랙 == [[Auld Lang Syne]]의 다양한 변주곡이 배경음악으로 사용되었다. == 평가 == 한국에서 평점이 매우 좋지 못한 편에 속한다. 2022년 11월 초 시점에서 네이버에서는 266명이 참여한 별점이 2점대이고, 다음에서는 52명이 참여한 별점이 3점대이다. == 흥행 == 이 작품을 보기 위해, 한국에서 1,503명의 관객이 극장을 찾아 관람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