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clearfix] == 개요 == [[1989년]] [[핸드볼]] 영광의 큰잔치를 기점으로 시작해 한국 핸드볼의 최강자를 가렸던 대회. [[2009년]] [[핸드볼 코리아리그]] 출범 이후 권위가 다소 떨어지기는 했지만, 여전히 한국 핸드볼 주요 대회 중 하나. == 역사 == === 핸드볼 큰잔치 === [[1988 서울 올림픽]]에서 한국 핸드볼은 여자팀이 금메달, 남자팀이 은메달을 차지하면서 한국 구기 종목 중에서 최고의 성적을 낸 종목으로 등극했다. 이에 따라 핸드볼을 기존 겨울 스포츠의 강자였던 [[농구]]와 [[배구]]에 필적하는 인기 스포츠로 만들기 위한 일환으로 핸드볼 큰잔치를 기획했다. 방식은 그 당시 인기가 있던 [[농구대잔치]]와 비슷한 지방 순회 투어 형식이었다. 그러나 결론부터 말하면 [[핸드볼]]은 올림픽 때만 반짝 관심을 얻는 종목에서 벗어나지 못했다. [[1980년대]] 후반에는 이미 굴지의 대기업들이 [[농구]]나 [[배구]]단을 보유하고 있었기 때문에 신규 창단을 하지 않아서 자본의 투자를 통한 인기 스포츠로의 도약은 어려웠다. 또한 이미 시장을 선점한 농구나 배구의 아성을 넘기에는 역부족이었고 이를 극복하기 위한 [[TV]] [[중계]]의 경우 출범 당시 시점에서는 채널의 수가 대단히 부족한 실정이었다. 국가대표로 금메달을 땄지만 이들이 대중적인 스타로 발돋움한 것도 아니었다. 무엇보다 [[1997년 외환 위기]] 이후에는 있던 기업 구단도 해체의 소용돌이에 빠져 들었다. 경영이 어려워지면 해체하는 구단 1순위가 바로 핸드볼단이었다. 결국 핸드볼큰잔치는 겨울 스포츠 시즌에서 [[농구]]와 [[배구]]에게 밀리는 신세였고 이는 '한데볼'이라는 좋지 않은 별명을 얻는 원인이 되었다. === 우생순 이후 === [[2004 아테네 올림픽]] 여자 핸드볼 결승전은 한국시간으로 오후 4시에 중계되어 약 3시간 동안 [[덴마크]]와 처절한 접전을 주고 받는 명승부였다. 해당 명승부는 영화로 제작해 [[우리 생애 최고의 순간]]으로 개봉했는데 이 때 얻은 국민적인 관심을 계기로 핸드볼은 그나마 간신히 숨통이 뜨였다. 하지만 그렇다고 바로 인기 스포츠로 도약한 것은 아니었고 본격적인 변화는 [[2008 베이징 올림픽]] 여자 핸드볼 3·4위전, 일명 언니들의 졸업식 이후, 마침내 대기업 [[SK그룹|SK]]의 후원과 20년 숙원인 전용 경기장을 가지면서 핸드볼 큰잔치는 도약의 계기를 마련할 수 있었다. === 코리아컵 개칭, 그리고 중단 === [[2011년]] 대한핸드볼협회는 핸드볼큰잔치의 이름을 핸드볼 코리아컵으로 개칭했다. 이유는 여론 조사 결과 다소 촌스럽다는 의견이 나왔기 때문이라고 한다. 그러나 개칭 후 세 번째 대회인 [[2013년]] 대회는 무산되었는데, 이유는 참가 구단 부족. 개최 시기가 [[2월]]로 바뀌면서 [[3월]]에 시작하는 [[핸드볼 코리아리그]]에 비중을 둘 수 밖에 없는 각 구단이 리그 준비를 이유로 참가에 난색을 표했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앞으로 코리아컵이 계속 진행될 지는 불투명해졌다. === 직지컵으로 부활? === [[2018년]] 청주에서 코리아컵과 비슷하게 실업-대학팀이 겨루는 직지컵이 청주 올림픽기념생활관[* [[SK 호크스]]의 홈구장이다.]에서 열렸다. [[http://osen.mt.co.kr/article/G1110852680|#]] 2018년부터 핸드볼 코리아리그가 동계리그로 열리면서, 비시즌 시기의 흥행과 선수 기량 파악을 목적으로 계속 개최할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나 한 번의 개최 이후 또다시 중단이 되고 말았다. 결국 2019년도부터 2020년도까지는 실업-대학 간 대회가 없고 생활 핸드볼단과 대학 구단 간의 경기라는, 비슷해보이지만 다른 케이스로 치러지는 협회장배 전국생활체육대회만 남게 됐다. [[분류:대한핸드볼협회]][[분류:대한민국의 핸드볼]][[분류:대한민국의 스포츠 대회]][[분류:핸드볼 대회]][[분류:컵 대회]][[분류:1989년 설립]][[분류:2013년 폐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