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제9대 부산시의원/지역구)] ||<-4> '''[[부산광역시|[[파일:부산광역시 휘장_White.svg|height=20]]]] {{{#fff [[부산광역시|{{{#fff 부산광역시}}}]]의 [[부산광역시의회|{{{#fff 의회}}}]][[선거구|{{{#fff 선거구}}}]]}}}'''[br]{{{#!wiki style="margin: -5px -10px; display: inline-table"' || {{{#!wiki style="margin: -5px 0" [[부산광역시의회|[[파일:지방의회 휘장.svg|height=70]]]]}}}||{{{#!wiki style="margin: -5px 0" '''{{{+2 {{{#fff 해운대구 제1선거구}}}}}}'''[br]{{{-1 {{{#fff 우동, 중1동[br]海雲臺區 第一選擧區[br]Haeundae District 1}}}}}}}}} ||}}} || ||<-4>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해운대구_제1선거구8재.png|width=100%]]}}} || ||<-2> '''선거인 수''' ||<-2> 92,157명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2022년]]) || ||<-2> '''상위 행정구역''' ||<-2> [[부산광역시]] || ||<-2> '''관할 구역''' ||<-2>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해운대구 일부'''[br]우1동, 우2동, 우3동, 중1동}}} || ||<-2> '''시의원''' || [include(틀:국민의힘)] || 신정철 ,,(재선),, || [목차] [clearfix] == 개요 == [[부산광역시의회]]의 선거구로 [[부산광역시]] [[해운대]]의 남서부에 위치한 [[우동(부산)|우동]], [[중동(부산)|중1동]] 일대를 관할한다. 국내에서 가장 많은 관광객이 몰리는 해수욕장인 [[해운대 해수욕장]]이 이 곳에 위치해있으며, [[마린시티]]라 불리우는 부산에서 가장 땅값이 높은 부촌 지역이 이 곳에 포함되어 있다. 역시나 부촌 지역답게 전통적으로도 보수 성향이 짙은 편이였으나, [[문재인 정부/평가/경제/부동산 정책|문재인 정부의 부동산 실정]]으로 이 지역도 전국의 거의 대부분의 부촌 지역과 마찬가지로 큰 타격을 입게 되면서 부산 최고수준까지 [[국민의힘]] 지지세가 올라갔으며, 특히 [[우동(부산)|우3동]] 지역은 [[2020년]]부터 계속 보수정당 후보에게 70% 이상을 주고 있어 거의 [[부울경]]보다는 [[대경권]]에 근접한 수준의 몰표를 자랑 중이다. 물론 [[문재인 정부]]의 임기 초였던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7회 지선]]때는 [[자유한국당]]이 워낙 흠좀무한 상태인지라 그 우3동을 빼면 모두 [[더불어민주당]]이 승리하여 4년간 시의원 자리를 차지하고 있기도 했다. == 역대 선거 결과 == || 대수 || 당선자 || 당적 || 임기 || 비고 || ||<-5> '''해운대구 제1선거구''' || || 제2대 || 김용완 || [include(틀:무소속)] || [[1995년]] [[7월 1일]] ~ [[1998년]] [[6월 30일]] ||<|3> [* '''우1동''', '''우2동''', '''중1동''', 중2동, 좌동, 송정동] || || 제3대 || 최정식 ||<|2> [include(틀:한나라당(1997~2004))] || [[1998년]] [[7월 1일]] ~ [[2002년]] [[6월 30일]] || || 제4대 || [[권영적]] || [[2002년]] [[7월 1일]] ~ [[2006년]] [[6월 30일]] || || 제5대 ||<|2> [[이동윤(정치인)|이동윤]] ||<|2> [include(틀:한나라당)] || [[2006년]] [[7월 1일]] ~ [[2010년]] [[6월 30일]] || [* '''우1동''', '''우2동''', '''중1동''', 중2동] || || 제6대 || [[2010년]] [[7월 1일]] ~ [[2014년]] [[6월 30일]] ||<|2> [* '''우1동''', '''우2동''', '''중1동'''] || || 제7대 || 신정철 || [include(틀:새누리당(2012년))] || [[2014년]] [[7월 1일]] ~ [[2018년]] [[6월 30일]] || || 제8대 || [[이주환(1987)|이주환]]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 [[2018년]] [[7월 1일]] ~ [[2022년]] [[6월 30일]] ||<|2> [* '''우1동''', '''우2동''', '''우3동''', '''중1동'''][* [[2016년]] [[1월 1일]]에 우3동이 우1동으로부터 분동되었다.] || || 제9대 || 신정철 || [include(틀:국민의힘)] || [[2022년]] [[7월 1일]] ~ 현재 || ===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 ||<-4> {{{#ffffff {{{+1 '''해운대구 제1선거구'''}}}}}}[br]{{{#ffffff 우1동, 우2동, 중1동, 중2동, 좌동, 송정동}}}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1'''}}}}}} || 김우곤(金佑坤) || 11,700 || 2위 || || [include(틀:민주자유당)] || 27.99% || 낙선 || ||<|2> {{{#FFFFFF {{{+5 '''2'''}}}}}} || 홍상기(洪象寄) || 8,683 || 4위 || || [include(틀:민주당(1991년))] || 20.77% || 낙선 || ||<|2> {{{#FFFFFF {{{+5 '''3'''}}}}}} || '''김용완(金龍莞)''' || '''12,697''' || '''1위''' || || [include(틀:무소속)] || '''30.38%''' || '''당선''' || ||<|2> {{{#FFFFFF {{{+5 '''4'''}}}}}} || 최정식(崔廷植) || 8,710 || 3위 || || [include(틀:무소속)] || 20.84% || 낙선 || ||<|3> '''계''' || '''선거인 수''' || 66,756 ||<|3> '''투표율'''[br]66.10% || || '''투표 수''' || 44,126 || || '''무효표 수''' || 2,336 || === [[제2회 전국동시지방선거]] === ||<-4> {{{#ffffff {{{+1 '''해운대구 제1선거구'''}}}}}}[br]{{{#ffffff 우1동, 우2동, 중1동, 중2동, 좌동, 송정동}}}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1'''}}}}}} || '''최정식(崔廷植)''' || '''32,685''' || '''1위''' || || [include(틀:한나라당(1997~2004))] || '''62.41%''' || '''당선''' || ||<|2> {{{#FFFFFF {{{+5 '''4'''}}}}}} || 윤동렬(尹同烈) || 12,900 || 2위 || || [include(틀:무소속)] || 24.63% || 낙선 || ||<|2> {{{#FFFFFF {{{+5 '''5'''}}}}}} || 이덕재(李德宰) || 3,546 || 3위 || || [include(틀:무소속)] || 6.77% || 낙선 || ||<|2> {{{#FFFFFF {{{+5 '''6'''}}}}}} || 조영일(趙暎一) || 3,237 || 4위 || || [include(틀:무소속)] || 6.18% || 낙선 || ||<|3> '''계''' || '''선거인 수''' || 121,099 ||<|3> '''투표율'''[br]45.61% || || '''투표 수''' || 55,245 || || '''무효표 수''' || 2,877 || === [[제3회 전국동시지방선거]] === ||<-4> {{{#ffffff {{{+1 '''해운대구 제1선거구'''}}}}}}[br]{{{#ffffff 우1동, 우2동, 중1동, 중2동, 좌동, 송정동}}}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1'''}}}}}} || '''[[권영적]](權寧迪)''' || '''36,221''' || '''1위''' || || [include(틀:한나라당(1997~2004))] || '''65.46%''' || '''당선''' || ||<|2> {{{#FFFFFF {{{+5 '''3'''}}}}}} || 김해리(金海利) || 6,949 || 3위 || || [include(틀:사회당(1998년))] || 12.55% || 낙선 || ||<|2> {{{#FFFFFF {{{+5 '''4'''}}}}}} || [[김석조]](金碩助) || 12,160 || 2위 || || [include(틀:무소속)] || 21.97% || 낙선 || ||<|3> '''계''' || '''선거인 수''' || 139,738 ||<|3> '''투표율'''[br]40.98% || || '''투표 수''' || 57,272 || || '''무효표 수''' || 1,942 || === [[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 === ||<-4> {{{#ffffff {{{+1 '''해운대구 제1선거구'''}}}}}}[br]{{{#ffffff 우1동, 우2동, 중1동, 중2동}}}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000000 {{{+5 '''1'''}}}}}} || 김용환(金龍煥) || 6,055 || 2위 || || [include(틀:열린우리당)] || 18.26% || 낙선 || ||<|2> {{{#FFFFFF {{{+5 '''2'''}}}}}} || '''[[이동윤(정치인)|이동윤]](李東潤)''' || '''23,383''' || '''1위''' || || [include(틀:한나라당)] || '''70.52%''' || '''당선''' || ||<|2> {{{#FFFFFF {{{+5 '''4'''}}}}}} || 허용관(許詠寬) || 3,716 || 3위 || || [include(틀:민주노동당)] || 11.20% || 낙선 || ||<|3> '''계''' || '''선거인 수''' || 73,070 ||<|3> '''투표율'''[br]46.22% || || '''투표 수''' || 33,774 || || '''무효표 수''' || 620 || ===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 === ||<-4> {{{#ffffff {{{+1 '''해운대구 제1선거구'''}}}}}}[br]{{{#ffffff 우1동, 우2동, 중1동}}}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1'''}}}}}} || '''[[이동윤(정치인)|이동윤]](李東潤)''' || '''18,927''' || '''1위''' || || [include(틀:한나라당)] || '''57.85%''' || {{{#000000 '''당선''' }}} || ||<|2> {{{#ffffff {{{+5 '''7'''}}}}}} || 허영관(許詠寬) || 9,359 || 2위 || || [include(틀:진보신당)] || 28.61% || 낙선 || ||<|2> {{{#ffffff {{{+5 '''8'''}}}}}} || 백웅영(白雄榮) || 4,426 || 3위 || || [include(틀:무소속)] || 13.53% || 낙선 || ||<|3> '''계''' || '''선거인 수''' || 71,436 ||<|3> '''투표율'''[br]47.23% || || '''투표 수''' || 33,744 || || '''무효표 수''' || 1,032 || ===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 === ||<-4> {{{#ffffff {{{+1 '''해운대구 제1선거구'''}}}}}}[br]{{{#ffffff 우1동, 우2동, 중1동}}}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1'''}}}}}} || '''신정철(申定鐵)''' || '''27,485''' || '''1위''' || || [include(틀:새누리당(2012년))] || '''61.94%''' || '''당선''' || ||<|2> {{{#FFFFFF {{{+5 '''2'''}}}}}} || 장호출(張鎬出) || 16,883 || 2위 || || [include(틀:새정치민주연합)] || 38.05% || 낙선 || ||<|3> '''계''' || '''선거인 수''' || 83,329 ||<|3> '''투표율'''[br]54.87% || || '''투표 수''' || 45,726 || || '''무효표 수''' || 1,358 || ===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 ||<-4> {{{#ffffff {{{+1 '''해운대구 제1선거구'''}}}}}}[br]{{{#ffffff 우1동, 우2동, 우3동, 중1동}}}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1'''}}}}}} || '''[[이주환(1987)|이주환]](李宙晥)''' || '''22,756''' || '''1위''' ||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 '''46.08%''' || '''당선''' || ||<|2> {{{#FFFFFF {{{+5 '''2'''}}}}}} || 박문자(朴文子) || 18,304 || 2위 || || [include(틀:자유한국당)] || 37.07% || 낙선 || ||<|2> {{{#FFFFFF {{{+5 '''3'''}}}}}} || 최명진(崔明辰) || 3,737 || 3위 || || [include(틀:바른미래당)] || 7.56% || 낙선 || ||<|2> {{{#FFFFFF {{{+5 '''6'''}}}}}} || 박소영(朴昭泳) || 1,313 || 5위 || || [include(틀:무소속)] || 2.65% || 낙선 || ||<|2> {{{#FFFFFF {{{+5 '''7'''}}}}}} || 신정철(申定鐵) || 3,264 || 4위 || || [include(틀:무소속)] || 6.61% || 낙선 || ||<|3> '''계''' || '''선거인 수''' || 86,230 ||<|3> '''투표율'''[br]58.47% || || '''투표 수''' || 50,421 || || '''무효표 수''' || 1,047 || ===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 === ||<-4> {{{#ffffff {{{+1 '''해운대구 제1선거구'''}}}}}}[br]{{{#ffffff 우1동, 우2동, 우3동, 중1동}}}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1'''}}}}}} || 이태희(李泰熙) || 13,299 || 2위 ||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 29.97% || 낙선 || ||<|2> {{{#FFFFFF {{{+5 '''2'''}}}}}} || '''신정철(申定鐵)''' || '''31,075''' || '''1위''' || || [include(틀:국민의힘)] || '''70.02%''' || '''{{{#000000 당선}}}''' || ||<|3> '''계''' || '''선거인 수''' || 92,157 ||<|3> '''투표율'''[br]49.05% || || '''투표 수''' || 45,202 || || '''무효표 수''' || 828 || [[더불어민주당]]에서는 [[이주환(1987)|이주환]] 시의원이 불출마하며 새 후보를 찾아야 한다. [[제20대 대통령 선거|얼마 전 대선]] 때 [[대한민국대전환 선거대책위원회|이재명 캠프]] [[부산광역시]] 선대위 2030 상황실장을 맡은 이태희 후보가 단수공천을 받았다. [[국민의힘]]에서는 저번 선거에서는 공천에 불복해 [[무소속]]으로 출마했던 신정철 전 시의원이 75세의 고령임에도 공관위의 논의를 통해 단수공천을 받아내며 재선에 도전한다.[* 특히 신정철 후보 다음으로 나이가 많은 국민의힘 후보들의 나이는 65세 정도로, 무려 10살 차이나 나는 점에서 더 눈에 띈다. 일반적으로 정치인들은 70대가 되면 은퇴를 고려하거나 고령자라는 이유로 컷오프 당하는 경우가 다반사이기 때문이다.] 다른 정당이나 [[무소속]] 후보는 출마하지 않아 양당 1:1구도가 형성되었다. 개표 결과 국민의힘 신정철 후보가 부산시의원 선거 중 유일하게 70%를 넘는 득표율을 올리며 부산시의원 최고령 당선자에 이름을 올렸다.[* [[1947년]] [[4월 20일]]생으로 나이는 앞에서도 서술했듯이 만 75세이다. 반면 최연소 당선인인 [[금정구 제2선거구]]의 [[이준호(1989)|이준호]] 당선인은 [[1989년]] [[12월 29일]]생으로 만 32세인데, 두 사람의 나이차는 무려 43세로 2배를 가볍게 넘는다.] 신정철 후보의 득표율을 동별로 보면 우1동에서 66.4%, 중1동 67.8%, 우2동 69.05%로 60% 후반대로 압살하였다. 하지만 우3동에서는 이를 또 월등히 뛰어넘는 수준인 77.2%의 몰표로 아예 전체 득표율을 70%로 끌어올리게 되었다. 민주당이 상대적으로 선전하는 관외사전투표에도 63.3% : 36.7%로 관내투표보다는 선전했지만 다른 지역보다 훨씬 국민의힘의 지지세가 높은 수준으로 나왔다. [[분류:선거구/부산광역시]][[분류:해운대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