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대한민국 군경의 국가지정 대테러부대)] [include(틀:대한민국 해양경찰청)] ||<-2>
{{{+2 {{{#fff '''해양경찰특공대'''}}}}}}[br]{{{#fff 海洋警察特攻隊 | Sea Special Attack Team }}}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해경특공대 로고.jpg|width=60%]]}}} || || '''약칭''' ||'''SSAT'''|| || '''창설일''' ||[[2002년]] [[1월 9일]] || || '''소속''' ||[[중부해경청]], [[동해해경청]], [[서해해경청]], [[남해해경청]], [[제주해경청]][* 현재까지는 이렇게 5개의 지방해양경찰청에 소속되어 있다.] || || '''대장''' ||[[경감(계급)|경감]]~[[경정(계급)|경정]] 보임 || || '''역할''' ||해상[[테러]] 예방 및 진압, 국가중요산업시설 보호, 해상 특수범죄 대응, 특수 [[인명구조]] || || '''관련링크''' ||[[https://www.kcg.go.kr/jungbucgh/ad/te/telList.do?mi=2639&tel=%ED%8A%B9%EA%B3%B5%EB%8C%80|[[파일:해양경찰청 OI.svg|width=20]]]][* [[중부해경청]] 소속 홈페이지]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해양경특1.jpg|width=150%]]}}}|| || '''해양경찰특공대'''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해양경특2.jpg|width=150%]]}}}||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해양경찰특공대 진입 훈련.png|width=150%]]}}}|| || '''해양경찰특공대 진압 훈련''' || [목차] [clearfix] == 개요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조타실을 진압하는 해양경찰 특공대원.jpg|width=150%]]}}} || || '''조타실 진압 훈련하는 해양경찰특공대'''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ZtyauTaVB7o)]}}}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Eo3qw8zmu-Q)]}}} || || '''국방티비 해양경찰특공대 소개영상''' || '''KBS Busan 해양경찰특공대 영상''' || [[대한민국 경찰청]]에 [[경찰특공대]]가 있다면 [[대한민국 해양경찰청]]에는 해양경찰특공대 '''SSAT'''('''S'''ea '''S'''pecial '''A'''ttack '''T'''eam)가 있다. 해양경찰특공대의 정의는 "대테러 전술, [[EOD]] 훈련을 받고 지방 해양경찰청에 배치되어 해상테러 예방, 진압활동 및 선박 수색, 특수범죄 진압[* [[https://www.instagram.com/p/COoxF_pMga-/?igshid=187wzum7spmv6|실제사례]]]등의 특수임무를 수행하는 부대"이다. 과거에는 전국 [[공무원]] 중 유일하게 필기 평가 없이 실기 평가 결과로만 선발하는 직렬이었으나 이제는 아니다. [[2022년]] 필기 평가 추가가 확정되어 해양경찰학개론과 잠수이론 이렇게 2과목의 시험을 치르게 된다. 실기 과목이 7개에 난이도 또한 상당히 높아서 실기에 올인한 [[특수부대]] 출신 [[인간흉기|인간 병기]]들과 다시 경쟁해 거르고 걸러진 소수의 인원들이 선발되는 집단으로 경찰특공대와 더불어 명실상부 '''대한민국 최고의 [[대테러부대]] 중 하나'''이다. == 구조 == '''총 5개 특공대가 있는데 동해, 서해, 남해, 중부, 제주 지방해양경찰청 소속 각 1개이다.''' * [[대한민국 해양경찰청]] 소속 * 해양경찰특공대(SSAT) * [[중부지방해양경찰청|중부해경청]](인천) SSAT * [[동해지방해양경찰청|동해해경청]](동해) SSAT * [[서해지방해양경찰청|서해해경청]](목포) SSAT * [[남해지방해양경찰청|남해해경청]](부산) SSAT * [[제주지방해양경찰청|제주해경청]](제주) SSAT '''대한민국 해양경찰청 소속 특공대의 편제는 보통 다음과 같다.''' * 특공대장(경정 또는 경감) * 전술팀장 - 3개 전술반, 관측저격반 * 폭발물처리팀장 - 폭발물처리반 * 교육팀장 - 전술담당반, [[폭발물 처리반|EOD]]담당반 * 행정팀장 - 행정담당반, 장비담당반 == 근무 == 신입 대원의 교육 기간은 2주이며 보수 교육은 1주이다. 특공대원에게는 매월 대테러수당이 지급된다. 처음 임용될경우 [[해양경찰교육원]]에서 6개월 가량 교육을 받게 되며 현장에서 실습을 추가적으로 하게된다. '''근무방식은 전형적인 3부제이다.''' * 1일차 대기: 09:00~익일 09:00까지 24시간 출동대기 및 교육훈련 실시 * 2일차 일근: 09:00~18:00까지 교육훈련 및 평상업무 수행 * 3일차 비번: 09:00~익일 09:00까지 자가 대기 == 장비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attachment/경찰특공대/해경KSG-12.jpg|width=150%]]}}} || || '''[[Kel-Tec KSG|KSG-12]]를 운용중인 대원'''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49b72ca5bf39.jpg|width=150%]]}}} || || '''[[H&K MP7]]을 운용중인 대원''' || [[대통령경호처]], [[경찰특공대]]와 더불어 [[대한민국]]에서 가장 총기와 장비에 투자를 많이 하는 조직 중 하나이다. 남북 대치 등 특수한 이유로 과거부터 꾸준히 고화력의 장비를 사용하며, 보수적인 군대보다는 어느정도 자유로운 경찰인만큼 다채로운 외산 총기의 도입에도 적극적인 편이고 장비의 최신화가 상당히 잘 되어 있으며 세계적 트렌드도 잘 따라가는 편이다. 2008년도 기준으로 개인화기로 [[SIG P229|P229]], [[H&K USP|USP]] 9mm 자동권총과 [[H&K MP7|MP7]] 4.6mm 기관단총, [[SIG SG550|SG556]], [[H&K MP5|MP5A5]], [[Kel-Tec KSG|KSG-12]], [[부시마스터 XM-15|XM-15]] 등 다양한 총기를 쓰고있는 걸로 보인다. [[H&K G36#G36C 계열|G36C]]도 보유하고있다. 둘 다 M6 텍라이트 레이저가 부착되어 있으며 MP7에는 HDS550 홀로그램 조준기가 추가로 부착되어 있다. 야간투시경은 단안형 MUMM을 쓴다. 개인용 무전기는 VISAR이며 방탄조끼는 SPA, 방탄헬멧은 FAST 헬멧이다. 각 부대당 공용화기로는 AW.308 저격소총 3정, 통로개척용 RM9200 레밍턴 산탄총 2정, X26 전자충격총 5정, UMP45 기관단총 2정, ALM 로프발사총 2정을 보유하고 있다.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ssat_9mm1.png|width=150%]]}}} || 2018년 말 해양경찰청과 언론에 의해 SSAT가 AR계열 9mm 기관단총을 운용하는 모습이 밝혀졌다. 기존에도 9mm [[H&K MP5|MP5]] 기관단총을 운용 중이었지만, AR 플랫폼 특유의 뛰어난 악세서리 확장성을 이유로 새로 도입한 듯 하다. [[콜트(총기회사)|콜트]]의 [[콜트 9mm 기관단총#R0991, R0992|R0991]] 또는 [[다산기공]]의 [[다산기공#기관단총|DSMG-9]]가 아니냐는 말이 있었지만, 완제품으로 판매하는 총기가 아니라 부품을 모아 조립한 커스텀 9mm AR로서, 상부 총몸은 커스텀 총기 부품 전문 업체인 VLTOR 사의 [[https://www.gunsamerica.com/938869639/VLTOR-MUR-1S-UPPER-RECEIVER-no-foward-assis.htm|MUR-1S]]라는 모델이고, 하부 총몸은 탄창 삽입구 형상이나 각도 등을 보아 DDLES 사[* 총기 부품 업체 중에서도 마이너했던 미국 회사로, 이후 폐업]의 [[https://www.m4carbine.net/showthread.php?45644-2010-SHOT-show-Viva-Las-Vegas-(Photo-by-SMGLee)&p=553120#post553120|9mm 모델]]로 추정된다. 특이사항으로 몇몇 총기는 탄창 삽입구 부분에 해양경찰특공대 로고가 각인되어 있는 모습이 보이기도 한다. [[https://milidom.net/photo/981575|#1]], [[https://arca.live/b/airsoft2077/24240716|#2]] 이후 따로 [[다산기공]]의 [[다산기공#기관단총|DSMG-9]]를 새로 도입하기도 하였으나, 품질관리 문제로 인해 퇴출되었다고 한다.[[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SD&mid=sec&sid1=100&oid=079&aid=0003488076|#]] 2022년 [[LWRC M6|LWRC사의 M6]]을 도입했다.[[https://instagram.com/goldknight.8?igshid=NmZiMzY2Mjc=|#]][[https://m.dcinside.com/board/seal_team/29771?headid=&recommend=&s_type=subject_m&serval=LWRC|#]] == 지원 및 선발 == ||<-11> '''해 양 경 찰 특 공 대''' || ||<-11> '''{{{#ffffff 구 조 지 원 자 격}}}''' || ||<-11>체육, 무도, 경호학 분야 학사학위 이상을 취득한 사람이거나 잠수기능사, 수상구조사 이상 자격증, 국민체육진흥법에 따른 체육지도자 자격 중 관련종목 전문 스포츠지도사(2급)이나 생활스포츠지도사(1급) 자격증을 취득한 사람 또는 특수부대(육군:[[육군특수전사령부|특전사]]·[[육상/인간정보|HID]]·[[대한민국 육군/특공대|특공연대 및 특공여단]][* 수방사 소속 [[제35특수임무대대|제35특공대대]] 포함]·[[군사경찰/특수임무대|군사경찰특수임무대]]•[[수색대대]] / / 해군:[[해군 해난구조전대|SSU]]·[[해군 특수전전단]]·[[해상/특수정보|UDU]]·[[대한민국 해병대/수색대|해병수색대]]) / / 공군:[[제6탐색구조비행전대|탐색구조전대]]·[[공군 공정통제사|공군 공정통제사]])에서 16개월 이상 근무한 경력이 있는 사람으로 잠수에 능통한 사람 || ||<-11> '''{{{#ffffff 특 공 지 원 자 격}}}''' || ||<-11>체육, 무도, 경호학 분야 학사학위 이상을 취득한 사람[* EOD는 화학, 전기, 전자 분야 학사학위 이상을 취득한 사람]또는 잠수기능사 이상 자격증 소지자[* EOD는 화약류제조(관리)보안 2급 이상 취득한 사람이거나 관련 자격증(전자산업기사, 전자기사, 전자기기기능장, 전자응용기술사)을 취득한 사람]이거나 특수부대(육군:[[육군특수전사령부|특전사]]·[[육상/인간정보|HID]]·[[대한민국 육군/특공대|특공연대 및 특공여단]][* 수방사 소속 [[제35특수임무대대|제35특공대대]] 포함]·[[군사경찰/특수임무대|군사경찰특수임무대]]•[[수색대대]] / / 해군:[[해군 해난구조전대|SSU]]·[[해군 특수전전단]]·[[해상/특수정보|UDU]]·[[대한민국 해병대/수색대|해병수색대]]) / / 공군:[[제6탐색구조비행전대|탐색구조전대]]·[[공군 공정통제사|공군 공정통제사]])에서 16개월 이상 근무한 경력[* EOD는 폭발물처리 관련 근무경력이 3년 이상인 사람[* 관련경력 : 군 폭파주특기(교육 이수기간 제외), 공항공사 및 항만공사]]이 있는 사람으로 잠수에 능통한 사람 || ||<-11> '''{{{#ffffff 수영 및 잠수능력 평가}}}''' || || '''평가항목''' ||<-2> '''평가기준''' ||<-8> '''배 점''' [br] '''(45점 만점)''' || ||<|9> '''수영''' [br] [br] '''능력''' ||<|3><-2> '''수영 100m''' || '''10점''' || '''9점''' || '''8점''' || '''7점''' || '''6점''' || '''5점''' || '''4점''' || '''0점''' || || 1분 10초 [br] 이하 || 1분 11초 [br] ~ [br] 1분 15초 || 1분 16초 [br] ~ [br] 1분 20초 || 1분 21초 [br] ~ [br] 1분 25초 || 1분 26초[br] ~ [br] 1분 30초 || 1분 31초 [br] ~ [br] 1분 35초 || 1분 36초 [br] ~ [br] 1분 40초 || 1분 40초 [br] 이상 || ||<-8> 소숫점 첫째자리 이하 버림|| ||<|3><-2> '''구조수영 42m''' || '''12점''' || '''11점''' || '''10점''' || '''9점''' || '''8점''' || '''7점''' || '''6점''' || '''5점''' || || 37초 [br] 이하 || 37.01초 [br] ~ [br] 40.00초 || 40.01초[br] ~ [br] 43.00초 || 43.01초[br] ~ [br] 46.00초 || 46.01초 [br] ~ [br] 49.00초 || 49.01초 [br] ~ [br] 52.00초 || 52.01초 [br] ~ [br] 55.00초 || 55.01초[br] ~ [br] 58.00초 || ||<-8> 얼굴 전체나 중량물을 든 손이 손목이상 물에 잠기면 매회 1점 감점[br] 감점상태가 2초 이상 지속되는 경우 초과 2초마다 1점이 추가 감점[br] 소숫점 셋째자리 이하 버림|| ||<|6> '''잠수''' [br] [br] '''능력''' ||<|3> '''중량 4kg 착용''' [br] '''손들고 떠있기''' || '''10점''' || '''9점''' || '''8점''' || '''7점''' || '''6점''' || '''5점''' || '''4점''' || '''0점''' || || 2분 15초 [br] 이상 || 2분 10초[br]~ [br] 2분 14초 || 2분 5초[br]~ [br] 2분 9초 || 2분 [br]~ [br] 2분 4초 || 1분 55초[br]~ [br] 1분 59초 || 1분 50초[br]~ [br] 1분 54초 || 1분 45초[br]~ [br] 1분 49초 || 1분 45초 [br] 이하 || ||<-8> 발로만 상태유지, 소숫점 첫째자리 이하 버림|| ||<|3> '''탈착 입수 후'''[br]'''수중에서'''[br]'''장비착용'''[br]'''능력 측정''' || '''13점''' || '''12점''' || '''11점''' || '''10점''' || '''9점''' || '''8점''' || '''7점''' || '''6점''' ||<|2> || || 1분 40초[br]이하 || 1분 41초[br] ~ [br] 1분 50초 || 1분 51초[br] ~ 2분 || 2분 1초[br] ~ [br] 2분 10초 || 2분 11초[br] ~ [br] 2분 20초 || 2분 21초[br] ~ [br] 2분 30초 || 2분 31초[br] ~ [br] 2분 40초 || 2분 41초[br] ~ [br] 2분 50초 || ||<-9> 미착용 및 불량착용 2점 감점, 소숫점 첫째자리 이하 버림|| ||<-2> '''체력평가''' ||<-9> '''배 점''' [br] '''(30점 만점)''' || ||<|2><-2> '''턱걸이''' || '''10점''' || '''9점''' || '''8점''' || '''7점''' || '''6점''' || '''5점''' || '''4점''' ||<|8><-2> '''필기 [br] 해양경찰학개론 [br] 잠수이론 시행''' || || 30 이상|| 29 ~ 27 || 26 ~ 24 || 23 ~ 21 || 20 ~ 18 || 17 ~ 15 || 14 이하 || ||<|3><-2> '''100m 허들''' [br] '''왕복달리기''' || '''10점''' || '''9점''' || '''8점''' || '''7점''' || '''6점''' || '''5점''' || '''4점''' || || 36.00초[br] 이하 || 36.01초[br] ~ 37.00초 || 37.01초[br] ~ 38.00초 || 38.01초[br] ~ 39.00초 || 39.01초[br] ~ 40.00초 || 40.01초[br] ~ 41.00초 || 41.01초[br] 이상 || ||<-7> 허들 턴 위반 2점 감점|| ||<|3><-2> '''2km 달리기''' || '''10점''' || '''9점''' || '''8점''' || '''7점''' || '''6점''' || '''5점''' || '''4점''' || || 6분 50초 [br] 이하 || 6분 51초[br] ~ [br] 7분 || 7분 1초[br] ~ [br] 7분 10초 || 7분 11초[br] ~ [br] 7분 20초 || 7분 21초[br] ~ [br] 7분 30초 || 7분 31초[br] ~ [br] 7분 40초 || 7분 40초 [br] ~ [br] 7분 50초 || ||<-7> 소숫점 2자리 버림|| '''해양경찰특공대'''의 경우 인정하는 [[특수부대]] 범위가 더 좁지만, 잠수기능사 또는 수상구조사 이상 자격증을 소지하고 있거나 관련분야 학사학위 이상을 취득하면 지원할 수 있다. [[2012년]]에 한시적으로 모집한 '''해상특수기동대'''(SSTF)의 경우는 오직 특수부대 출신들만 지원을 할 수 있었다. 현직의 경우 상반기, 하반기 1번씩 연간 2회 측정하며 측정종목은 500m [[수영]],[[사격]], 체력검정을 본다. 체력검정의 경우 순환식 종목이며 턱걸이 50회, 평행봉 50회, 100kg 중량물 100m 끌기, 800m 달리기 4가지 종목을 쉬지않고 13분 이내로 끝내야 합격이다. 그리고 현직 특공대원들의 체력 측정 기준표는 나이대별로 기록점수가 다르다. == 특공대 관련 부서 == 대한민국 해양경찰청에는 특임직별의 경찰관을 채용하는데 위의 해양경찰특공대는 특임직별의 특공경과에 속해있다. 특임직별로 채용된 경찰관은 크게 122구조대(구조,구급경과), 해상특수기동대(구조,특공경과), 해양경찰특공대(특공경과)로 보직을 나누고 근무하게 된다. 122구조대는 일선 해양경찰서 소속이며 이름에서도 알 수 있듯이 관할해역에서 발생하는 해난사고에서 구조활동을 한다. 해상인명구조, 실종자수색(실종자가 수중에 있을 수 있기 때문에 잠수장비를 갖추고 수중을 수색한다)을 생각하면 되고, 종종 경비함정의 스크류에 그물이나 밧줄이 감기는데 잠수장비를 갖춘 122구조대에 축계검사를 요청해서 제거하기도 한다. 해상특수기동대는 중국어선 검거작전을 할 때 실제로 경비함정에 승선하는 인원이다. [[이청호 경사 살해사건]]이 있고 난 후 100명가량 특채로 해상특수기동대 인원으로만 뽑은 적이 있었고(특수부대출신만 가능했다) 보통은 구조대나 특공대 직원 중에서 희망자를 해상특수기동대로 보직순환을 한다. 해양경찰특공대는 특공대원 개인 당 교육, 훈련 경력폴이 관리되고 있어 다른 경과에서(대테러관련 훈련경력 점수미달) 특공대로 전입이 힘들다는 점에서 [[대한민국 경찰청|경찰청]] 소속 [[경찰특공대]]와 구분된다. == 창작물에서의 등장 == 보통 창작물이나 매체에서는 [[경찰특공대]]가 등장하는 경우가 많아 해양경찰특공대가 등장하는 경우는 많지 않은 편이다. === 등장 매체 === * 카운트다운(2011) - 실제 대원들이 등장했다. * [[포세이돈(드라마)]] - 공해상까지 진입해 의심선박을 정선시키고 검문하는 모습이 나온다. * 세계의 끝(2013) - 감염병 숙주가 된 선박을 수색하고 대원들이 격리된다. * [[검은태양]] - 1회 선박수색 장면에 잠깐 등장하며, [[로건(유튜버)|로건]]과 [[에이전트 H|]] 등이 해양경찰특공대원 역할로 출연하였다. [[https://www.youtube.com/watch?v=BV6U1DFYxXk|영상]][* 해당영상에는 9초~15초에 출연] * [[낭만닥터 김사부 3]] - 1화 초반에 동해에서 북한에서 내려온 의심 선박을 VBSS를 수행한다. HK416D으로 무장 하고 있다.[* 해경특에서는 HK416D를 안쓰기에 고증 오류이다. 토이스타제 에어콕킹건으로 챔버랑 보인다. --애초에 태평양급 함정에는 특공대원이 안탄다.--] * [[디스커버리 채널]]에서 방영한 [[맨헌트]]라는 프로그램에서 [[네이비 씰]] 출신 조엘 렘버트를 체포하기 위한 체포조로 등장한다. [[https://www.youtube.com/watch?v=PetyrPPSVgI|영상]] == 여담 == * [[잠수]]라는 특수한 기술[* 잠수라는 게 공기통 매고 잠수복 입고 들어간다고 되는 게 아니다]을 요하기 때문에 거의 [[제707특수임무단|707]](해상팀)을 포함한 [[육군특수전사령부|특전사]](해상팀)나 [[해군 특수전전단|UDT/SEAL]], [[해군 해난구조전대|SSU]]출신들이 대한민국 해양경찰청으로 이직을 하는 편이다. 특수부대 출신 입장에서는 [[군]]보다 [[경찰]]이 월급이나 근무환경이 좋은 것은 사실[* 개인시간, 위계질서, 월급 등]이고 군대에서 배운 기술을 활용할 수 있어서 좋으며 해양경찰청 입장에서도 특수보직인력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서로 상부상조하는 면이 있다.--그래서 군은 좋아하지 않는다.-- * 국내 [[대테러]]기관중에서 가장 활발하게 해외 대테러 기관들(미국, 싱가폴, 영국, 러시아 등)과 합동훈련 및 전술교류를 하고있다. * [[2017년]] 채용부터 상반기(특공) / 하반기(구조)로 특임직별 [[순경]]을 따로 채용하기 시작했다. 특공으로 갔다가 구조로 다시 옮기고 하면서 전문성을 잃게 된다는 의견이 있어 분리 채용하게 되었다. == 관련 문서 == * [[경찰특수부대]] * [[경찰특공대]] * [[대한민국 해양경찰청]] * [[대테러부대]] * [[특수부대/목록]] [[분류:경찰특수부대]][[분류:경찰공무원]][[분류:대테러부대]][[분류:대한민국 해양경찰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