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회원수정2)] [include(틀:세계의 해군)] [include(틀:자위대)] ---- ||<-4>
{{{#ffffff {{{+2 '''해상자위대''' }}}[br]'''[ruby(海上自衛隊, ruby=かいじょうじえいたい)][br]Japan Maritime Self-Defense Force(JMSDF)''' }}} || ||<-3> [[파일:해상자위대 마크.svg|width=55%]] ||<-1> [[파일:해상자위대기.svg|width=75%]] || ||<-3> {{{#ffffff '''엠블럼''' }}} || {{{#ffffff '''자위대기・자위함기''' }}} || ||<-4> '''守る! この海と未来 海上自衛隊'''[br]'''지킨다! 이 바다와 미래 해상자위대''' || ||<-4> {{{#ffffff '''모토''' }}} || ||<-1> {{{#ffffff '''창설년도''' }}} ||<-3>[[1954년]] [[7월 1일]] ~ 현재 || ||<-1> {{{#ffffff '''국가''' }}} ||<-3>[[파일:일본 국기.svg|width=30]] [[일본]] || ||<-1> {{{#ffffff '''명령체계''' }}} ||<-3>[[방위성]] || ||<-1> {{{#ffffff '''내부조직''' }}} ||<-3>[[자위함대]], [[요코스카지방대]], [[구레지방대|쿠레지방대]][br][[사세보지방대]], [[마이즈루지방대]], [[오미나토지방대]] || ||<-1> {{{#ffffff '''자위함대''' }}} ||<-3>[[호위함대]], [[항공집단]], [[잠수함대]] || ||<-1> {{{#ffffff '''본부''' }}} ||<-3>[[도쿄도]] [[신주쿠구]] 이치가야혼무라초 5 - 1 || ||<-1> {{{#ffffff '''종류''' }}} ||<-3>[[해군]] || ||<-1> {{{#ffffff '''임무''' }}} ||<-3>일본 영해와 해안 방어 || ||<-1> {{{#ffffff '''전력''' }}} ||<-3>약 45,364명 || ||<-1> {{{#ffffff '''연간예산''' }}} ||<-3>약 1조 2,116억엔 || ||<-1> '''[[자위대가|{{{#ffffff 해상자위대가}}}]] ''' ||<-3> [[자위대가#s-2.1|바다를 간다(海をゆく)]][br][youtube(4LZxG0xvFhE, width=300, height=100)] || ||<-1> {{{#ffffff '''전신''' }}} ||<-3>[[대일본제국 해군]][br][[해상경비대]][br][[경비대(일본)|경비대]] || ||<-1> {{{#ffffff '''해상막료장''' }}} ||<-3>[[사카이 료]] || ||<-1> {{{#ffffff '''해상막료부장''' }}} ||<-3>사이토 아키라 || ||<-4> [[https://www.mod.go.jp/msdf/|해상자위대 공식 사이트]][br][[https://www.youtube.com/user/jmsdfmsopao|해상자위대 공식 유튜브]] || ##나무위키:편집지침/특정 분야/인문사회 규정의 '군사 분야' - '군대 관련 문서'에 따라 군대 관련 문서에서는 문서 최상단 또는 개요 본문 상단에 군대 표어(구호, 신조, 부대목표, 슬로건 등) 및 상징물(휘장, 로고, 부대마크 등)의 게시, 군사 장비 사진, 무기 사진, 작전 및 훈련 사진의 게시, 군가와 그 가사의 게시, 홍보영상 등 미디어의 게시가 금지됩니다. 상징물 등을 등록할 때에는 하위 문단을 개설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목차] [clearfix] == 개요 == 1954년 창설된 [[일본]]의 해상 방위를 담당하는 [[자위대]]로 45,000여 명의 병력과 110여 척의 함선, 360여 기의 항공기로 구성이 되어있다. [[대한민국 해군]]의 [[해군본부]] 격인 [[해상막료감부]]의 지휘를 받으며, 실제 전투는 [[해군작전사령부]]에 해당하는 [[자위함대]] 사령부가 총괄한다. 자위함대 사령부는 제1호위대군과 [[미 해군]] [[제7함대]]가 주둔하고 있는 [[요코스카]]항에 위치해 있다. == 역사 == 자세한 것은 [[자위대/역사]]를 참고할 것. 1945년 [[태평양 전쟁]]에서 패전한 이후 [[일본 제국 해군]]은 해체되었다. 1945년 12월 1일엔 [[해군성]](海軍省)이 폐쇄되었는데 아직 해외에서 복귀하지 않은 [[일본군]] 패잔병들의 문제 처리 때문에 제2복원성(第二復員省)으로 개칭하여 일부 기능을 남겼다. 복원(復員)은 [[군인]]을 [[민간인]]으로 되돌린다는 뜻이다. 제2복원성 외에도 해군 내의 소해(掃海)부대는 남겨놨는데, 일본이 전쟁 중 [[일본 열도]] 연안에 기뢰를 많이 부설해서 이를 해체할 전력이 필요했기 때문이었다. 일본군이 해체되었고 육군은 완전히 분해됐지만, 해군 약 10,000명은 이런 이유로 남았고 [[준군사조직]]인 [[해상보안청]]으로 유지됐다. [[미군정]]은 이들을 일본 열도 아니라 [[한반도]]에 부설했던 기뢰를 해체하도록 시켰고, [[한국전쟁]]이 터지자 미군을 도와 한반도 근처에 [[북한군]]과 [[소련군]]이 뿌린 기뢰 소해 임무도 수행한 적이 있으며, 이 과정에서 전사자가 발생하기도 했다.[[http://kor.theasian.asia/archives/84286|#]] 해상보안청으로 유지되던 해상전력은 [[GHQ]] 찰스 윌로비(Charles Willoughby) 소장의 일본 해상전력 재군비 계획안에 의해 1948년부터 재무장이 본격화되었다. 여기에 기름을 부어 불길을 당긴 건 다름 아닌 [[한국전쟁]]으로 1950년에 해상보안청은 규모를 늘릴 것을 미군정에 요구받았다. 이에 따라 1952년 4월 26일에 [[해양경찰]]을 하는 해상보안청의 기능은 해상보안청에 그대로 남겨두고 [[해군]] 기능을 분리하여 [[해상경비대]]로 개편했는데, 해상경비대의 장교와 부사관은 '''98% 이상이 일본제국 해군 출신'''이었다. 이러한 이유로 해상자위대는 여전히 [[욱일기]]와 [[군함행진곡]] 등을 그대로 사용하고, 현재 전력화된 함 명칭도 옛 함명에서 그대로 따오는 등 옛 [[일본군]]의 잔재가 타 자위대보다 더 강하게 남아있다. 이후 해상경비대는 1952년 8월 1일에 [[경비대(일본)|경비대]]로 바뀌었고 1954년 7월 1일에 해상자위대가 되었다. 따라서 공식 창설일과 몇몇 기념일은 전신인 해상경비대의 것을 기준으로 삼고 있다. == 전력 == 해상자위대의 전력은 2000년대까지는 장거리 방공과 공격을 담당하는 미국 해군 함대를 보조해 [[소련 해군]]의 태평양 진출을 차단하는 역할을 맡아 대잠과 소해 임무에 치중되어 육성되어 왔다. 하지만 2010년대 이후 주요 경쟁상대가 된 [[중국 해군]]의 성장으로 인해 해상자위대에게 위협으로 떠오르게 된다. 이에 따라 BMD 이지스함 숫자를 8척으로 늘리고 신형 함대공 탄도탄 요격 미사일인 [[SM-3|SM-3 Block IIA]]를 미국과 공동개발·생산해 배치하고 있으며, 2010년대 들어 [[휴우가급]] 이후 건조되는 신규 자국산 호위함에 무조건 4면 고정 [[AESA|능동위상배열레이더]]와 장거리 대잠 네트워크의 핵심 기술이 탑재된 [[:파일:Multi-Static Sonar system.jpg|멀티스태틱 소나]]를 기본적으로 장착해 설계하고 있고, 강력한 개함 방공 미사일인 [[ESSM]]을 라이선스 생산해 대량 운용하는 한편, 기존의 [[90식 함대함 미사일]]을 대체해 사정거리가 2배 이상 연장되고 대지 타격 능력도 부여된 [[12식 지대함 미사일|17식 함대함 미사일]]을 도입하고 있다. 이후, [[육상자위대]]의 [[이지스 어쇼어]] 획득안이 백지화되고 대신 신규 이지스함 2척을 추가 건조하기로 하면서 본의 아니게 이지스함 10척 체제가 갖추어질 예정이며, [[도서방위용 대함미사일|사정거리 1,000~2,000km급 스탠드 오프 대함·대지 미사일]] 개발 및 도입을 가속화하기로 함에 따라 장거리 공격 능력 역시 이른 시기에 확보할 전망이다. 여기에 [[항공자위대]]가 도입하는 [[E-2|E-2D]]와 함께 이지스함에 미국의 [[CEC|합동교전능력]](CEC)을 탑재하고 [[SM-6]] 도입도 추진하는 한편, 범용 호위함급 함선에도 자국산 합동교전능력인 FC 네트워크(J-CEC)와 [[03식 지대공 미사일#s-3.1|장거리 함대공 미사일]](A-SAM)의 도입을 계획하고 있다. 해상자위대의 신규 프리깃급 호위함인 [[모가미급 호위함]]은 이러한 신기술들이 적용되는 첫 번째 함급으로 장거리 대공/대함/대잠과 첨단 무인 소해능력을 가진 다재다능한 함선이 된다. 해상자위대는 앞으로 이지스함과 DDH, 범용 호위함으로 이루어진 4개의 주력함대인 [[호위대군]]을 보좌하기 위해 모가미급 호위함과 기존의 소해함과 수송함으로 이루어진 새로운 2개의 수상함대를 편성할 예정이다. 또한 [[중국]] 뿐만 아니라 [[북한]]의 [[탄도 미사일]] 위협도 심화되자 해상자위대는 네트워크 중심전을 기반으로 대함, 대공 능력과 [[BMD]] 능력에 중점을 두어 미래전력을 설계하고 있다. 해상자위대의 잠수함은 매년 1척 건조, 1척 배치, 1척 개량의 공식을 유지하면서 2010년대까지 유지됐었던 16척 체제에서 22척으로 수량이 증강[* 훈련함 2척 제외.]되고 있으며, 세계최초로 군사용 잠수함에 [[리튬 이온 배터리]] 추진 시스템을 실용화하고 있다. 해상자위대 항공대는 지속적으로 대규모의 [[대잠초계기]] 및 [[대잠초계헬기]] 부대를 유지하고 있으며, [[P-1]] 초계기와 [[SH-60|SH-60L]] 등의 신규 개발 장비들을 지속 도입하고 있다. 더불어 [[이즈모급 다용도 운용모함|이즈모급]]을 사실상의 항공모함으로 개조하고 [[항공자위대]]의 [[F-35B]]와 통합 운용할 계획을 세우는 등 여러 방면에서 실질적인 해상 전력 증강을 가속화하고 있다. 2022년 12월, [[전수방위]] 태세를 사실상 파기한 3대 안보문서 개정 후 발표된 2023년도 중기 방위력정비계획에서는 미국으로부터 [[토마호크 미사일]]을 도입하고, 더불어 사정거리 1000~2000km급의 자국산 아음속 및 극초음속 장사정 대함·대지 미사일들의 개발을 가속하며, 차세대 잠수함에는 [[VLS]]를 탑재해 대지 공격능력을 부여하고, 2032년까지 신규 이지스 호위함 2척을 추가로 취득해 이지스 호위함 체제를 10척으로 증강하는 방안을 결정했다. 또한 육상자위대에 도입할 예정이었던 [[이지스 어쇼어]]의 대체함으로 [[이지스 시스템 탑재함|초대형 이지스 화력 방공함]] 2척을 2028년까지 확보할 예정이다.[[https://www.nikkei.com/article/DGXZQOUA22CVM0S2A221C2000000/|#]] == [[해상막료감부]] == [[해상막료감부]]는 [[해군본부]]에 해당한다. 아래는 역대 해상자위대 최고지휘관인 [[해군참모총장|해상막료장]]이다. 총감이나 제2막료장이라 불리던 시절도 있었다. 역대 막료장은 [[자위대/역대 막료장]]을 참고할 것. ||<-2> {{{#ffffff {{{+2 제35대 해상막료장([ruby(酒井 良, ruby=さかい りょう)]) }}} }}} || ||<-2> [[파일:sakai.jpg|width=100%]] || || 성명 || [[사카이 료]]([ruby(酒井 良, ruby=さかい りょう)])[* [[방위대학교]] 31기] || || 임기 || 2022년 3월 30일 ~ 현재 || || 생년월일 || 1962년 12월 16일 || || 출신지 || [[시가현]] || == 주요 보유 함선 / 항공기 및 수량 == [include(틀:현대전/일본 함선)] === [[항공모함|다용도 운용모함(DDH)]] === [[파일:title-1681967017534.jpg |width=89%]] ||<-2>
{{{#fff '''함급'''}}} || {{{#fff '''보유수량'''}}} || {{{#fff '''계획수량'''}}} || ||<-2> {{{#fff '''다용도 운용모함(DDH)'''}}} || 2 || - || ||<|2>↳||[[이즈모급 다용도 운용모함|{{{#fff 이즈모급}}}]] || 2 || - || === [[헬리콥터 모함|헬리콥터 호위함(DDH)]] === [[파일:EPQcoIzUEAE3otT.jpg|width=89%]] ||<-2>
{{{#fff '''함급'''}}} || {{{#fff '''보유수량'''}}} || {{{#fff '''계획수량'''}}} || ||<-2> {{{#fff '''헬리콥터 호위함(DDH)'''}}} || 2 || - || ||<|2>↳||[[휴우가급|{{{#fff 휴우가급}}}]] || 2 || - || === [[방공함|미사일 호위함(DDG)]] === [[파일:ETdRpG6UUAEzfna.jpg|width=89%]] [[파일:EMgUT7MVAAArmvF.jpg|width=89%]] [[파일:EG6_XPQU0AAJBSf.jpg|width=89%]] ||<-2>
{{{#fff '''함급'''}}} || {{{#fff '''보유수량'''}}} || {{{#fff '''계획수량'''}}} || ||<-2> [[이지스함|{{{#fff '''미사일 호위함(DDG)'''}}}]] || 8 || 2 || ||<|4>↳||[[이지스 시스템 탑재함|{{{#fff 이지스 시스템 탑재함}}}]] || - || 2 || ||[[마야급 구축함|{{{#fff 마야급}}}]] || 2 || - || ||[[아타고급 구축함|{{{#fff 아타고급}}}]] || 2 || - || ||[[공고급 구축함|{{{#fff 공고급}}}]] || 4 || - || === [[구축함|범용 호위함(DD)]] === [[파일:EUGt6yoUcAEU7vk.jpg|width=89%]] [[파일:wal_201611a_w1024.jpg|width=89%]] [[파일:FJA96WPacAAd7dD.jpg|width=89%]] ||<-2>
{{{#fff '''함급'''}}} || {{{#fff '''보유수량'''}}} || {{{#fff '''계획수량'''}}} || ||<-2> {{{#fff '''범용 호위함(DD)'''}}} || 28 || - || ||<|5>↳||[[아사히급|{{{#fff 아사히급}}}]] || 2 || - || ||[[아키즈키급 구축함|{{{#fff 아키즈키급}}}]] || 4 || - || ||[[다카나미급|{{{#fff 다카나미급}}}]] || 5 || - || ||[[무라사메급 구축함|{{{#fff 무라사메급}}}]] || 9 || - || ||[[아사기리급|{{{#fff 아사기리급}}}]] || 8 || - || === [[프리깃|다목적 호위함/호위 구축함(FFM/DE)]] === [[파일:E_SVzzvUUAE2qVk.jpg|width=89%]] [[파일:ER8fLZzU8AI4aqK.jpg|width=89%]] ||<-2>
{{{#fff '''함급'''}}} || {{{#fff '''보유수량'''}}} || {{{#fff '''계획수량'''}}} || ||<-2> {{{#fff '''다목적 호위함(FFM)'''}}} || 4 || 20 || ||↳||[[모가미급 호위함|{{{#fff 모가미급}}}]] || 4 || 8 || ||↳||[[신형 FFM|{{{#fff 신형 FFM}}}]] || - || 12 || ||<-2> {{{#fff '''호위 구축함(DE)'''}}} || 6 || - || ||↳||[[아부쿠마급|{{{#fff 아부쿠마급}}}]] || 6 || - || === [[잠수함|잠수함(SS)]] === [[파일:1_V5JEMxltwH-7ZcaEoTateg.jpg|width=89%]] ||<-2>
{{{#fff '''함급'''}}} || {{{#fff '''보유수량'''}}} || {{{#fff '''계획수량'''}}} || ||<-2> {{{#fff '''잠수함(SS)'''}}} || 24 || 11 || ||<|4>↳||[[타이게이급 잠수함|{{{#fff 타이게이급}}}]] || 2 || 10 || ||[[소류급|{{{#fff 소류급}}}]] || 12 || - || ||[[오야시오급|{{{#fff 오야시오급}}}]] || 9 || - || ||[[오야시오급|{{{#fff 훈련함}}}]] || 2 || - || === [[수송함|수송함(LST, LCU, LCAC)]] === [[파일:DIxGdcjUwAANag1.jpg|width=89%]] [[파일:DvhrZbIUYAAIw8O.jpg|width=89%]] ||<-2>
{{{#fff '''함급'''}}} || {{{#fff '''보유수량'''}}} || {{{#fff '''계획수량'''}}} || ||<-2> {{{#fff '''수송함(LST)'''}}} || 3 || - || ||↳||[[오오스미급|{{{#fff 오오스미급}}}]][* 오오스미급은 사실상 [[LPD]] 내지는 최대 [[LHD]]로서의 능력을 갖췄지만 자위대내에서는 LST(수송함)으로 분류한다.] || 3 || - || ||<-2> {{{#fff '''상륙주정(LCU)'''}}} || 2 || - || ||↳||{{{#fff LCU-1급}}} || 2 || - || ||<-2> {{{#fff '''에어쿠션정(LCAC)'''}}} || 6 || - || ||↳||{{{#fff LCAC-1급}}} || 6 || - || === [[군수지원함|보급함(AOE)]], [[유조선|연료수송함(YOT)]] === [[파일:EFyhCu7UEAAvOVp.jpg|width=89%]] ||<-2>
{{{#fff '''함급'''}}} || {{{#fff '''보유수량'''}}} || {{{#fff '''계획수량'''}}} || ||<-2> {{{#fff '''보급함(AOE)'''}}} || 5 || - || ||<|2>↳||{{{#fff 마슈급}}} || 2 || - || ||{{{#fff 토와다급}}} || 3 || - || ||<-2> {{{#fff '''연료수송함(YOT)'''}}} || 2 || - || ||↳||{{{#fff YOT-1급}}} || 2 || - || === [[소해함|소해 및 기뢰함(MST, MSO, MCL, MSC)]] === [[파일:20120623_jmsdf_mf_mine_sweeping.jpg|width=89%]] [[파일:DbYjRkoUQAMY8xg.jpg|width=89%]] ||<-2>
{{{#fff '''함급'''}}} || {{{#fff '''보유수량'''}}} || {{{#fff '''계획수량'''}}} || ||<-2> {{{#fff '''소해모함(MST)'''}}} || 2 || - || ||↳||[[우라가급|{{{#fff 우라가급}}}]] || 2 || - || ||<-2> {{{#fff '''소해함(MSO)'''}}} || 3 || 4 || ||↳||{{{#fff 아와지급}}} || 3 || 4 || ||<-2> {{{#fff '''소해관제정(MCL)'''}}} || 2 || - || ||↳||{{{#fff 우와지마급}}} || 2 || - || ||<-2> {{{#fff '''소해정(MSC)'''}}} || 18 || - || ||<|3>↳||{{{#fff 에노시마급}}} || 3 || - || ||{{{#fff 히라지마급}}} || 3 || - || ||{{{#fff 스가시마급}}} || 12 || - || === 해양관측함 및 음향측정함(AGS, AOS) === [[파일:Du4-Ff2VAAQzkBO.jpg|width=89%]] [[파일:CyUIXxeUsAEOXOy.jpg|width=89%]] ||<-2>
{{{#fff '''함급'''}}} || {{{#fff '''보유수량'''}}} || {{{#fff '''계획수량'''}}} || ||<-2> {{{#fff '''해양관측함(AGS)'''}}} || 3 || - || ||<|4>↳||{{{#fff 쇼난}}} || 1 || - || ||{{{#fff 니치난}}} || 1 || - || ||{{{#fff 와카사}}} || 1 || 0[* 2026년 3월 퇴역 예정] || ||{{{#fff 04AGS}}} || 0 || 1[* 2026년 3월 취역 예정] || ||<-2> {{{#fff '''음향측정함(AOS)'''}}} || 3 || 4 || ||↳||[[히비키급|{{{#fff 히비키급}}}]] || 3 || 4 || === 훈련지원함 및 연습함(ATS, TV) === [[파일:AST-4202.jpg|width=89%]] [[파일:FJEd9suaMAMh2Wg.jpg|width=89%]] ||<-2>
{{{#fff '''함급'''}}} || {{{#fff '''보유수량'''}}} || {{{#fff '''계획수량'''}}} || ||<-2> {{{#fff '''훈련지원함(ATS)'''}}} || 2 || - || ||<|2>↳||{{{#fff 쿠로베}}} || 1 || - || ||{{{#fff 텐류}}} || 1 || - || ||<-2> {{{#fff '''연습함(TV)'''}}} || 3 || - || ||<|2>↳||{{{#fff 카시마}}} || 1 || - || ||[[하타카제급|{{{#fff 하타카제급}}}]] || 2 || - || === [[구조함|잠수함 구조함(ASR)]] === [[파일:D9GUdbgUYAYDbfz.jpg|width=89%]] ||<-2>
{{{#fff '''함급'''}}} || {{{#fff '''보유수량'''}}} || {{{#fff '''계획수량'''}}} || ||<-2> {{{#fff '''잠수함 구조함(ASR)'''}}} || 2 || - || ||<|2>↳||[[치요다#s-3.2.2|{{{#fff 치요다}}}]] || 1 || - || ||{{{#fff 치하야}}} || 1 || - || === [[경비정|경비정(PG)]] 및 기타 특수목적함 === [[파일:D1dpI6lU4AAAy1u.jpg|width=89%]] [[파일:EB2d1NSX4AUiNJt.jpg|width=89%]] [[파일:571db80c3af3d6544352bfe07e38824f.jpg|width=89%]] [[파일:ERbV__iU4AAyZ6U.jpg|width=89%]] [[파일:DqMoKibX0AEdAZM.jpg|width=89%]] ||<-2>
{{{#fff '''함급'''}}} || {{{#fff '''보유수량'''}}} || {{{#fff '''계획수량'''}}} || ||<-2> {{{#fff '''경비정(PG)'''}}} || 6 || - || ||↳||[[하야부사급 미사일 고속정|{{{#fff 하야부사급}}}]] || 6 || - || ||<-2> {{{#fff '''부설함(ARC)'''}}} || 1 || - || ||↳||{{{#fff 무로토}}} || 1 || - || ||<-2> {{{#fff '''쇄빙함(AGB)'''}}} || 1 || - || ||↳||{{{#fff 시라세}}} || 1 || - || ||<-2> {{{#fff '''시험함(ASE)'''}}} || 1 || - || ||↳||[[아스카#s-3|{{{#fff 아스카}}}]] || 1 || - || ||<-2> {{{#fff '''특무정(ASY)'''}}} || 1 || - || ||↳||{{{#fff 하시다테}}} || 1 || - || === [[항공기|고정익/회전익 항공기]] === [[파일:ERL254XUwAA3cR0.jpg|width=89%]] [[파일:CQeAtONUkAEPEHc.jpg|width=89%]] [[파일:EPPx5GnUwAAjLMx.jpg|width=89%]] [[파일:DslqDapU8AEsAWM.jpg|width=89%]] [[파일:EQFbLVzVUAAmezC.jpg|width=89%]] [[파일:CzFCQZKUkAAyZEh.jpg|width=89%]] [[파일:ESFxDuqUUAEf1Gl.jpg|width=89%]] [[파일:EMS0xjIUcAAwh0K.jpg|width=89%]] ||
{{{#fff '''형식명'''}}} || {{{#fff '''용도'''}}} || {{{#fff '''보유수량'''}}} || {{{#fff '''제조국'''}}} || ||<-4> {{{#fff '''회전익 항공기'''}}} || || [[SH-60|{{{#fff SH-60J}}}]][* 미쓰비시 중공업 라이선스 생산] || 대잠/초계 || 14 ||<|4> [[미국|[[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 || [[SH-60|{{{#fff SH-60K}}}]][* 미쓰비시 중공업 독자개조 생산] || 대잠/초계 || 71 || || [[SH-60|{{{#fff SH-60L}}}]][* 미쓰비시 중공업 독자개조 생산] || 대잠/초계 || 2(+88) || || [[UH-60|{{{#fff UH-60J}}}]][* 미쓰비시 중공업 라이선스 생산] || 구난/수색 || 12 || || [[AW-101|{{{#fff MCH-101}}}]][* 가와사키 중공업 라이선스 생산] || 소해/수송 || 11 ||<|2> [[이탈리아|[[파일:이탈리아 국기.svg|width=24]]]] || || [[AW-101|{{{#fff CH-101}}}]][* 가와사키 중공업 라이선스 생산] || 극지수송 || 2 || || {{{#fff TC-135}}} || 조종훈련/연락 || 15 || [[독일|[[파일:독일 국기.svg|width=24]]]] || ||<-4> {{{#fff '''고정익 항공기'''}}} || || [[P-1|{{{#fff P-1}}}]] || 대잠/초계 || 30+ || [[일본|[[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 || [[P-3|{{{#fff P-3C}}}]][* 퇴역 중, 가와사키 중공업 라이선스 생산] || 대잠/초계 || 44 ||<|7> [[미국|[[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 || [[P-3|{{{#fff EP-3}}}]][* 가와사키 중공업 독자 개조] || 신호정보수집 || 5 || || [[P-3|{{{#fff OP-3}}}]][* 가와사키 중공업 독자 개조] || 영상정보수집 || 3 || || [[P-3|{{{#fff UP-3C}}}]][* 가와사키 중공업 독자 개조] || 개발장비시험 || 1 || || [[P-3|{{{#fff UP-3D}}}]][* 가와사키 중공업 독자 개조] || 전자전훈련지원 || 1 || || [[C-130|{{{#fff C-130R}}}]] || 수송 || 6 || || {{{#fff T/LC-90}}} || 조종훈련/연락 || 18 || || [[봉바르디에 리어젯 시리즈|{{{#fff U-36A}}}]] || 함대훈련지원 || 6 || [[캐나다|[[파일:캐나다 국기.svg|width=24]]]] || || [[US-2|{{{#fff US-2}}}]] || 구난[[비행정]] || 8 ||<|2> [[일본|[[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 || {{{#fff T-5}}} || 조종훈련 || 30 || == 기타 == >"일본 국민들의 해상자위대에 대한 애정도 남다르다. 운 좋게 참관한 해상자위대 [[관함식]]에는 1만 명 참가자 모집에 16만 명이 응모했을 뿐만 아니라 함정에 타기 위해 새벽부터 줄 서는 것은 물론, 멀리서 온 사람들이 전날 인근 호텔에서 숙박하여 방이 동이 날 정도였다." > > > - '''일본 해상자위대 과거의 영광 재현을 꿈꾸는가? 중에서, 저자: 류재학, 배준형 해군 소령''' [[파일:Kankanshiki.jpg|width=80%]] 해상자위대 호위함에 탑승한 사람들[* 저 위에 보이는 게 민간인을 비롯한 사람들이다.] 위처럼 일본국민들 사이에서 해상자위대는 상당한 인기와 신뢰를 받고 있다. 일례로 요코스카 28회 관함식에서는 초청인원보다 훨씬 많은 인파가 모여들었으며 언론의 집중적인 주목을 받았다. 관함식 뿐만 아니라 개별적인 함선 공개 행사에도 남녀노소 구분없이 많이 참여하고 있으며, 멀리서 여행가방을 들고 찾아온 이들도 많이 보일 정도로 일본 국민들의 뜨거운 호응을 확인할 수 있다. 다만, 대외적인 인기가 많다는 것이 곧 실제로 그 조직에 들어가 근무하고 싶은 사람이 많냐는 뜻은 아니다. 즉, 해자대를 사랑하고 응원하는 국민들 중 "그래서 해자대 입대하겠냐?"고 물으면 그들 중 다수는 그건 아니라고 답할 가능성이 크다는 것이다. 이 때문에 해상자위대 역시 전국민적인 관심과 지지가 인력 충원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다양한 방법으로 노력을 계속하고 있다. 해상자위대는 해군 규모에 비해 자위관에 지원하는 사람들 사이에서 인기가 낮은 편이라는 것도 오해의 소지가 있다. 해자대의 최대 정원[* 말 그대로 해자대의 시설, 함정등이 수용할 수 있는 최대 정원이다. 당연히 이 TO가 전부 차게 된다면 오히려 복지 수준이 떨어지고 병력들을 제대로 운용하지 못해 전투력 약화로 이어질 수 있다.]은 45,494명으로 현재는 43,099명이 근무 중이다.[* 출처:일본 방위백서 [[#|http://www.mod.go.jp/index.html]] ] 수상함이나 잠수함에서 장기간 근무해야 하기 때문에 힘들기는 하지만 해자대에 지원자들 중에는 함정을 타보고 싶어 지원한 사람들이 많다. 또한 임금도 낮지는 않아서 육상에 비해 함선 근무자들이 돈을 꽤 벌기도 한다. 하지만 상대적으로 "그 돈 받느니 그냥 덜 받더라도 육상에서 편하게 일하겠다."라고 하는 사람들도 있다. 정확히 말하면 그만큼 육상 인원들을 쓸데없이 많이 받는다는 얘기이기도 하다. 현재 해상자위대 방위비가 계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며 오히려 육상자위대의 예산이 삭감되는 현상이 발생[* 일본 방위 예산 설명자료 http://www.mod.go.jp/e/d_budget/]하고 있고 이것을 일본 정부가 국민들에게 우선적으로 설명하고 이해를 얻으려고 하고 있기도 하다. >"일본 해군의 정신이라 탐탁지 않은 생각이 들지만, 배울 점도 있는게 사실이다." > > > ''- 일본 해상자위대, 과거의 영광을 꿈꾸는가? 해군 전통을 계승하는 5성, 3S 정신 중-'' [[일본군 해군]]의 [[똥군기]] 역시 직속으로 계승했다고 보기는 어렵지만 해상자위대 장교를 양성하는 해상자위대 간부 후보생학과에는 옛 일본해군병학교의 전통적인 정신을 교육시키고 있으며 대표적으로 5성, 3S 정신이 있다. 먼저 5성은 5가지의 반성이라는 뜻으로 > * 1. 진심에 반하는 것은 없었던가? > * 2. 언행에 부끄러움은 없었던가? > * 3. 기력이 부족하지는 않았는가? > * 4. 노력이 부족하지는 않았는가? > * 5. 게을러 지지는 않았는가? 이렇게 구성되어 있으며 에타지마의 간부후보생학교 생도들은 매일 밤 자습이 종료 되기 전에 '5성'을 복창한다고 한다. 3S 정신은 변화 무쌍한 바다에서 원활한 조치를 위한 정신으로 '''Smart:기민함, Steady:착실함, Silent:정숙함'''의 앞 글자를 따 이름 지었다. 이러한 정신은 해상자위대 간부에게는 필수 불가결한 근본으로 간주되어 실습을 통해 채득시키고 있으며, 이것을 동경하며 해상자위대에 지원하는 사람들도 많다고 한다. 2009년 기준으로 일반간부후보생 모집에서 [[육상자위대]]는 22.6 대 1, [[항공자위대]]는 19.4:1을 기록했지만 해상자위대는 10.1 :1에 불과했다. 일반 병인 [[자위관후보생]] 모집에서도 [[육상자위대]]는 13.1:1, [[항공자위대]]는 6.1:1을 기록했지만 해상자위대는 4.7:1에 불과했다. 이 정도면 높은 거라 생각할 수 있지만, 고졸들이 취업 지원하면서 여러 군데 다 쓴다고 생각하여 "다른 데 다 떨어지면 자위대 온다"는 얘기가 생겨 나기도 하였다. 2018년 기준으로 해상자위대의 신규 사(士) 충원율은 [[https://www.overtdefense.com/2020/12/03/jsdf-facing-serious-challenges-in-recruitment/|60%도 안된다고 하며]] 신규 추가되는 함정은 많으나 인력은 부족한 상황에 놓였다. 단, 이를 두고 해상자위대가 들어가기 쉽다느니, 타 자위대보다 수준 낮은 애들이 온다더니 하는 건 헛소리다. 응시자가 적을지언정 지원하는 이의 인적 자원 평균 수준은 육자대보다 높기 때문이다. 애초 어느 나라나 군대는 육군이 제일 대중적인 인지도가 높아 사람은 제일 많이 몰리지만, 미군만 해도 입대하는 자원 특히 사병 신분의 자원의 질은 해공군이 월등히 높다. == 해상자위대의 편제 == * [[해상자위대/편제]] 항목 참조. == 관련 문서 == * [[국제정세]] * [[군대 관련 정보]] * [[군사 관련 정보]] * [[한국군 vs 자위대]] * [[한국군 vs 자위대/총 해군 전력 비교]] * [[무기 관련 정보]] * [[해상 병기/현대전]] * [[해군력/동아시아]] * [[해군]] * [[대한민국 해군]] * [[러시아 해군]] * [[미합중국 해군]] * [[인도 해군]] * [[인민해방군 해군]] [[분류:해상자위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