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해리슨 베이더의 수상 경력 / 역대 등번호'''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5> [[내셔널 리그|[[파일:MLB 내셔널 리그 로고.svg|width=20]]]] '''{{{#ffffff 2021년 메이저 리그 내셔널 리그 중견수 부문 골드 글러브}}}''' || || [[트렌트 그리샴]][br]([[샌디에이고 파드리스]]) || → || '''해리슨 베이더[br]([[세인트루이스 카디널스]])''' || → || [[트렌트 그리샴]][br]([[샌디에이고 파드리스]]) || ---- ||<-5> '''{{{#ffef00 [[세인트루이스 카디널스|{{{#ffef00 세인트루이스 카디널스}}}]] 등번호 48번}}}''' || || [[데릭 메이]][br](2016) || {{{+1 →}}} || '''해리슨 베이더[br](2017~2022)''' || {{{+1 →}}} || [[조던 몽고메리]][br](2022) || ||<-5> '''{{{#fff [[뉴욕 양키스|{{{#ffffff 뉴욕 양키스}}}]] 등번호 22번}}}''' || || [[그렉 앨런]][br](2021) || {{{+1 →}}} || '''{{{#132448 해리슨 베이더[br](2022~2023)}}}''' || {{{+1 →}}} || 결번 || ||<-5> '''{{{#fff [[신시내티 레즈|{{{#ffffff 신시내티 레즈}}}]] 등번호 4번}}}''' || || [[윌 마이어스]][br](2023) || {{{+1 →}}} || '''해리슨 베이더[br](2023)''' || {{{+1 →}}} || 결번 || }}} ||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레즈베이더.jpg|width=100%]]}}} || ||<-2> '''{{{+2 해리슨 베이더}}}[br]Harrison Bader''' || || '''본명''' ||해리슨 조지프 베이더[br]Harrison Joseph Bader || ||<|2> '''출생''' ||[[1994년]] [[6월 3일]] ([age(1994-06-03)]세) || ||[[뉴욕주]] 브롱스빌 ||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 || '''학력''' ||호레이스 맨 고등학교 - [[플로리다 대학교]] || || '''신체''' ||183cm / 95kg || || '''포지션''' ||[[중견수]] || || '''투타''' ||[[우투우타]] || || '''프로입단''' ||[[2015 MLB 신인드래프트|2015년 드래프트]] 3라운드 (전체 100번, [[세인트루이스 카디널스|STL]]) || || '''소속팀''' ||'''[[세인트루이스 카디널스]] (2017~2022)'''[br][[뉴욕 양키스]] (2022~2023)[br][[신시내티 레즈]] (2023)|| || '''SNS''' ||[[https://www.instagram.com/aybaybader/|[[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5]]]]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aybaybader, 크기=25)] || [목차] [clearfix] == 개요 == [[미국]] 국적의 [[외야수]]. == 선수 경력 == === [[세인트루이스 카디널스]]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해리슨 베이더.jpg|width=100%]]}}} || 40만 불의 계약금을 받은 베이더는 드래프트될 당시 모든 툴이 메이저리그 평균 내지는 평균보다 약간 높은 수준으로 평가받았다. 대학 출신 타자를 잘 키워내는 카디널스 팜 시스템에서 순조롭게 성장하여 2번째 시즌만에 AAA에 도달했고, 이 당시 스카우팅 리포트를 보면 히팅과 파워는 평균 수준, 수비와 주루는 평균 이상이라고 평가받았다. 당시 팀 내 유망주 순위 3위에 들었었다. 2017년 AAA에서 19홈런 OPS .816을 기록하던 중 [[덱스터 파울러]]의 부상 공백을 메우기 위해 메이저리그 첫 콜업을 받았다. 2017년 대체 선수급 활약에 그쳤고 2018년을 AAA에서 시작한다. 그런데 [[제드 저코]]가 부상당하자 다시 콜업되었고, 팀의 제 4 외야수로 활약한다. 그러다 [[토미 팸]]이 탬파베이 레이스로 트레이드된 후 중견수 출전 비중이 늘어난다. 루키 시즌 12홈런 15도루 .264 .334 .422 bWAR 3.5 fWAR 3.5를 기록하며 성공적인 시즌을 보냈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rIY9ixEyOvU)]}}}|| 특히 스카우팅 리포트에서 평균 이상이라던 수비와 주루는 예상보다 더 대단했다. DRS(디펜시브 런 세이브)가 무려 19. [[케빈 키어마이어]], [[재키 브래들리 주니어]], [[로렌조 케인]] 등 리그 정상급 중견수들에 밀리지 않는 수비를 보여주었다. 하지만 우완 투수에게 OPS .695를 기록하며 약점을 보였고, 이것이 사실상 다소 평범한 타격 성적의 원인이었다. 신인왕 투표에서 6위를 기록했다. === [[뉴욕 양키스]]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양키스베이더.jpg|width=100%]]}}} || 2022년 8월 2일, [[앤드류 베닌텐디]]를 데려오고 [[조이 갈로]]를 내보내면서 생긴 수비 구멍을 메우려고 했는지 [[조던 몽고메리]]와 트레이드되었다. 그것도 트레이드 마감시한 마지막 1분에. 이로써 베이더는 8년 만에 고향 팀에서 뛰게 되었다.[* 베이더의 고향 브롱스빌은 [[양키 스타디움]] 소재지인 브롱스 바로 위에 있는 작은 동네다. 양키 스타디움에서도 차로 20분이면 가는 거리.] 역시나 면도 이후 아예 딴 사람이 되었다. 장발이었던 머리도 짧게 잘랐다. 9월 20일 복귀가 확정되었다. 이적 후 첫 경기는 홈에서 치러질 예정이다. 피츠버그전 홈경기에서 [[애런 힉스]]를 밀어내고 7번 중견수로 스타팅멤버에 포함됐다. 이적 후 첫 출장. [[2022 아메리칸 리그 디비전 시리즈]] 1차전 홈 경기에서 동점 솔로 홈런을 치면서 팀의 승리에 일조했다. 3차전 원정경기에서 투런홈런을 치면서 시리즈를 동점으로 만드는 데 일등공신이 되었다. 정규시즌과는 달리 포스트시즌에선 맹활약했지만 거의 혼자만 활약한 탓에 팀의 탈락을 막진 못했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NYY.HarrisonBader.jpg|width=100%]]}}} || 23년에도 개막 40인 로스터에는 들었으나 IL에서 시즌을 시작하여 5월 초에나 복귀했으며 이후 주루 중 햄스트링 부상으로 또 1달 넘게 날려먹었다. 워낙 광활한 홈의 중앙 외야를 커버해야하는 양키스 중견수이기에 수비만 잘해도 밥값은 하는 셈이라 나올 땐 무난한 활약은 하는 중이다. 8월 29일 경기 직전에 웨이버 공시되었다. 베이더 본인 입장에서 충격적인 건 자신이 웨이버됐다는 것을 당일 경기 전 구내 식당에서 TV를 보다 하단 자막을 통해 알게 됐다는 것. 충격 때문인지 이 날 경기는 4타수 무안타를 기록했다. === [[신시내티 레즈]]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베이더신시내티포스팅.jpg|width=100%]]}}} || 8월 31일, 웨이버 클레임을 통해 [[신시내티 레즈]]로 이적하였다. 올 시즌 2할4푼 7홈런이라는 다소 애매한 성적을 기록중이었는데, 양키스는 내년 FA인 베이더를 잡지 않기로 결정하고, 포스트 시즌 진출이 사실상 좌절되자 곧 떠날 평균 이하의 성적을 내는 선수보다는 유망주에게 경기를 먹이기로 한 것으로 보인다. 9월 1일 소문의 유망주 [[제이슨 도밍게스]]가 그를 대신해 콜업되어 데뷔전을 치렀다. 다만 작년 포스트시즌 히어로에 훈남 인기선수, 효자 외야수였기 때문에 양키스 팬들의 반응은 매우 나쁘다.[* 오히려 [[지안카를로 스탠튼]], [[앤서니 리조]], [[DJ 르메이휴]]가 절망적인 성적을 기록 중이었으나 이들은 고액 장기 계약자이다.] 안타깝게도 이적 후 10경기 18타수 3안타 .167로 매우 부진중이다. 시즌 타율은 단 .240으로 이렇게 되면 FA 재수를 선택해야 할 가능성이 커졌다. == 플레이 스타일 == 수비는 그야말로 정상급이다. 2021년 내셔널 리그 중견수 [[골드 글러브]] 수상자이며 뛰어나다 할 만한 리그 내 선배 중견수들과 견주어도 절대 밀리지 않는다. 타격에서는 매년 15-20개 홈런과 수많은 2루타를 기대할 수 있는 장타력을 갖추고 있다. 그러나 게스 히터로 삼진이 무진장 많고 선구안도 그다지 좋지 않아 생산성 자체는 그리 뛰어나진 않다. 타격 스타일은 여러모로 [[크리스 테일러]]와 비슷한데, 테일러보다 홈런 파워는 조금 더 부족하고 컨택과 선구안에서 조금 더 나은 모습을 보여준다고 보면 된다. 주루는 상당히 좋은 편으로 매년 베이스러닝 수치 양수를 기록하고 있으며 발도 빠르고 센스도 있는 편이라 상대투수를 흔들 수 있는 발을 보유했다. 2022 시즌 양키스로 이적하기 전 세인트루이스에선 도루 갯수만 놓고 시즌 초반에 [[토미 에드먼]]과도 팀 내에서 내셔널 리그 도루순위 1위 집안싸움을 했을 정도였다. 이렇다보니 타율이나 출루율이 그다지 높진 못한 것이 더욱 아쉬울 정도. 이외의 약점은 내구성이 그리 좋지 못하다는 것이다. 매 시즌 부상자명단을 들락거리는 빈도가 잦다. 하지만 중견수라는 포지션과 허슬플레이를 감안해야 한다. == 수상 내역 == * [[내셔널 리그]] 중견수 [[골드 글러브]] (2021) == 연도별 기록 == ||<-19>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파일:MLB 로고.svg|width=35]]]] {{{#FFFFFF '''해리슨 베이더의 역대 MLB 기록'''}}} || || 연도 || 팀 || G || PA || H || 2B || 3B || HR || R || RBI || SB || BB || SO || AVG || OBP || SLG || OPS || fWAR || bWAR || || 2017 ||<|5> [[세인트루이스 카디널스|STL]] || 32 || 92 || 20 || 3 || 0 || 3 || 10 || 10 || 2 || 5 || 24 || .235 || .283 || .376 || .659 || 0.2 || 0.0 || || 2018 || 138 || 427 || 100 || 20 || 2 || 12 || 61 || 37 || 15 || 31 || 125 || .264 || .334 || .422 || .756 || 4.1 || 3.4 || || 2019 || 128 || 406 || 71 || 14 || 3 || 12 || 54 || 39 || 11 || 46 || 117 || .205 || .314 || .366 || .680 || 1.8 || 2.3 || || 2020 || 50 || 125 || 24 || 7 || 2 || 4 || 21 || 11 || 3 || 13 || 40 || .226 || .336 || .443 || .779 || 1.1 || 1.0 || || 2021 || 103 || 401 || 98 || 21 || 1 || 16 || 45 || 50 || 9 || 27 || 85 || .267 || .324 || .460 || .785 || 3.2 || 3.8 || || 연도 || 팀 || G || PA || H || 2B || 3B || HR || R || RBI || SB || BB || SO || AVG || OBP || SLG || OPS || fWAR || bWAR || || 2022 || [[세인트루이스 카디널스|STL]]/[[뉴욕 양키스|NYY]] || 86 || 313 || 73 || 10 || 3 || 5 || 38 || 30 || 17 || 15 || 62 || .250 || .294 || .356 || .650 || 1.4 || 1.1 || || 연도 || 팀 || G || PA || H || 2B || 3B || HR || R || RBI || SB || BB || SO || AVG || OBP || SLG || OPS || fWAR || bWAR || || 2023 || [[뉴욕 양키스|NYY]]/[[신시내티 레즈|CIN]] || 98 || 344 || 74 || 12 || 2 || 7 || 44 || 40 || 20 || 17 || 59 || .232 || .274 || .348 || .622 || 1.0 || 0.6 || ||<-2>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MLB]] 통산[br](7시즌)''' || 635 || 2108 || 460 || 87 || 13 || 59 || 273 || 217 || 77 || 154 || 512 || .243 || .310 || .396 || .706 || 12.9 || 12.1 || == 기타 == * 대학 시절 음주 운전으로 출장 정지를 받은 적이 있다. [[https://www.gainesville.com/news/20140204/uf-baseball-suspends-outfielder-bader|#]] * 팬 서비스가 매우 좋다. 스프링캠프장에서 특히 다수의 팬들에게 사인을 해준다. 최근에는 어린이 팬들을 위해 자발적으로 지역 학교에 일일 깜짝 체육교사로 등장하는 이벤트를 열기도 했다. [[https://n.news.naver.com/sports/wbaseball/article/109/0004540724|이 기사 참조]] 2022시즌 트레이드 데드라인 때 양키스로 트레이드되면서도 SNS를 통해 응원해주었던 세인트루이스 팬들에게 감사함을 표하는 등 팬들에 대한 마인드가 좋은 선수이다. * 자타공인 별칭이 '''[[은하 제국(스타워즈)|악의 제국]]'''인 양키스로 '''[[다스 베이더|베이더]]'''가 이적했기에 각종 드립이 흥하고 있다. 스펠링은 한 글자 다르지만 발음이 비슷하기 때문. 본인도 23년 스캠때 다스베이더 마스크를 끼고 연습장에 나오는 등 이 드립을 알고 있는 듯 하다. 양키스는 스타워즈와 공식적으로 협업하여 [[만달로어인|만달로리안]] [[앤서니 리조|리조]]를 증정용 보블헤드로 내거나 수비이닝 2아웃 2스트라이크시 [[데스스타]]의 사이렌을 울리는 등 악의 제국 이미지를 공고히 하고 있는데, 23년 여름 기준 아직 향후 예정엔 없지만 보블헤드 데이 때 Darth Bader를 기대해볼 만하다. 다만 안타깝게도 웨이버 클레임으로 양키스를 떠나게 되어 근시일 내에는 보기 어려워졌다. [각주] [[분류:미국의 야구 선수]][[분류:1994년 출생]][[분류:2017년 데뷔]][[분류:이스트체스터 출신 인물]][[분류:플로리다 대학교 출신]][[분류:외야수]][[분류:우투우타]][[분류:세인트루이스 카디널스/은퇴, 이적]][[분류:뉴욕 양키스/은퇴, 이적]][[분류:신시내티 레즈/은퇴, 이적]][[분류:유대계 미국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