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fff {{{+1 해군핵추진프로그램}}}}}}'''[br]'''{{{#ffffff Naval Nuclear Propulsion Program}}}''' || ||<-2> [[파일:NR_LOGO.svg|width=300]] || || '''{{{#fff 창설일}}}''' ||[[1949년]] || || '''{{{#fff 약칭}}}''' ||'''{{{#fff {{{+1 NNPP, NR}}}}}}''' || || '''{{{#fff 소속}}}''' ||[[파일:미합중국 해군 마크.svg|width=30]] [[미합중국 해군]] || || '''[[국장(직위)|{{{#fff 초대 국장}}}]]''' ||[[파일:미합중국 해군대장기.svg|width=35]] '''[[하이먼 리코버]]''' 해군대장 || || '''[[국장(직위)|{{{#fff 현(現) 국장}}}]]''' ||[[파일:미합중국 해군대장기.svg|width=35]] 제임스 콜드웰 해군대장 || [목차] [clearfix] == 개요 == Naval Nuclear Propulsion Program, 또는 Naval Reactors는 [[미합중국 해군]]의 [[원자력]]을 다루는 프로그램으로 [[핵무기]]가 아니라, '''군함의 에너지원으로서의 원자력'''을 다루고 있다. 프로그램을 총괄하는 국장은 [[에너지부]] 산하 [[NNSA|국가핵안전보장국]]의 해군원자력담당 부국장을 겸임한다. 국장은 보통 [[잠수함]] 출신의 [[대장(계급)|대장]]이 임명된다. 처음 핵추진프로그램이 생겼을 때, 초대 국장이던 [[하이먼 리코버]]의 계급은 [[대령]]에 불과했지만, 리코버가 무려 '''33년''' 동안 국장을 지내면서 대장급 보직이 되었다. == 상세 == [[제2차 세계대전]]이 끝난 후인 1949년 선박국[* Bureau of Ships. 미국 해군의 선박 건조와 유지보수를 맡았다. 1974년에 해군해상체계사령부(Naval Sea Systems Command)로 재편되었다.]의 지원을 받은 [[하이먼 리코버]] [[대령]]에 의해 만들어졌다. 당시 해군핵추진프로그램은 선박국과 원자력위원회[* Atomic Energy Commission. 1975년에 에너지연구개발국(Energy Research and Development Administration)으로 재편되었고, 현재는 [[에너지부]]에 흡수되었다.]의 합동 연구였다. 해군핵추진프로그램은 [[노틸러스(원자력 잠수함)|USS 노틸러스]]부터 시작해 현재까지 군함에 탑재하는 원자로를 만들고 안전하게 유지해오고 있다. 이러한 활동에 큰 기여를 한 이가 초대 국장인 [[하이먼 리코버]] 대장이다. 원래 [[근속정년]]이니 [[연령정년]]이니 [[높으신 분들]]의 미움이니(...) 해서 몇 번씩이나 강제 퇴역 위기를 겪는 상황이었는데, 의회에서 리코버에게 정년을 적용하지 않기로 보증을 해준 덕에 33년 동안 국장으로 재직하면서[* 대통령이 바뀐 것으로 치면 [[해리 S. 트루먼|해리 트루먼]]부터 [[로널드 레이건]]까지 이어진 것으로, 사실상 냉전 전체를 관통한 셈이다. 대충 [[소련]]의 [[세르게이 고르시코프]] 제독이 활동하던 시기와 비슷하다.] 사실상 혼자의 힘으로 미국 해군의 원자력 해군화를 이끌 수 있었다. 1982년에 리코버가 퇴임한 이후로, 현재 제임스 칼드웰 대장이 7대 국장으로 재직하고 있다. 그런데 리코버가 워낙 오래 재임한 덕택에 6대 국장인 [[존 리처드슨]] 대장이 '''리코버의 괴이한 면접을 경험하지 않은 첫 국장이다.'''[* [[미국해군사관학교]] 1982년 졸업기수로, 리코버는 1982년 2월에 전역했다.] 앞서 언급했듯이 핵추진프로그램의 국장 및 주요 인원들은 보통 잠수함 출신 인사로 채워진다. [[수상함]] 출신도 임명이 불가능한 것은 아니다. 하지만 미국 해군의 핵추진 군함은 대다수가 잠수함으로 이루어져 있고, 냉전 당시에는 미국 해군이 [[롱비치급 순양함]]이나 [[버지니아급 핵추진 방공순양함]] 같은 핵추진 수상함을 운용하긴 했지만 현재까지 남아있는 핵추진 수상함은 항공이나 항해 병과가 주를 차지하는 [[항공모함]]이기 때문이다. 해군핵추진프로그램국장 보직은 [[해군부]] 직속으로 배정되며, 8년 임기를 보장받는다. 이로 인해 미국 해군은 [[미합중국 육군|육군]]이나 [[미합중국 공군|공군]]과 달리 해군부의 4성 TO가 [[해군참모총장|총장]]과 [[해군참모차장|차장]]을 포함해 세 자리이다. 사실상 이 보직은 미국 해군의 4성 TO 중 가장 이질적인 자리로, 직설적으로 이야기하면 원자로 만들고 원자력 사고가 터지지 않도록 관리하는 자리다. 그리고 국장은 퇴역 후에도 원자력 연구기관이나 에너지 회사에 스카우트되어 원자력 전문가로서의 역량을 발휘하기도 한다. 당장 리코버도 현역 시절에 [[스리마일 섬 원자력 발전소 사고]]가 나자 [[지미 카터]]의 지시로 진상조사에 착수하기도 했다. 다만 이런 이질적인 성격 탓에 국장은 다른 4성 제독들에 비해서 기구한 사연으로 언론에 오르내리기도 한다. 보통은 그럴듯한 신형 [[원자로]] 개발이라던가, 차기 잠수함 건조 사업, 해군 [[조선소]] 운영 같은 얘기들이지만, 시험에서 대규모 부정행위가 드러났다거나, [[오버홀]]을 진행하던 잠수함에 불이 났다거나하는 기구한 사연으로 언론에 오르내린다. 그리고 [[에너지부]]의 입김에서 자유로울 수 없기 때문에 국방예산과 관련 없는 심의에도 불려나가는 일도 많고, 연방정부의 국책 연구기관과도 많이 협력하기도 한다. 당장 [[연방해양대기청]]이 해양 탐사에 나설 때도 많이 협조하고, 외행성 탐사선에 탑재할 원자력 전지의 개발 등에서 [[NASA|항공우주국]]과 엮이기도 한다. == [[https://navalnuclearlab.energy.gov/nuclear-propulsion-program/|구성]] == * 베티스 원자력연구소 / Bettis Atomic Power Laboratory 미국 해군의 원자로 설계 및 개발을 독점적으로 담당한다. * 케네스 A. 케셀링 부지 / Kenneth A. Kesselring Site 프로토타입 원자로의 테스트를 담당한다. * 놀스 원자력연구소 / Knolls Atomic Power Laboratory 핵추진 군함의 연구, 설계, 건조, 운영 및 유지 보수를 담당한다. * 해군원자로시설 / Naval Reactors Facility 핵추진 군함의 원자로에서 나오는 사용후핵연료를 관리한다. * 찰스턴 원자로훈련대 / Nuclear Power Training Unit Charleston 원자로 운용 요원의 교육을 담당한다. * 정박훈련함 / Moored Training Ships [[라파예트급 잠수함#s-3|USS 다니엘 웹스터]] / USS Daniel Webster [[제임스 매디슨급 잠수함#s-4|USS 샘 레이번]] / USS Sam Rayburn [[로스앤젤레스급 잠수함#s-7.1|USS 라 호야]] / USS La Jolla [[로스앤젤레스급 잠수함#s-7.1|USS 샌프란시스코]] / USS San Francisco ==# 역대 국장 #== || '''순서''' || '''사진''' || '''이름''' || '''기간''' || '''계급''' || '''복무''' || '''비고''' || || 1 || [[파일:Hyman_Rickover_1955.jpg|width=100]] || [[하이먼 리코버]](Hyman G. Rickover) || 1949년 2월 ~ 1982년 2월 || [[미합중국 해군|해군]][br][[대장(계급)|대장]] || [[퇴역]] || [* 1922년 미국해군사관학교 졸업. 초대 국장.] || || 2 || [[파일:Kinnaird_R._McKee_DN-SC-86-01010.jpg|width=100]] || 키너드 맥키(Kinnaird R. McKee) || 1982년 2월 ~ 1988년 10월 || [[미합중국 해군|해군]][br][[대장(계급)|대장]] || [[퇴역]] || [* 1951년 미국해군사관학교 졸업. 제3함대사령관 출신.] || || 3 || [[파일:Adm._Bruce_DeMars,_USN.jpg|width=100]] || 브루스 데마스(Bruce DeMars) || 1988년 10월 ~ 1996년 9월 || [[미합중국 해군|해군]][br][[대장(계급)|대장]] || [[퇴역]] || [* 1957년 미국해군사관학교 졸업. 해군본부 잠수함전참모부장 출신.] || || 4 || [[파일:ADM_Frank_L._Bowman_(covered_2).jpg|width=100]] || 프랭크 보우먼(Frank L. Bowman) || 1996년 9월 ~ 2004년 11월 || [[미합중국 해군|해군]][br][[대장(계급)|대장]] || [[퇴역]] || [* 1966년 [[듀크 대학교]] 졸업. 해군본부 인사참모부장 출신.] || || 5 || [[파일:ADM_Kirkland_H_Donald.jpg|width=100]] || 커클랜드 도널드(Kirkland H. Donald) || 2004년 11월 ~ 2012년 11월 || [[미합중국 해군|해군]][br][[대장(계급)|대장]] || [[퇴역]] || [* 1975년 미국해군사관학교 졸업. 대서양함대 잠수함군사령관 출신.] || || 6 || [[파일:Admiral_John_M._Richardson_(150807-N-ZZ999-150).jpg|width=100]] || [[존 리처드슨]](John M. Richardson) || 2012년 11월 ~ 2015년 8월 || [[미합중국 해군|해군]][br][[대장(계급)|대장]] || [[퇴역]] || [* 1982년 미국해군사관학교 졸업. 대서양함대 잠수함군사령관 출신. 해군참모총장으로 영전.] || || 7 || [[파일:ADM_James_Caldwell_2015.jpg|width=100]] || 제임스 콜드웰 주니어(James F. Caldwell Jr.) || 2015년 8월 ~ 현직 || [[미합중국 해군|해군]][br][[대장(계급)|대장]] || [[현역]] || [* 1981년 미국해군사관학교 졸업. 해군 감찰감 출신.] || || 8 || || 윌리엄 휴스턴(William J. Houston) || 예정 ~ 현직 || [[미합중국 해군|해군]][br][[대장(계급)|대장]] || [[현역]] || [* 1990년 [[노터데임 대학교]] 졸업. 대서양함대 잠수함군사령관 출신.] || [[분류:미합중국 해군]][[분류:1949년 설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