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대한민국 국군 작전사령부)] || '''해군작전사령부 관련 틀'''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include(틀:대한민국 해군의 사령부)] ---- [include(틀:한미연합군구성군사령부)] }}} || ||<-2> '''{{{+2 해군작전사령부}}}[br]海軍作戰司令部[br]Republic of Korea Fleet'''[* 영어명칭에 대해서는 아래 '기타' 문단에서 설명.] || ||<-2> [[파일:gwt.png|width=65%]] || ||<-2> '''상비필승(常備必勝)''' || || '''창설일''' ||[[1952년]] [[8월 1일]] || || [[상징명칭|{{{#fff '''상징명칭'''}}}]] ||'''신선대''' || || [[약칭|{{{#fff '''약칭'''}}}]] ||'''해작사'''^^(대외)^^, '''작전사'''^^(대내)^^ || || '''소속''' ||[[대한민국 해군]] || || '''상급부대''' ||[[대한민국 해군본부|해군본부]][br][[대한민국 합동참모본부|합동참모본부]](평시)[br][[한미연합사령부]] / 연합해군구성군사령부(전시)[* 전시에 해군작전사령부는 [[미합중국 해군]]의 [[제7함대]]와 함께 연합해군구성군사령부를 구성하며, 미7함대사령관이 구성군사령관을 겸임한다.] || || '''규모''' ||[[작전사령부]] || || '''역할''' ||[[대한민국 해군]]에 대한 작전 지휘 || || '''[[해군작전사령관|{{{#fff 사령관}}}]]''' ||,,[[중장]],, [[최성혁(군인)|최성혁]] {{{-2 (해사 46기)}}}|| || '''[[부사령관|{{{#fff 부사령관}}}]]''' ||,,[[준장]],, [[이상식(군인)|이상식]] {{{-2 (해군 학군 37기)}}} || || '''[[작전참모|{{{#fff 해양[br]작전본부장}}}]]''' ||,,[[준장]],, 이재섭 {{{-2 (해사 50기)}}} || || '''[[참모장|{{{#fff 참모장}}}]]''' ||,,[[대령]],, 한광희 {{{-2 (해사 50기)}}} || || '''[[주임원사|{{{#fff 주임원사}}}]]''' ||,,[[원사(계급)|원사]],, 신정용 {{{-2 (해군 부사관 149기)}}} || || '''위치''' ||[[부산광역시]] [[남구(부산)|남구]] [[용호동(부산)|용호동]] [[부산 해군기지]]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신선대, 너비=100%, 높이=100%)]}}} || [목차] [clearfix] == 개요 == >'''해군작전사령부령''' >'''제1조(설치와 임무)''' ①해군에 해군작전사령부(이하 "사령부"라 한다)를 둔다. >②사령부는 해군의 작전·훈련과 군행정에 관한 사항을 관장한다. '''해군작전사령부'''는 남한 면적의 3.2배에 달하는 321,000㎢의 책임해역을 방어하고, 해상교통로를 보호하는 [[대한민국 해군]]의 작전 사령탑이다. 해군작전사령부는 1952년 8월1일 확대 개편한 '제1함대'의 사령부[* 지금의 제1함대와는 다름.]로 창설됐고, 1953년 9월 10일 제1함대를 모체로 '한국함대'(Republic of Korea Fleet)[* 국문 명칭이 바뀌었지만, 영문명은 계속 사용하고 있다.]가 탄생했다. 1986년 2월 한국함대를 작전사령부로 개편하고, 제1·2·3·5·6해역사령부를 제1·2·3함대로 재편성했다. 해작사[* 약칭은 대외적으로는 ‘해작사’를 사용하며, 내부에서는 ‘작전사’라고 부른다.(공군에서는 [[공군작전사령부]]를 내부적으로 ‘작사’라는 약칭으로 많이 쓴다.)] 예하에는 [[제1함대(대한민국 해군)|제1함대]]([[동해]]), [[제2함대(대한민국 해군)|제2함대]]([[서해]]), [[제3함대(대한민국 해군)|제3함대]]([[남해]]) 및 [[잠수함사령부]]와 [[해군항공사령부|항공사령부]], 직할 [[전단(군대)|전단]] 등이 있으며, 이들 부대를 통해 해군의 [[수상함]], [[잠수함]], [[항공기]]를 지휘·통제한다. 2007년 12월 [[진해기지]]에서 [[부산광역시]] [[남구(부산)|남구]] [[용호동(부산)|용호동]] [[부산 해군기지|부산작전기지]]로 사령부를 이전했다. == 연혁 == * [[1949년]] [[2월 14일]] - 인천에 제1정대, 포항에 제2정대, 목포에 제3정대, 진해에 훈련정대를 창설. * [[1950년]] * [[8월 16일]] - 훈련정대 해체. 제1정대를 증편하여 제1[[함대]][* 현재 [[제1함대(대한민국 해군)|제1함대]]와는 다른 부대.] 창설(서해 담당). [[손원일]] [[해군참모총장|총참모장]] 직접 지휘. * [[12월 9일]] - 제2정대(동해 담당), 제1함대에 통합. * [[1951년]] [[1월 5일]] - 제3정대(남해 담당), 제1함대에 통합. * [[1952년]] [[8월 1일]] - 제1함대를 6개 전대(호송·서해·동해·남해·소해·수송전대) 및 PT 편대로 확대 개편하고 함대사령부 창설. 손원일 총참모장 사령관 겸임. * [[1953년]] [[9월 10일]] - 1함대를 모체로 한국함대(제1호송·제3경비·제5경비·제1소해·제7보급전대, 함정교육단) 창설. * [[1955년]] [[3월 1일]] - 한국함대를 제1전단(호송 및 경비작전), 제2전단(상륙작전), 제31전대(소해 및 기뢰부설작전), 제51전대(해상군수지원), 함대훈련단으로 개편. * [[1957년]] [[7월 15일]] - 함대항공대 창설(1963년 1월 1일 해체, 1973년 5월 1일 재창설). * [[1967년]] [[11월 1일]] - 제6전단 창설(대간첩작전 및 해안방어 전담). * [[1977년]] [[1월 24일]] - 함대항공단 창설. * [[1984년]] [[2월 1일]] - 한국함대를 2개 전단으로 개편(제1전단 제13·15전대, 제2전단 제22·23전대 창설. 제6전단, 제31·51전대 해체). * [[1986년]] [[2월 1일]] * 지휘체계 일원화[* 각 해역사령부는 해군본부 직할 부대이나, 한국함대의 작전지휘를 받음]와 주요 전력의 전방 해역 상시 배치를 위해, 한국함대를 해군작전사령부로 개편하고, 제1해역사를 [[제1함대(대한민국 해군)|제1함대]]로, 제5해역사를 [[제2함대(대한민국 해군)|제2함대]]로, 제2해역사를 [[제3함대(대한민국 해군)|제3함대]]로, 제3·6해역사를 제3함대 예하 목포기지전대와 [[제주방어사령부]]로 재편성. * 제1전단 11전대와 제2전단을 해체, [[제5성분전단]](제51대잠·제52기뢰·제53상륙·제55군수지원·제56특수전전대)을 창설하고, 함대항공단을 [[해군항공사령부|제6항공전단]]으로, 진해통제부를 [[진해기지사령부|제7기지전단]][* 현재 [[제7기동전단|제7전단]]과는 다른 부대로, 진해기지사령부의 전신.]으로, 함대훈련단을 [[제8전투훈련단|제8전비전단]]으로 개편. * [[1990년]] [[6월 1일]] - 제5성분전단 예하에 제57잠수함전대 창설. * [[1995년]] [[10월 1일]] - [[잠수함사령부|제9잠수함전단]], 해양전술정보단 창설 및 편입. * [[2000년]] [[1월 1일]] - 제5성분전단 예하 제56특수전전대가 특수전여단으로 승격 및 편입. * [[2007년]] [[12월 1일]] - 작전사령부, [[부산]]으로 이전. * [[2007년]] [[12월 21일]] - [[해군 특수전전단|특수전전단]] 창설. 제8전비전단, 제509전비전대로 개편. * [[2009년]] [[1월 1일]]- 특수전전단, 특수전여단으로 개편. 전비전대 창설. * [[2010년]] [[2월 1일]] - [[제7기동전단]] 창설 및 편입. * [[2012년]] [[2월 1일]] - 특수전전단, 해양정보단 창설. * [[2015년]] [[2월 1일]] - 제9잠수함전단·전비전대, [[잠수함사령부]]·[[제8전투훈련단]]으로 승격. 각 [[함대]]의 [[수상함]] 전대들을 총괄하던 [[전단(군대)|전단]]급 부대인 전투전단이 해상전투단이라는 이름으로 부활. * [[2017년]] [[1월 1일]] - 작전사에 준장을 본부장으로 하는 해양작전본부 신설.[[https://www.news1.kr/articles/?2899606|#]] * [[2022년]] [[7월 15일]] - [[해군항공사령부]] 창설 및 편입. == [[해군작전사령관|사령관]] == [include(틀:해군작전사령관)] 해군작전사령관의 계급은 [[중장]]이며, 해군작전사령관은 [[한미연합군사령부|한미연합사]]의 평시 해군구성군사령관을 겸직한다.[* 전시에는 미군 7함대 사령관이 해군구성군사령관을 겸직한다.]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해군작전사령관)] == 조직 == [include(틀:대한민국 해군의 작전사령부 예하함대)] [include(틀:대한민국 해군의 작전사령부 직할 전단)] 해군작전사령부는 [[대한민국 해군]] 내에 [[중장]]이 지휘하는 두 개의 전투부대 중 하나로(또 하나는 [[해병대사령부]]), 작전권을 가진 해군의 최상위 부대이다. === 해군구성군사령부 === [[한미연합군사령부|한미연합사령부]] 산하 해군구성군은 공군과 달리[* 공군은 전/평시 모두 [[주한미군]]의 [[제7공군]] 사령관이 한미연합공군구성군 사령관을 겸임한다. 대한민국의 [[공군작전사령관]]이 부사령관을 겸임한다.] 육군구성군과 함께 [[미군]]이 아닌 [[대한민국 국군]] 장성이 지휘하는 부대이며, [[해군작전사령관]]이 해군구성군사령관(CNCC: Commander, Naval Component Command)을 겸직한다. 단 전시에도 대한민국 국군인 [[지상작전사령관]]이 구성군사령관이 되는 육군과 달리, 해군은 전시에는 미합중국 해군의 [[제7함대]] 사령관이 연합해군구성군사령관(CCNCC: Commander, Combined Naval Component Command)이 된다.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94081900329102006&edtNo=15&printCount=1&publishDate=1994-08-19&officeId=00032&pageNo=2&printNo=15174&publishType=00010|#]] === 편성 === * 해군작전사령부([[부산광역시]] [[남구(부산)|남구]]) * 해양작전본부[* 2017년 1월 1일 신설] * 부산기지지원전대 * 부산기지방호전대[* 구 부산기지전대] * 지휘통신전대 * [[소말리아 해역 호송전대]] (청해부대) * [[제1함대(대한민국 해군)|제1함대]](사령부: 강원특별자치도 [[동해시]]) * [[제2함대]](사령부: 경기도 [[평택시]]) * [[제3함대]](사령부: 전라남도 [[영암군]]) * [[잠수함사령부]] * [[해군항공사령부]] * [[제5기뢰/상륙전단]] * [[제7기동전단]] * [[제8전투훈련단]] * [[해군 특수전전단]] * [[해양정보단]] == [[부산 해군기지]]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AKR20171201049900051_01_i_P2.jpg|width=100%]]}}} || || '''부산광역시 해군작전사령부 본청''' || 2007년 12월 1일 경상남도 [[진해 해군기지]]에서 [[부산광역시]] [[남구(부산)|남구]] [[용호동(부산)|용호동]]의 백운포로 해군작전사령부가 이전했다.[* 이전 해군작전사령부 자리에는 [[해군군수사령부]]가 위치해있다.] 2006년 6월 15일 준공한 [[부산 해군기지]]는 진해기지와 달리 [[항공모함]]의 접안이 가능하고, 출항하면 곧바로 외항으로 나갈 수 있다.[[http://www.haesa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11934|#]] 해군작전사령부의 부산 이전 이후 각국 해군의 함정들이 훈련 및 친선방문 등을 위해 주로 부산기지에 입항한다. 2016년 2월 19일 서울특별시 주한미군 [[용산기지]]에 있던 주한 미 해군사령부(CNFK: Commander, U.S. Naval Forces Korea)가 부산 해군작전사령부 내에서 신청사 개관식을 하고 활동을 시작했다.[[https://www.yna.co.kr/view/AKR20171201049900051|#]]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부산 해군기지)] == 타국 해군의 동급 부대 == * [[해상자위대|일본 해상자위대]]에서는 이지스함을 비롯한 주력함들이 소속되어 있는 [[자위함대]](Self Defense Fleet)가 한국 해군의 작전사령부와 같은 위치라고 볼 수 있다. 단지 우리와 좀 차이점은 우리의 해역함대인 제1, 2, 3함대는 작전사 예하지만 해상자위대의 각 지방의 방면대는 자위함대와 지휘체계가 분리되어 있다. * [[미합중국 해군]]의 경우는 4성급의 태평양과 대서양함대를 운영하므로 작전사령부가 둘이라고 볼 수 있으나, 양측의 중시하는 부분이 좀 다르다. 태평양의 경우 수상함대와 항공대를 강조하지만, 대서양함대가 개편된 [[함대전력사령부]](US Fleet Forces Command)는 해군의 전략무기, 즉 [[원자력 잠수함]]에 대한 비중을 더 많이 두는 편이다.[* 역사적으로도 태평양 함대는 항공모함을 중심으로 부대를 구성하여 [[태평양 전쟁]], [[베트남 전쟁]]을 치렀고, 대서양함대는 북극해와 북대서양에서 [[소련]]의 잠수함들과 암투를 벌였다. 물론 잠수함들이 태평양에서 싸우지 않았다는 말은 아니지만, 미국은 [[알래스카]]의 존재 덕에 태평양에서 소련을 상대할 때는 항공작전을 더 여유있게 할 수 있었다. ] 때문에 [[미합중국 전략사령부|전략사령부]]의 해군구성군은 함대전력사령부이다. 의전상으로도 수상함대와 항공대는 태평양 쪽이 더 높지만 잠수함사령부는 대서양 쪽이 더 높다. == 사건·사고 == * 2020년 12월 6일 오후 11시 53분 경 스포티지 차량이 반대 차로에서 운행하던 시내버스의 앞 범퍼를 충돌한 뒤 해군작전사령부 제2정문을 들이받았다. 이 사고로 인하여 버스 앞 범퍼와 해군작전사령부 정문 철제차단벽이 심하게 파손되었다. 사고 이후 스포티지 차량이 도주하려고 하자 주변에 있던 시민들이 차량으로 도주로를 가로막았고, 신고를 받고 출동한 경찰이 운전자와 동승자를 체포하였다. === 2023년, [[부산 해군 중사 택시기사 폭행사건]]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부산 해군 중사 택시기사 폭행사건)] * 2023년 6월 19일 밤, 사관 앞에서 현역 해군 [[부사관]](20대)이 [[택시기사]](60대)를 [[폭행]]하다가 현장에서 [[긴급체포]]됐다. [[https://imnews.imbc.com/replay/2023/nwdesk/article/6495858_36199.html|#]] 해당 부사관은 택시에 탑승할 때부터 택시 기사에게 [[욕설]]을 하고 운전석까지 넘어와 [[위협]]하는 등 폭행이 시작됐다. 하차한 뒤에도 폭행을 이어가 고통스러워하며 주저앉은 택시기사를 아예 바닥에 눕힌 뒤 다리로 기사의 목을 짓누르는 등 난동을 부렸다. 이런 행동은 목적지인 해군 관사에 이르기까지 10분간 이어졌으며 폭행을 당한 택시 기사는 [[갈비뼈]]를 다쳐 [[병원]]에 [[입원]]했다. 경찰은 [[특가법]]상 [[특정범죄 가중처벌 등에 관한 법률#s-2.9|운전자 폭행]] 등 혐의로 해당 부사관을 입건해 사건을 군 경찰에 넘겼다. 그러나 사건 [[이틀]]이 지난 6월 21일까지 해당 부사관은 부대에서 정상 근무를 했고, 구속영장은 기각됐다. 7월 24일, 해군 군사경찰은 해당 부사관을 불구속 기소로 송치했으나, 9월 21일 기준 해당 부사관은 징계로 제적되어 민간인 신분으로 민간 법원에서 재판이 진행되는 것으로 전해졌다. == 기타 == * 흔히 '해군작전사령부'를 영문으로 Naval Operations Command라고 직역하는데, 공식적인 영문 명칭은 Commander Republic of Korea Fleet (COMROKFLT)이다(해군작전사령부 본청을 지칭할 경우에는, Republic of Korea Fleet Headquarters.). 한국 해군에서는 모든 공문서에서 이렇게 표기하고 있으며, 미 해군 역시 동일하게 표기한다. 영문 명칭은 1953년 9월 창설된 '한국함대'에서 비롯됐는데, 1986년 2월 한국함대와 제1·2·3·5·6해역사령부를 작전사령부와 제1·2·3함대로 개편한 이후에도 한국함대(Commander-in-Chief Republic of Korea Fleet, CINCROKFLT)의 영문 명칭을 계승했기 때문이다. 해군의 상위 지휘조직 및 지휘관을 'Commander in Chief + 조직명'으로 명칭하는 것은 현대 해군의 시조인 영국 해군의 관례로, 미국 해군도 미 태평양 함대 및 함대사령관을 Commander-in-Chief, U.S. Pacific Fleet (CINCPACFLT)로 불렀다. 2002년 [[도널드 럼스펠드]] 미 국방장관이 Commander-in-Chief라는 호칭은 대통령에게만 붙일 수 있다는 지침을 내려 Commander-in-Chief를 Commander로 변경했고, 한국 해군도 미군의 예를 따라면서 지금의 명칭으로 바뀐 것이다. CRF은 각 단어에서 3글자씩 표기하는 괴상한(...) 해군식 약어를 전부 표기하기 힘들 때 사용하는 약어의 약어(...)로 보면 되겠다.[* 공군에서 이와 대응하는 [[공군작전사령부]]의 영문 명칭은 그냥 'Air Force Operations Command'이다. '에이팍'으로 읽고, 3글자로 줄여쓸때는 AOC, 미측 공작사와 구분할때는 RAOC로 줄인다.] * 사령부는 본래 [[경상남도]] [[진해시]](현 [[창원시]] [[진해구]])에 있었으나, 2008년 [[부산광역시]] [[남구(부산)|남구]] [[용호동(부산)|용호동]]으로 이전했다. 단, 항만 면적이 진해에 비해 좁아 여전히 주력함들이 진해에 머물고 있는 와중에 사령부만 쓸데없이 이전했다, [[보안]]이 철저했던 [[진해 해군기지]]와 달리 [[부산 해군기지]]는 근처에 있는 민간 [[아파트]] 단지인 [[오륙도 SK뷰]]와 [[용호 쌍용예가]][* 실제 주민들이 군함이 보인다고 해서 이사를 왔는데 왜 부두에 배가 없냐고 항의를 한 적도 있다고...] 혹은 [[오륙도중학교]]나 그냥 언덕 위 도로에서도 기지가 훤히 내려다보여서 보안이 전혀 안 되며 특히 신선대 [[전망대]]에 올라가서 바라보면 바로 코닿을 거리에 해군기지가 아주 잘 보인다. (...) 더군다나 [[부산 버스 20|20번]], [[부산 버스 22|22번]], [[부산 버스 39|39번]] 시내버스가 백운포 사령부 바로 앞 남구국민체육센터까지 운행하며 근처에는 [[시민여객(부산)|시민여객]] 차고지가 위치해있다(!!) 전시에 적 특작부대 기습에 취약한데 작전사를 왜 그리로 옮겼는가 하는 비판이 해군 내에서 거세다. 이는, 당시 해군 내에서 무리한 [[부사관]] 직별 통합 등으로 평판이 떨어져 가던 당시의 [[해군참모총장]] [[송영무]] [[제독]]([[항해]][[대장(계급)|대장]])[* 전역 후 [[민주당(2008년)|민주당]] 입당, 전 국방장관.]의 작품이라는 점도 한몫했다. * [[수도권(대한민국)|수도권]]에 사는 사람이 이 부대로 오면 상당히 고역이다. 일단 휴가 때 [[KTX]]를 탄다고 하면 편도만 6만 원 가까이 하기 때문에 복귀하면 빈털털이가 된다... 그래서 [[용돈]]을 받는다. 물론 [[인천광역시]]나 [[서울]] [[구로구]] 등은 [[광명역]]을 이용하면 돈이 덜 든다. 아니면 [[수서역]]에서 [[SRT]]를 이용하거나[* SRT는 구포역에 정차하지 않으니 주의할 것.] 집이 [[동탄신도시]]일 경우 [[동탄역]]에서 [[SRT]]를 이용하면 상당히 돈이 절약된다. [[부울경]]이나 [[대구광역시]]에 거주할 경우 이보다는 가까우며 특히 [[해운대구]]에서는 주말에 작전사 소속 [[수병]]들이 단체로 [[외박]] 나와있는 모습을 자주 볼 수 있다. 작전사 근무 간부들도 [[센텀시티]]나 [[광안리해수욕장]], [[해운대해수욕장]]에 자주 간다. * 2020년 새해를 맞아 함상 해맞이 행사를 실시하였다.[* 행사에 동원된 함정은 [[독도급 대형수송함]] 독도함과 [[천왕봉급 상륙함]] 일출봉함이었다.] [youtube(qy9VSXuq4fM)] === 매체에서 === * 1999년 9월 27일 TV 내무반 신고합니다에 소개되었다. [youtube(QRuQHwuHlFE)] [[분류:해군작전사령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