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경상남도의 버스 터미널)] [[파일:합천시외버스터미널.jpg]] [목차] == 개요 == [[경상남도]] [[합천군]] [[합천읍]] [[대야로(합천)|대야로]] 883 (합천리)에 있는 시외[[버스 터미널]]이다. [[천일여객]]에서 설립한 (주)합천정류장에서 운영한다. 정작 천일여객은 2014년경에 합천에서 철수했고 [[경전여객]]과 자회사 [[동일익스프레스|동일고속]]의 텃밭이라는 게 함정. 이 터미널의 프리미엄은 8%, 우등은 16%, 일반이 74%로 일반이 훨씬 더 많이 운행하지만, 차량의 비율로 보자면 프리미엄이 8%, 우등이 72%, 일반이 20%로 차량의 비율로 보면 우등이 훨씬 더 많이 운행한다. 특정날짜는 프리미엄 차량의 비율이 무려 '''20%'''를 찍기도 한다. 이 경우 우등차량의 비율은 60%까지 줄어들며 일반 차량의 비율은 20%로 동일하다. 터미널 운영시간은 오전 6시 40분에 [[합천 버스 808|808번]], 백역행 농어촌, 신반행 농어촌을 시작으로 터미널 문을 연다. 시외버스 첫차는 오전 7시 부산서부행이다. 농어촌 홈은 저녁 7시 초계행 막차가 떠나면 문을 닫으며 시외버스는 밤 8시 45분 진주행이 막차고 이 때쯤 터미널 문을 닫는다. 이후 시간에 들어오는 부산서부발 합천행 막차, 서울남부발 합천행 막차는 길거리에 승객을 내려준다. 합천군을 오가는 농어촌버스 역시 여기서 이용할 수 있으며 합천 농어촌버스는 합천터미널을 본거지로 삼는다.[* 그 외 가야, 삼가, 초계 등 소규모 거점지로 삼는 동네가 있다.] == 노선 == [[파일:20221230_134519.jpg]] 시외버스 시간표 2022.12.30일 기준. 이 시간표에는 오류가 있다. 서울남부→합천 역시 1일 3회 운행한다. === 수도권 === ||<-3> '''{{{#ffffff 수도권}}}''' || || '''{{{#ffffff 행선지}}}''' || '''{{{#ffffff 운행횟수}}}''' || '''{{{#ffffff 운수회사}}}''' || || '''[[서울남부터미널|{{{#ffffff 서울남부}}}]]''' || 일 3회 || [[동일익스프레스]] || ||<-3> {{{#!folding [ 상세정보 펼치기 · 접기 ] ||<-3> '''{{{#ffffff --의령--·합천발 서울남부행}}}''' || || '''{{{#ffffff 경유지}}}''' || '''{{{#ffffff 소요시간}}}''' || '''{{{#ffffff 운임}}}''' || || '''[[고령터미널|{{{#ffffff 고령}}}]]''' ||<-2> 발권불가 || || '''[[성주버스정류장|{{{#ffffff 성주}}}]]''' ||<-2> 발권불가 || || '''[[서울남부터미널|{{{#ffffff 서울남부}}}]]''' || 4:00 || ₩ 35,800({{{#0000ff 우등}}})[br]₩ 46,500({{{#ff0000 프리미엄}}}) || || '''{{{#ffffff 운행시각표}}}''' ||<-2>{{{#ff0000 08:00, 11:00(금~일)}}}, {{{#0000ff 17:00}}} || ||<-3>[[시외버스 서울남부-합천]] 참고. 1일 1회(주말 1일 2회) 프리미엄으로 운행하며, 1일 1회는 우등으로 운행한다. 프리미엄은 2019년 2월 부터 운행이 시작되었다. 참고로 그 이전에는 모두 우등 및 일반으로 운행했으며 현재 일반은 코로나19로 철수한 상태. 이 노선의 경우 먼 옛날에는 [[코리아와이드 진안]]에서 운행했다가 [[천일여객]] 및 [[고려여객]]으로 넘겼다. 당시에는 성주를 거치지 않았으며 전회일반이었다. 그러다가 1998년부터 7회 중 5회에 한해 [[성주버스정류장]]을 거치기 시작하고 2000년대 중반부터 [[경전여객]]이 참여하기 시작했으며 2014년에 천일여객 및 고려여객이 철수하고 경전여객 단독운행으로 변경되었으며 전회 성주를 경유하게 되었다. 이후 28인승 버스도 철수했다가 2017년 1월 12일 부터 우등할증을 받음과 동시에 다시 28인승 우등 차량이 투입되기 시작했으며 이때 쯔음 경전여객에서 동일익스프레스로 운행 회사가 바뀌었다. 2020년 코로나19로 인해 2회로 줄였다가, 3회로 다시 늘렸다. 운행횟수가 적고 막차가 이른 편이고 프리미엄은 특히 요금이 비싸 막차 시간 이후에는 대구나 거창으로 가야 한다. 참고로 고령→합천 방면은 이 노선 구간승차가 가능하지만 합천→고령방면은 구간승차가 불가능하다. 반대로 고령↔성주, 합천↔성주는 양방향 구간 승차가 안된다. 그래서 성주에서 합천은 고령에서 갈아타면 되지만 합천에서 성주로 갈려면 결론적으로는 고령방향도 구간 승차가 안되어 대구로 넘어와서 갈아타야 한다.|| }}} || === 영남권 === ==== 직행 ==== ||<-3> '''{{{#ffffff 영남권}}}''' || || '''{{{#ffffff 행선지}}}''' || '''{{{#ffffff 운행횟수}}}''' || '''{{{#ffffff 운수회사}}}''' || ||<#0062bc> '''{{{#ffffff 대구서부}}}''' || 일 10회(평일)[br]일 12회(금,일)[br]일 11회(토) || [[경전여객]] || ||<-3> {{{#!folding [ 상세정보 펼치기 · 접기 ] ||
<-3> '''{{{#ffffff 삼천포·진주발 대구서부행}}}''' || || '''{{{#ffffff 경유지}}}''' || '''{{{#ffffff 소요시간}}}''' || '''{{{#ffffff 운임}}}''' || ||<#0062bc> --'''[[고령터미널|{{{#ffffff 고령}}}]]'''-- ||<-2> 운행중단 || ||<#0062bc> '''[[서부정류장|{{{#ffffff 대구서부}}}]]''' || 0:45 || ₩ 7,400 || ||<#0062bc> '''{{{#ffffff 운행시각표}}}''' ||<-2><(>07:30, 10:00, 10:10, 11:20, 13:10, 13:50^^(주말)^^, 14:30, 15:40, 16:30, 17:40, 19:10, 19:50^^(금,일)^^|| ||<-3><(>[[시외버스 대구서부-진주]] 참조. 합천시외버스터미널의 주력 노선 중 하나다. 참고로 차량 자체는 전회우등이나 일부 프리미엄이지만 요금은 일반 요금이다. 진주에서 출발하기 때문에 발권가능좌석이 6석으로 제한되어 있다. 옆 동네와 다르게 합천 출발은 없으며, 따라서 과거에는 주말에는 사전예매가 필수였다. 하지만 지역 특성상 전자기기를 잘 모르는 노인들이 대다수라... 다만 이를 감안했는지 6석 외에 남은 좌석이 있으면 비좌석제 현장 발권식으로 탑승이 가능하다. 10월 부터는 대구서부-여수 노선의 전회 합천 미경유, 10월 24일 대구서부-삼천포 노선의 운행중단으로 진주출발만 남았다가 12월에 삼천포출발이 운행을 재개했다. 한동안 예매가 가능했으나 하지만 10월 부터는 그나마 허용했던 예매마저 불가능해졌다. 07:30 버스만 예매가 가능하다. 이제 대구행은 철저히 줄을 먼저 서는 것이 우선이었으나 12월 부터 모든 시간대에 예매가 재개되었다. 따라서 합천서 대구로 갈 때는 반드시 사전예매를 일단 하길 바란다. 참고로 배차가 불안정하다. 10분 간격으로 좁아질 때도 있는 방면 2시간 30분으로 배차가 늘어날 때도 있다. 좌석을 못구했거나 시간이 안 맞으면 초계행 농어촌버스를 타고 초계에서 [[시외버스 대구서부-초계]]를 타거나 808번을 타고 분기로 가서 [[시외버스 대구서부-해인사]]를 타도 된다. 단, 초계는 시외버스가 1일 4회 밖에 없으며 분기는 농어촌버스가 1일 4회 밖에 없다. 또한 해당 노선들은 완행 노선이라 초계발은 1시간, 분기발은 55분 정도 잡아야 한다. 과거에는 합천에서 출발하는 버스가 대다수였으며 해당 시간대는 율곡, 지릿재, 합가, 귀원, 고령을 경유했다. 2020년 4월 부터 합천발 및 완행은 운행중지이다. [[33번 국도]]를 이용해 거리대비 요금이 꽤 세게 나온다. 무려 7400원으로, 거창과 창녕에 비하면 확실히 비싼 요금이다. 원래 [[고령터미널|고령]]을 거치는 시간도 있었으나 코로나19로 인해 2022년 9월 19일 부터 운행이 중단되었다. 운행횟수가 적고 자리가 일찍 털리는 경우가 많아 그 외 시간에는 [[거창시외버스터미널|거창]]으로 가서 [[서부정류장|대구서부]]행 버스를 이용해야 한다. || }}} || ||<#0062bc> '''{{{#ffffff 진주(직통)}}}''' || 일 8회 || [[경전여객]] || ||<-3> {{{#!folding [ 상세정보 펼치기 · 접기 ] ||
<-3> '''{{{#ffffff 대구서부발 진주행}}}''' || || '''{{{#ffffff 경유지}}}''' || '''{{{#ffffff 소요시간}}}''' || '''{{{#ffffff 운임}}}''' || ||<#0062bc> '''{{{#ffffff 진주도동[br]진주개양[br]진주남중}}}''' ||<-2> '''진주''' 발권 후 하차 || ||<#0062bc> '''[[진주시외버스터미널|{{{#ffffff 진주(시외)}}}]]''' || 1:00 || ₩ 8,600 || ||<#0062bc> '''{{{#ffffff 운행시각표}}}''' ||<-2><(>07:45^^(삼가경유)^^, 10:05, 12:25, 14:30, 15:45, 17:15, 18:05^^(삼가경유)^^, 20:45|| ||<-3><(>[[시외버스 대구서부-진주]] 참조. ^^(삼가경유)^^로 된 시간은 삼가를 경유한다. 일반 요금으로 우등을 운행하며 날짜에 따라 2회는 프리미엄을 운행하는데 역시 일반 요금이다. 참고로 대구서부행과 다르게 역시 [[대구광역시|타 지역]] 출발 노선이지만 28인석 모두 발권이 가능하다. 하지만 사전예매는 불가능하다. [[33번 국도]]를 이용해 거리대비 요금이 꽤 세게 나온다. 도동, 개양, 남중을 경유하는데 해당 행선지는 '''진주'''로 발권한 후 하차해야 한다. 그래서 기사가 [[진주시외버스터미널]] 가기 전에 도동, 개양, 남중 내리실 분을 묻는다. 가끔 내리는 승객이 1명도 없으면 초전동에서 고갯길을 이용해 진주터미널로 바로 가기도 한다.|| }}} || ||<#0062bc> '''{{{#ffffff 부산서부}}}''' || 일 8회 || [[동일익스프레스]][br][[태영고속]] || ||<-3> {{{#!folding [ 상세정보 펼치기 · 접기 ] ||
<-3> '''{{{#ffffff 합천발 부산서부행}}}''' || || '''{{{#ffffff 경유지}}}''' || '''{{{#ffffff 소요시간}}}''' || '''{{{#ffffff 운임}}}''' || ||<#0062bc> '''[[대양면|{{{#ffffff 대양}}}]]''' || 0:10 || ₩ 1,600 || ||<#0062bc> '''[[쌍백면|{{{#ffffff 쌍백}}}]]''' || 0:20 || ₩ 2,300 || ||<#0062bc> '''[[삼가정류소|{{{#ffffff 삼가}}}]]''' || 0:30 || ₩ 2,900 || ||<#0062bc> '''{{{#ffffff 대의}}}''' || 0:35 || ₩ 3,700 || ||<#0062bc> '''{{{#ffffff 칠곡}}}''' || 0:45 || ₩ 5,000 || ||<#0062bc> '''{{{#ffffff 가례}}}''' || 0:53 || ₩ 5,800 || ||<#0062bc> '''[[의령버스터미널|{{{#ffffff 의령}}}]]''' || 0:55 || ₩ 6,000 || ||<#0062bc> '''{{{#ffffff 정암}}}''' || 1:00 || ₩ 6,300 || ||<#0062bc> '''{{{#ffffff 월촌}}}''' || 1:02 || ₩ 6,700 || ||<#0062bc> '''[[함안버스터미널|{{{#ffffff 함안}}}]]''' ||<-2> 발권불가 || ||<#0062bc> '''[[부산서부시외버스터미널|{{{#ffffff 부산서부}}}]]''' || 2:30 || ₩ 14,100[br]₩ 18,300({{{#0000ff 우등}}}) || ||<#0062bc> '''{{{#ffffff 운행시각표}}}''' ||<-2><(>{{{#0000ff 07:00, 08:30^^(금,토,일)^^, 09:00}}}, 10:25, 11:55, {{{#0000ff 14:30, 15:10^^(금,토,일)^^, 16:00}}}, 17:15, 19:00|| ||<-3><(>[[시외버스 부산서부-합천]] 참고. 2016년에 경전여객에서 동일익스프레스로 이관되었다. 파란색 시간이 동일익스프레스, 검은색 시간이 태영고속이다. 2020년 10월에 동일고속 시간에 한해 우등할증을 하기 시작했으며, 2021년 4월 12일 부터 동일고속 시간에 한해 [[함안버스터미널|함안]]을 거치기 시작했다. 합천-의령간 구간승차는 가능하지만, 합천,의령-함안간 구간승차는 불가능하다. 함안까지 국도로 운행해 거리대비 요금이 꽤 나가는 편이며 특히 동일고속 시간은 우등할증 30%를 받기 때문에 요금이 더 나간다. 월촌까지만 이용시 동일고속 시간도 일반요금으로 받는다. 합천-대양,쌍백,삼가간 구간승차도 가능하며 이로 인해 마산-창원행과 더불어 합천-대양,쌍백,삼가간 급행 역할도 맡으나, 예매는 불가능하며 무조건 현장발권이다. 동일익스프레스 시간만 예매가 가능하며 태영고속은 현장발권이다. 주말에는 꽤 인기가 좋아서 동일고속 시간에 원하는 좌석에 앉으려면 사전예매가 필수다. 함안경유시 부산서부 소요시간이 10분 정도 더 걸린다. 함안경유 차량은 금,토,일에는 1일 2회 증회운행한다. || }}} || ||<#0062bc> '''{{{#ffffff 삼천포}}}''' || 일 2회 || [[경전여객]] || ||<-3> {{{#!folding [ 상세정보 펼치기 · 접기 ] ||
<-3> '''{{{#ffffff 대구서부발 진주행}}}''' || || '''{{{#ffffff 경유지}}}''' || '''{{{#ffffff 소요시간}}}''' || '''{{{#ffffff 운임}}}''' || ||<#0062bc> '''[[사천시외버스터미널|{{{#ffffff 사천}}}]]''' || 1:10 || ₩ 11,600 || ||<#0062bc> '''[[삼천포시외버스터미널|{{{#ffffff 삼천포}}}]]''' || 1:00 || ₩ 15,500 || ||<#0062bc> '''{{{#ffffff 운행시각표}}}''' ||<-2><(>{{{#0000ff 13:05, 19:25}}} || ||<-3><(>[[시외버스 대구서부-삼천포]] 참조. 2020년에 개통하였다. 대구서부-삼천포 중 2회가 합천을 거치고 합천-사천,삼천포간 구간승차를 허용하면서 운행을 개시한 것. 역방향으로도 개시하였다. 1일 2회 밖에 안되어 그 외 시간에는 진주에서 갈아타야 한다. 2022년 10월 24일에 운행이 중지되었다가, 동년 12월 19일에 운행을 재개하였다. || }}} || === 완행 === ====# --고령,대구(완행)-- #==== [include(틀:운행중단)] ||<:> {{{#ffffff --'''정류장'''--}}} ||<:> {{{#ffffff --'''소요시간'''--}}} ||<:> {{{#ffffff --'''운임'''--}}} || ||<:>--율곡-- || --0:10-- || --₩ 1,500-- || ||<:>--지릿재-- || --0:15-- || --₩ 1,700-- || ||<:>--합가-- || --0:23-- || --₩ 1,900-- || ||<:>--귀원-- || --0:30--- || --₩ 2,400-- || ||<:>--[[고령터미널|고령]]-- || --0:40-- || --₩ 3,400-- || ||<:>--[[서부정류장|대구(완행)]]-- || --1:10-- || --₩ 6,800-- || * --운행횟수 : 일 10회-- * --첫차 : 06:40-- * --막차 : 20:30-- * --운행회사 : [[경전여객]]-- * --[[시외버스 대구서부-합천]] 참고. [[창녕군]], [[거창군]]과 다르게 완행노선 발권이 되긴 하지만 빠르게 가려면 이 노선 대신 [[서부정류장|대구직행]]을 타는 것이 더 좋다. 1일 2회는 [[진주시외버스터미널|진주]]에서 출발한다. 과거에는 대구직행 운행횟수가 4회 밖에 안되었으나 지속적인 대구직행 증회와 대구완행 감회로 인해 현재는 운행횟수가 10회로 똑같아졌다.-- * 코로나19로 인해 2020년 4월 20일 부터 운행이 중단되었다. ====# --삼가,진주(완행)-- #==== [include(틀:운행중단)] ||<:> {{{#ffffff --'''정류장'''--}}} ||<:> {{{#ffffff --'''소요시간'''--}}} ||<:> {{{#ffffff --'''운임'''--}}} || ||<:>--대양-- || --0:10-- || --₩ 1,500-- || ||<:>--쌍백-- || --0:20-- || --₩ 1,500-- || ||<:>--[[삼가정류소|삼가]]-- || --0:30-- || --₩ 2,800-- || ||<:>--대의-- || --0:35-- || --₩ 3,500-- || ||<:>--송계-- || --0:40-- || --₩ 3,900-- || ||<:>--안간-- || --0:45-- || --₩ 4,700-- || ||<:>--진주도동[br]진주개양[br]진주남중-- ||<-2> --'''진주''' 발권 후 하차-- || ||<:>--[[진주시외버스터미널|진주(완행)]]-- || --1:20-- || --₩ 8,200-- || * --운행횟수 : 일 5회-- * --첫차 : 07:10-- * --막차 : 19:10-- * --운행회사 : [[경전여객]]-- * --[[시외버스 진주-합천]] 참고. 역시 [[진주시외버스터미널|진주완행]] 발권이 되긴 하지만 역시 빠르게 가려면 직통을 타는 것이 더 좋다. 일 2회는 대구서부에서 출발한다.-- * 코로나19로 인해 2022. 11. 28 부로 운행중단. ==== 마산,창원 ==== ||<:> {{{#ffffff '''정류장'''}}} ||<:> {{{#ffffff '''소요시간'''}}} ||<:> {{{#ffffff '''운임'''}}} || ||<:>대양 || 0:10 || ₩ 1,600 || ||<:>쌍백 || 0:20 || ₩ 2,200 || ||<:>[[삼가정류소|삼가]] || 0:30 || ₩ 2,900 || ||<:>어신 || 0:32 || || ||<:>대의 || 0:35 || ₩ 3,700 || ||<:>평촌 || 0:36 || || ||<:>죽전 || 0:38 || || ||<:>다사 || 0:40 || ₩ 4,200 || ||<:>대의고개 || 0:41 || || ||<:>죽공 || 0:43 || || ||<:>산북 || 0:45 || ₩ 4,500 || ||<:>산남 || 0:48 || || ||<:>칠곡 || 0:50 || ₩ 5,000 || ||<:>가례 || 0:57 || ₩ 5,800 || ||<:>[[의령버스터미널|의령]] || 1:00 || ₩ 6,000 || ||<:>정암 || 1:03 || ₩ 6,500 || ||<:>월촌 || 1:05 || ₩ 6,700 || ||<:>사도사거리 || 1:08 || || ||<:>[[마산시외버스터미널|마산]] || 1:45 || ₩ 9,800 || ||<:>[[창원종합버스터미널|창원]] || 2:00 || ₩ 10,800 || * 운행횟수 : 1일 3회(창원행 1회) * 첫차 : 07:50 * 막차 : 14:45 * 시간 : 07:50, 12:50, 14:45 * 종전 운행횟수 : 1일 6회(창원행 2회) * 운행회사 : [[태영고속]] * 비고 : 운행횟수가 많지 않고 경유지가 많으므로 [[진주시외버스터미널|진주]]에서 갈아타는 것이 낫다. === 농어촌버스 === [[거창시외버스터미널|거창(농어촌버스)]][* 원래 직행버스가 있었으나 폐지되고 현재는 [[서흥여객]]행 농어촌버스만 남았다. 거창시외버스터미널 링크는 이해를 쉽게 하기 위해 일부로 붙였을 뿐이다.] == 시설 및 기타 정보 == 2층 건물로 구성되어 있으며, 1층 대부분은 터미널 관련 시설인 대합실, 매표소, 매점, 화장실, 승차홈 등이 설치되어 있고 2층은 상업 시설 및 간호학원이 입주하고 있다. 승차홈은 군내버스 승차홈과 시외버스 승차홈이 분리되어 있다. 터미널 건물에는 합천버스정류장이라 되어 있다.TV, 화장실, [[AED]] 등이 있다. 대로변에서 대합실로 들어가는 입구 를 등지고 서면 길건너에 왼쪽(북쪽) 방향부터 합천 농협 하나로마트 이화예식장(1층에 현대차 대리점) 합천병원 삼성병원이 차례로 위치해있다. 2020년 2월 [[코로나19]] 확진자가 다녀가서 방역으로 인해 잠시 폐쇄되었다가 방역 후 현재는 출입이 가능해졌다. 그러나 코로나가 종식되는 기한까지 차 시간표가 바뀌었으며 하루에 운영하는 버스의 횟수도 줄어들었다. 성주[* 서울남부행 버스가 경유하기는 하나 구간승차가 불가능하다. 이럴경우 고령이나 김천에서 갈아타야 한다.], 함안행 버스는 다니지만 발권이 불가능하다. 2020년부터 2022년까지 대구서부발 광양, 순천, 여수행 버스 일부가 다녔지만 합천에서의 승차는 불가능했다. [[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station&no=35549&page=14]] 이후 2022년 10월 남은 회차마저 합천 미경유로 전환했다. == 운행업체 == '''[[경전여객]]''', [[동일고속]], [[태영고속]] 먼 옛날 [[시외버스 대구남부-창녕]]이 합천까지 운행하던 시절에는 [[경산버스]]도 들어왔으며, 2014년까지는 천일여객과 고려여객도 들어왔고, 1991년까지는 코리아와이드 진안도 들어왔다. == 갈 수 없는 행선지[*주의 과거에 운행하던 노선은 과거에 운행하던 노선 란에 적을 것.] == === 영남권 === [[성주버스정류장|성주]], 함안[* 의령에서 환승하자.] == 기타 == 인접한 군임에도 [[성주군]][* 서울남부행 시외버스가 중간에 경유하지만 합천→고령, 고령↔성주, 합천↔성주는 구간승차 할 수없기 때문], [[산청군]], [[창녕군]] 방면 버스는 없다. === 합천-성주 === * 1. 대구행 시외버스 탑승 → [[서부정류장]] → [[대구 버스 564|564번]] 탑승 → [[대실역]] 하차 → [[성주, 칠곡 버스 250|250번]] 탑승 → [[성주버스정류장]] * 2. [[합천 버스 808|분기행 농어촌버스]] 혹은 초계행 농어촌버스 탑승 → 분기 or 초계 → [[시외버스 대구서부-해인사|고령행]] 시외[[시외버스 대구서부-초계|버스]] 탑승 → [[고령터미널|고령]] → 성주행 농어촌버스 탑승 * 3. [[합천 버스 808|가야방면 버스 탑승]] → 가야 → 도보 6km → 백운동 → [[성주 버스 성주-송계.수륜.백운동|성주행 버스 탑승]] → 성주 === 합천-산청 === * 1. [[거창 버스 40, 합천 버스 400|거창행 농어촌버스 탑승]] → 거창 → 산청행 시외버스 탑승 → 산청 * 2. 진주행 시외버스 혹은 전세버스 탑승 → [[진주시외버스터미널|진주]] → 산청행 시외버스 탑승 → 산청 * 3. 가회행 농어촌버스 탑승 → 가회 → 원지행 버스 탑승 → 원지 → 산청행 농어촌버스 혹은 시외버스 탑승 → 산청 === 합천-창녕 === * 1. 초계행 농어촌버스 탑승 → 적교 → [[창녕 버스 창녕-적교|창녕행 농어촌버스]] 탑승 * 2. 초계행 농어촌버스 탑승 → 초계 → [[합천 버스 100번대 #s-2.21|율원행 농어촌버스]] 탑승 → 율원~율지 → [[창녕 버스 이방-율원|이방행 농어촌버스]] 탑승 → 이방 → [[창녕 버스 창녕-이방|창녕행 농어촌버스]] 탑승 → 창녕[* 배차간격이 길고 오전에만 연계가 되어서 이용이 힘들다] * 3. 대구행 시외버스 탑승 → [[서부정류장]] → 창녕행 시외버스 탑승 → 창녕 == 과거에 운행하던 노선 == * [[창녕시외버스터미널|창녕]], 성산, [[풍각정류장|풍각]], 각남, 화양, 칠성리, 청도군청, [[청도공용버스터미널|청도]], 무등, 투우장, 남성현, 남천, 중앙병원, [[경산시외버스정류장|경산]], [[시지정류소|시지]], [[남부정류장|대구남부]]: 매우 오래 전에 창녕으로 단축되었다. * [[거창시외버스터미널|거창]]: 현재는 [[서흥여객|농어촌버스]]를 타서 [[서흥여객]] 시내버스터미널에 내리는 방법이 있다. * [[장유신도시|장유]] 율하 : 2017년에 개통했다가 2019년 6월 21일 부로 수요부족으로 [[창원종합버스터미널|창원]]으로 단축되었다. 이 버스는 합천에서 김해로 가는 유일한 버스였지만 김해시내와는 좀 먼 율하지구로 갔다. [[분류:경상남도의 버스 터미널]][[분류:합천군의 교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