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한국의 성씨)] [include(틀:신라 6성)] ||<-2> '''{{{#341d08 [[신라|{{{#341d08 신라}}}]] 6성}}}'''{{{#!wiki style="margin: -15px -10px" || {{{#!wiki style="margin: -0px -5px" }}} '''{{{#341d08 {{{+1 陜川 李氏}}}[br]{{{+1 합천 이씨}}}}}}''' ||}}} || || '''{{{#ece5b6 관향}}}''' ||[[경상남도]] [[합천군]] || || '''{{{#ece5b6 시조}}}''' ||이개(李開) || || '''{{{#ece5b6 집성촌}}}''' ||[[경상남도]] [[합천군]], [[거창군]], [[산청군]], [[함양군]][br][[충청남도]] [[논산시]][br][[충청북도]] [[진천군]] || || '''{{{#ece5b6 인구}}}''' ||121,416명^^(2015년)^^ || [목차] [Clearfix] == 개요 == 이개(李開)는 고려가 건국되자 [[태조(고려)|태조]]의 제안을 받아들여 합천호장(陜川戶長)을 지냈다. 중시조는 이알평의 39세(世) 이개(李開)가 강양군(江陽君)에 봉군되고 강양은 합천(陜川)의 옛 이름이다. 조선 태종 때 강양(江陽)이 합천으로 개칭되어 뒤에 본관을 합천으로 삼았다. 《문충공사적기(文忠公事蹟記)》에는 그가 문창후(文昌侯) [[최치원]](崔致遠)의 문인으로 유학(儒學)의 진흥에 힘써 그 공으로 강양군에 봉해졌으며 박경엽(朴敬燁)의 난을 토평하고, 다시 문학(文學)을 진흥시켜 중국에 버금가게 하였다고 하였다. 이개가 합천호장을 지냈고 그곳에서 죽은 것을 연유로 후손들이 그를 시조로 하여 합천을 관향으로 삼아 계대하고 있다. 합천(陜川)은 경상남도 북서부에 위치한 군으로 본래 신라의 대량주인데, 경덕왕이 강양으로 고치고, 고려 태조 왕건의 제13왕비,[* 태조 왕건의 13번째 부인으로 원래 호칭은 부인(夫人)이지만 이해하기 쉽게 왕비로 기재함] 후대량원부인(後大良院夫人)[* [[삼국유사]]에는 편년통록의 저자로 알려진 [[김관의]]의 왕대종록(王代宗錄)이라는 책을 인용해서 "신성왕후 이씨는 본래 경주대위(慶州大尉) 이정언(李正言)이 협주수(俠州守)로 있을 때에 태조가 이 주에 거둥하여 비로 삼았으므로 혹은 협주군(俠州君)이라고도 하였다."라고 언급되어 있다고 적고 임경숙(任景肅)ㆍ민지(閔漬)도 모두 이 설을 주장했는데, 김부식이나 이제현, 일연은 모두 이 설을 부정하고 현종의 할머니 즉 안종의 어머니 신성왕후는 경순왕의 사촌 김억렴의 딸이 맞다고 썼다. 기록상 협주란 지명은 현종이 즉위한 뒤에 개칭된 것으로 이전에는 대량주군(大良州郡), 또는 대야주군(大耶州郡)으로 불렸고 왕비를 군(君)으로 책봉한 예가 고려 시대에는 없었으며 『왕대종록』에는 태조의 후비가 25인이라고 하였으나 실제로는 29인이었다는 점 등을 고려하면 『왕대종록』의 기록은 따르기가 어려운 것이라고도 하지만, 김관의가 후대 사람이라는 점을 생각하면 자신이 쓰던 당대의 지명을 가져다 붙였을 수도 있고, 고려 초기가 워낙 기록이 부실한지라 고려 태조의 왕비로써 기록에 빠진 사람이 있어도 이상할 것은 없다.]의 고향이라 하여 합주군(陜州郡)으로 승격되었고, 조선 태종 때 합천으로 고쳤다. 시조 이개는 대안군 김은열의 장녀 경주김씨와 혼인하여 후대에 자손을 전하였는데, 장인인 대안군(大安君) 김은열(金殷烈)은 신라의 마지막 왕 경순왕과 왕건의 딸 낙랑공주 사이에 태어난 인물로, 경주김씨, 안동김씨, 의성김씨, 김녕김씨의 시조로 간주되고 있다. 따라서 합천이씨는 신라건국의 주역인 이알평의 핏줄에 경순왕, 왕건의 핏줄까지 연결되는 유래가 깊은 가문이다. == 분파 == * 전객령파(典客令派) : 림(琳) * 판사공파(判事公派) : 수성(守成) * 전서공파(典書公派) : 수전(守全) * 병사공파(兵使公派) : 기(起) * 교리공파(校理公派) : 필(䟆) * 첨사공파(詹事公派) : 공실(公實) * 목사공파(牧使公派) : 공주(公柱) * 부사공파(府使公派) : 세방(世芳) * 사간공파(司諫公派) : 원후(元厚) * 제학공파(提學公派) : 원경(元慶) * 사인공파(舍人公派) : 영필(永弼) * 생원공파(生員公派) : 종필(宗弼) * 상서공파(尙書公派) : 춘계(春啓) * 참지공파(參知公派) : 양실(良實) * 참지공파(參知公派) : 양진(良眞) == 항렬 == || 25세 || 용(鎔)○, 전(銓)○ || || 26세 || ○영(永), ○홍(洪) || || 27세 || 정(楨)○, 환(桓)○ || || 28세 || ○섭(燮), ○훈(勳) || || 29세 || 채(埰)○, 진(珍)○ || || 30세 || ○현(鉉), ○탁(鐸) || || 31세 || 한(漢)○, 해(海)○ || || 32세 || ○식(植), ○래(來) || || 33세 || 환(煥)○, 형(炯)○ || || 34세 || ○기(基), ○균(均) || || 35세 || 호(鎬)○, 수(銖)○ || || 36세 || ○순(淳), ○숙(淑) || || 37세 || 근(根)○, 극(極)○ || || 38세 || ○렬(烈), ○엽(燁) || || 39세 || 재(在)○, 재(載)○ || || 40세 || ○석(錫), ○용(鏞) || || 41세 || 태(泰)○, 호(浩)○ || || 42세 || ○상(相), ○림(林) || || 43세 || 희(熙)○, 경(炅)○ || || 44세 || ○배(培), ○곤(坤) || || 45세 || 진(鎭)○, 순(錞)○ || || 46세 || ○수(洙), ○기(淇) || || 47세 || 동(東)○, 영(榮)○ || || 48세 || ○병(炳), ○홍(烘) || || 49세 || 규(圭)○, 민(玟)○ || || 50세 || ○종(鐘), ○흠(欽) || == 인물 == ## 나무위키에 문서가 존재하는 인물만을 나열해주시기 바랍니다. ## 세대별로 분류 후 생일 순으로 나열해주시기 바랍니다. || 이름 || 생몰년도 || 파 || 비고 || ||<-4> '''28세손(燮/勳) ''' || || [[이동은]](李東殷) || 1978 ~ || 직제학공파 || 영화배우 겸 가수 (구르노) , 온라인창작자 ( 동네통 ) || || [[이문원]](李文源) || 1906 ~ 1960 || 상서공파 || 정치인 || ||<-4> '''30세손(鉉/鐸) ''' || || [[이병주]](李炳注) || 1921 ~ 1992 || 참지공파 || 소설가 || ||<-4> '''32세손(植/來) ''' || || [[이원홍(1903)|이원홍]](李源弘) || 1903 ~ 1976 || 목사공파 || 군인, 공무원 || || [[성철(승려)|성철]](性徹) || 1912 ~ 1993 || 전서공파 || 승려 || ||<-4> '''33세손(煥/炯) ''' || || [[이희성]](李熺性) || 1924 ~ 2022 || 전서공파 || 군인, 공무원 || || [[이상희(1932)|이상희]](李相熙) || 1932 ~ 2022|| 목사공파 || 공무원, 정치인 || || [[이봉원]](李俸源) || 1963 ~ || 참지공파 || 코미디언 || ||<-4> '''34세손(基/均) ''' || || [[이만섭]](李萬燮) || 1932 ~ 2015 || 첨사공파 || 정치인, 족보명 흥기(興基) || || [[이만기(체육인)|이만기]](李萬基) || 1963 ~ || 목사공파 || 체육인 || || [[이상엽]](李相燁) || 1983 ~ || 참지공파 || 배우 || * 미상 * [[이민기]] * [[이성가]] * [[이대엽]] * [[이장군]] * [[이진수]] * [[이효정]] * 이승연 * [[이은빈]] * [[이지훈]] * [[이승진]] * 이가은 이문식 || 전서공파 31대손 이형우 || 전서공파 32대손 이지한 || 전서공파 33대손 [[분류:합천 이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