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2 '''함흥역'''}}} || ||<-3>{{{#!wiki style="margin: -6px -10px -5px" [include(틀:지도, 장소=함흥역, 너비=100%, 높이=100%)]}}} || ||<-3> '''다른 문자 표기''' || || [[로마자]] ||<-2> Hamhŭng || || [[한자]] ||<-2> 咸興 || || [[간체자]] ||<-2> 咸兴 || || [[가나(문자)|가나]] ||<-2> [ruby(咸興, ruby=ハムン)] || ||<-3> '''주소''' || ||<-3> [[함경남도]] [[함흥시]] [[성천강구역]] 역전1동 || ||<-3> '''관리역 등급''' || ||<-3> 불명[br](함흥철도총국) || ||<-3> '''운영기관''' || || [[평라선]] ||<-2><|3>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철도성]] || || [[신흥선]] || || [[서호선]] || ||<-3> '''개업일''' || || [[함경선]] ||<-2> 1919년 12월 15일 || || [[신흥선]] ||<-2> 1923년 6월 10일 || || [[서호선]] ||<-2> 1934년 5월 11일 || ||<-3> '''철도거리표''' || || [[평양역|{{{#585858 {{{#!html
평양 방면
}}}}}}]][[주서역|주 서]][br]← 6.3 ㎞ || '''[[평라선]]'''[br]함 흥 || [[라진역|{{{#585858 {{{#!html
라진 방면
}}}}}}]][[함흥조차장역|함흥조차장]][br]3.9 ㎞ → || ||<|2> {{{#585858 {{{#!html
기점
}}}}}} || '''[[신흥선]]'''[br]함 흥 || [[부전호반역|{{{#585858 {{{#!html
부전호반 방면
}}}}}}]][[가담역|가 담]][br] 6.6 ㎞ → || || '''[[서호선]]'''[br]함 흥 || [[흥남역|{{{#585858 {{{#!html
흥남 방면
}}}}}}]][[서함흥역|서함흥]][br] 1.1 ㎞ → || [목차] [[파일:CfGsD31.jpg|width=550]] [clearfix] == 개요 == [[평라선]]의 철도역. [[함경남도]] [[함흥시]] [[성천강구역]] 역전1동(광복 당시 함흥시 용흥동) 소재. == 역사 == [[파일:external/3.bp.blogspot.com/Hamhung+Stations3.jpg]] == 특징 == 이 역은 [[함흥철도총국]]의 소재지로, [[함경남도]]와 [[강원도(북한)|강원도]]의 모든 역을 총괄한다. 따라서 규모도 엄청나게 크며, 북한 전국에서 몇 곳 없는 [[조차장]] 시설도 가지고 있다. 위 사진을 보면 알 수 있듯이 [[역사]] 규모도 사람들과 비교해 보면 남한 기준으로도 규모가 상당히 크다. 역 크기만 놓고 보면 [[평양역]]보다 더 크다고 한다. [[https://youtu.be/m6DKsh8nH6w?t=211|평양에 지고 싶지 않아 평양역보다 더 크게 지었다고 한다.]] 그런 만큼 이 역이 가지는 위상은 엄청나며, 그만큼 선도 좀 복잡하게 꼬여 있다. 시 구석구석으로 가는 인입선의 수도 상당히 많고 함흥시 내만 해도 [[평라선]], [[서호선]], [[창흥선]], [[신흥선]][* 참고로 이 노선은 '''[[협궤]]'''이다.]이 난립해 있다. 이 역이 철도총국 지정역으로 된 데에는 다음과 같은 이유를 들 수 있다. 우선 오래 전부터 [[함경남도]] 전체의 중심지[* 함경도의 '함'은 [[함흥]]이고 '경'은 [[경성군]]이다.]였던 만큼 중요한 대접을 받아 왔으며 또 그만큼 교통의 요지이기도 하다. 북쪽의 [[단천청년역]]이나 [[여해진역]][* 각각 [[단풍선]]과 [[함남선]]이 분기한다.]은 지나치게 도 중심부에서 멀리 있으며 [[고원역]] 일대는 잘 개발되지 않았고 [[원산역]] 쪽은 현재 북한에서 가장 낙후된 곳이다[* [[원산시]]뿐 아니라 북한 강원도 전체가 그렇다]. 이 때문에 이 역이 함경남도와 강원도의 모든 역을 지휘하게 된 것이다. 역은 함흥시의 서쪽으로 크게 치우쳐 있기 때문에 함흥시의 동쪽으로 가기 위해서는 역에서 내려서 도로를 이용하는 것이 좋다. 청년역 이름을 피해 간 몇 안 되는 중요 거점역인데, 대부분의 중앙 거점역에는 '청년'이라는 이름이 붙어 있다.[* [[신의주청년역]], [[신안주청년역]], [[단천청년역]], [[길주청년역]], [[청진청년역]], [[회령청년역]], [[만포청년역]], [[혜산청년역]], [[사리원청년역]] 등등.] == 기타 == [[디시인사이드]] [[철도 갤러리]] 갤러들이 [[http://gall.dcinside.com/list.php?id=train&no=152076|1944년 서울역 ~ 함흥역 ~ 상삼봉(중국) 간 급행]] 시간표를 찾아냈다. 2019년 북러정상회담 참석을 위해 출발장소로 알려져 있다. 통일이후에도 동해선 주요거점 & 함경도 최대도시인 함흥의 중앙역 관리역 지위를 가질 것으로 예상된다. [[분류:평라선]][[분류:신흥선]][[분류:1919년 개업한 철도역]][[분류:나무위키 철도 프로젝트]][[분류:북한의 철도역]][[분류:함흥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