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함평군)] [include(틀:함평군의 읍면)]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501px-Hampyeong-map.png|width=100%]] || [목차] 총 1읍 8면. == 읍 == === 함평읍 === ||{{{#black '''함평읍 (함평)'''}}} || [include(틀:지도, 장소=함평 함평읍 )] || ||'''면적'''||40.3㎢|| ||'''인구'''||8,317명[*A 2023년 6월 주민등록인구통계]|| ||'''하위 행정구역'''||14리(40행정리)[* 가동리·기각리·내교리·대덕리·만흥리·석성리·성남리·수호리·옥산리·자풍리·장교리·장년리·진양리·함평리]|| ||'''행정복지센터'''||함평읍 중앙길 132|| ||'''링크'''||[[https://www.hampyeong.go.kr/hampyeong/|함평읍사무소]]|| [[함평군]]의 중심지다. 읍소재지는 기각리, 군청은 함평리에 있으며 읍내는 기각리, 함평리, 내교리에 걸쳐 있다. [[함평군청]], 함평경찰서, [[전라남도함평교육지원청]], [[함평공영터미널]], [[서해안고속도로]] [[함평IC|함평 나들목]]이 있다. [[서해안고속도로]] 목포방향 마지막 휴게소인 [[함평천지휴게소]]가 이곳에 있다. 함평엑스포공원, 돌머리해수욕장도 이곳에 있다. 학교는 기산초, 함평초, 함평중, 함평여중, 함평고, [[함평학다리고등학교|함평학다리고]]와 특수학교인 함평영화학교가 있다. 서쪽으로 [[무안군]] 현경면, 무안읍과 접한다. 함평읍 - 무안읍은 전국에서 군청소재지인 읍끼리 직접 접하는 유일한 사례이다.[* 엄밀히 말하면 [[강원도]] [[화천군]] 화천읍과 [[양구군]] 양구읍, [[평창군]] 평창읍과 [[정선군]] 정선읍의 사례도 있다. 다만 두 사례 모두 그 접하는 부분이 온통 [[산]]인데다가, 이로 인해 각각 두 읍내를 직접 잇는 교통로가 없기에 제외하였다(화천 - 양구의 경우 화천군 간동면 - [[춘천시]] 북산면 또는 양구군 방산면을, 평창 - 정선의 경우 평창군 미탄면을 거쳐야 한다).] 또한 [[지방(지리)#s-2|비수도권]]에서 시·군의 청사간의 거리가 가장 짧은 사례([[함평군청]] - 무안군청 간 직선거리 약 9km, 최단경로 약 12km)이다. 장년리 함영로에 함평농공단지가 들어서 있다. == 면 == === 손불면 === ||{{{#black '''손불면 (함평)'''}}} || [include(틀:지도, 장소=함평 손불면 )] || ||'''면적'''||55.2㎢|| ||'''인구'''||3,201명[*A]|| ||'''하위 행정구역'''||11리(34행정리)[* 궁산리·대전리·동암리·북성리·산남리·석창리·양재리·월천리·죽암리·죽장리·학산리]|| ||'''행정복지센터'''||손불면 손불중앙길 76-9|| ||'''링크'''||[[https://www.hampyeong.go.kr/sonbul/|손불면사무소]]|| 면소재지는 대전리이다. 안악해수욕장, 월천방조제길이 있다. 북쪽으로 [[영광군]] 염산면과 접한다. [[서해안고속도로]]가 면 동부를 지나며 서해안고속도로 첫 번째 휴게소인 [[함평천지휴게소]]가 이곳에 있다. 학산리에 함평항[* 구 해은항]이 있다.서해안고속도로와 서해안 주변에 위치한 함평 죽암리 장고분이 있다. === [[신광면(함평)|신광면]] === ||{{{#black '''신광면 (함평)'''}}} || [include(틀:지도, 장소=함평 신광면 )] || ||'''면적'''||41.1㎢|| ||'''인구'''||1,740명[*A]|| ||'''하위 행정구역'''||12리(35행정리 46반)[* 가덕리·계천리·동정리·백운리·보여리·복흥리·삼덕리·송사리·원산리·월암리·유천리·함정리]|| ||'''행정복지센터'''||신광면 신광중앙길 98|| ||'''링크'''||[[https://www.hampyeong.go.kr/singwang/|신광면사무소]]|| 면소재지는 월암리이다. 함평군 내에서 가장 적다. 일강 김철 선생 기념관이 있다. 학교는 손불초, 손불서초, 손불중이 있다. [[서해안고속도로]]와 [[23번 국도]]가 면의 남북으로 나란히 지나며 북쪽으로 [[영광군]] 불갑면과 접한다. === 대동면 === ||{{{#black '''대동면 (함평)'''}}} || [include(틀:지도, 장소=함평 대동면 )] || ||'''면적'''||56.5㎢|| ||'''인구'''||3,003명[*A]|| ||'''하위 행정구역'''||12리(30행정리 48반)[* 강운리·금곡리·금산리·덕산리·백호리·상옥리·서호리·연암리·용성리·운교리·월성리·향교리]|| ||'''행정복지센터'''||대동면 대동길 5-10|| ||'''링크'''||[[https://www.hampyeong.go.kr/daedong/|대동면사무소]]|| 면소재지는 향교리이며, 명칭대로 함평[[향교]]가 있다. 서쪽으로 함평천이 흐르는데 공원까지 갖추어져 있다. 함평읍소재지와 대동면소재지는 함평천을 놓고 연담되어 있으며 함평읍사무소에서 대동면사무소까지는 걸어서 20분 거리다. 자연경계인 함평천보다는 오히려 그 옆을 지나는 국도 23호선이 두 동네를 가르고 있다고 봐도 무방하다. 함평읍사무소는 읍 동쪽에 치우쳐 있고 대동면 또한 면사무소가 면 서쪽에 치우쳐 있어서 두 지역의 행정중심지는 사실상 한 동네처럼 이어져있다. [[함평소방서]]와 함평공설운동장, LH아파트가 면소재지에 위치하며 한국아델리움아파트가 들어올 예정이다. 함평자연생태공원, 대동저수지, 함평대동야구장과 [[전남 야구장]]이 있다. 학교는 대동향교초가 있다. 고산봉에는 [[황금박쥐]]가 서식한다. 1993년 여기에서 [[지존파]]가 결성되었다. 이런 작은 시골 마을에서 올림픽 금메달리스트가 2명 나왔다. [[김원기]](백호리)와 [[김영남(레슬링)|김영남]](용성리)이 그 주인공. === 나산면 === ||{{{#black '''나산면 (함평)'''}}} || [include(틀:지도, 장소=함평 나산면 )] || ||'''면적'''||55.6㎢|| ||'''인구'''||2,774명[*A]|| ||'''하위 행정구역'''||14리(29행정리 71반)[* 구산리·나산리·덕림리·삼축리·송암리·수상리·수하리·신평리·용두리·우치리·원선리·월봉리·이문리·초포리]|| ||'''행정복지센터'''||나산면 나산길 108|| ||'''링크'''||[[https://www.hampyeong.go.kr/nasan/|나산면사무소]]|| 면소재지는 삼축리이다. 1932년 평릉면(平陵面, 삼축리 등 서부)과 식지면(食知面, 나산리 등 동부)이 통합되어 설치되었다. 동쪽으로 [[광주광역시]] [[광산구]], 남쪽으로 [[나주시]] 문평면과 접한다. 과거에 있었던 의류업체인 '[[나산그룹|나산실업]]'의 사명이 이곳에서 따 온 것이다. 창업주인 안병균 전 회장의 고향이 나산면이다.[* 나산실업은 이후 나산그룹으로 세력이 확장되었으나 IMF 금융구제 당시 회사 화의 신청을 했고, 이후 창업주와는 전혀 상관없는 기업이 되었다. 현재 나산실업은 "[[세아상역]]"이라는 회사에 넘어간 후 인디에프로 사명이 변경되어 지금도 의류 기업으로 건재하다.] 학교는 나산초, 나산실용예술중이 있다. === 해보면 === ||{{{#black '''해보면 (함평)'''}}} || [include(틀:지도, 장소=함평 해보면 금장리)] || ||'''면적'''||39.82㎢|| ||'''인구'''||2,697명[*A]|| ||'''하위 행정구역'''||10리(25행정리 29반)[* 광암리·금계리·금덕리·대각리·대창리·문장리·산내리·상곡리·용산리·해보리]|| ||'''행정복지센터'''||해보면 밀재로 1264-7|| ||'''링크'''||[[https://www.hampyeong.go.kr/haebo/|해보면사무소]]|| 면소재지는 금덕리이다. 면소재지 시가지는 문장리에 걸쳐 있다. 문장터미널(문장리), 잠월미술관, 3.1만세 기념탑, [[국군함평병원]]이 있다. [[22번 국도]] 밀재터널을 넘으면 [[영광군]] 묘량면과 접하며 22번 국도와 [[24번 국도]]가 교차하고 광주에서 영광으로 가려면 이 곳을 지나야 하기 때문에 [[영광군]]으로 들어가는 관문 역할을 하고 있고, [[고속버스]], [[시외버스]]가 정차하는 교통 요충지이다. 함평군이긴 하지만 함평읍보다는 오히려 [[광주광역시|광주]]([[송정동(광주)|송정리]])와 [[영광군|영광]]으로 진출하기가 더 편하다. 문장터미널에서 [[센트럴시티|서울]]로 가는 [[고속버스]]와 [[유스퀘어|광주]], [[영광종합터미널|영광]] 방면으로 가는 [[시외버스]]가 다닌다. 죽정리 해보농공길에 해보농공단지가 들어서 있다. 학교는 해보초, 해보중이 있다. === 월야면 === ||{{{#black '''월야면 (함평)'''}}} || [include(틀:지도, 장소=월야면 )] || ||'''면적'''||34.5㎢|| ||'''인구'''||3,608명[*A]|| ||'''하위 행정구역'''||12리(25행정리)[* 계림리·양정리·영월리·예덕리·외치리·용암리·용월리·용정리·월계리·월악리·월야리·정산리]|| ||'''행정복지센터'''||월야면 전하길 65|| ||'''링크'''||[[https://www.hampyeong.go.kr/worya/|월야면사무소]]|| 면소재지는 월야리이다. 함평군의 최북동단에 위치한 면으로, 해보면의 동북쪽을 감싸는 형상을 하고 있다. 함평군내에서 함평읍, 학교면 다음으로 인구가 많은 읍면이다. 함평군이긴 하지만 해보면과 마찬가지로 함평읍보다 오히려 [[광주광역시|광주]]([[송정동(광주)|송정리]])와 [[영광군|영광]]으로 진출하기가 더 편하다. [[22번 국도]]와 [[24번 국도]]가 지나간다. 동쪽은 [[광주광역시]] [[광산구]] 삼거동(행정동:삼도동)과, 북쪽은 [[장성군]] 삼서면과 접한다. 서쪽으로는 [[영광군]] 묘량면과 접하지만 길은 없고, 해보면을 거쳐 가야 한다. 예덕리 고분군, 팔열부정각, 용월리 고인돌이 있다. 외치리 24번 국도 쪽에 빛그린국가산업단지가 조성 중인 동시에 함평군 인구를 5만명으로 늘리기 위한 차원에서 빛그린산단 배후지로써 면 인구를 2만명으로 늘려 [[https://www.asiatoday.co.kr/view.php?key=20200505010001125|월야읍]]으로 만들려는 시도를 걸고 있어 센트럴투자개발㈜의 [[https://www.news1.kr/articles/?4024442|영월리 배후주거단지]]와 월야리 일원에 [[http://www.namdo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691813|LH 1400세대 주거단지조성사업’]]추진할 예정이다. 학교는 월야초, 월야중, 전남보건고가 있다. [[22번 국도]]를 통해 [[광주광역시]] [[광산구]]와, [[24번 국도]]를 통해 [[장성군]] 삼서면과 접한다. 더구나 전남도에서는 목포군산간 서해안철도를 관철시키기위해 [[달빛내륙철도]]를 월야면 경유를 통해 [[http://www.siminsori.com/news/articleView.html?idxno=229183|광주에서 영광으로 연장]]시키려는 움직임도 일고 있다. === 학교면 === ||{{{#black '''학교면 (함평)'''}}} || [include(틀:지도, 장소=학교면 )] || ||'''면적'''||46.42㎢|| ||'''인구'''||3,570명[*A]|| ||'''하위 행정구역'''||11리(35행정리 61반)[* 고막리·곡창리·금송리·마산리·복천리·사거리·석정리·월산리·월호리·죽정리·학교리]|| ||'''행정복지센터'''||학교면 학다리길 330|| ||'''링크'''||[[https://www.hampyeong.go.kr/hakgyo/|학교면사무소]]|| 면소재지는 학교리이다. [[호남선]] [[함평역]]과 [[무안광주고속도로]] [[동함평IC|동함평 나들목]]이 여기 있다. 이설 전의 함평역[* 당시 명칭 학교역] 광장은 [[5.18 민주화운동]] 사적지이기도 하다. '橋'자를 훈독하여 학다리라고도 많이 부른다. [[함평-KIA 챌린저스 필드]]가 있다. 남쪽과 동쪽으로 [[나주시]]와 접한다. 학교는 학다리중앙초, [[함평골프고등학교|함평골프고]]가 있다. 대신에 이름이 모두 학교가 아니라 '학다리'로 되어있다. 앞서 말했던 학교중학교, 학교고등학교는 이상하지 않은가.[* 중학교도 있었으나 폐교되었다. 함평학다리고등학교도 있는데, 이 학교는 학교면이 아니라 함평읍내에 있다.] 참고로 '''사거리(里)''' 라는 지명이 있다. [* '''학교면 사거리'''에 무려 '''학교사거리'''가 있다!] 죽정리 학교공단길에 학교농공단지와 마산리 동함평산단길쪽 동함평일반산업단지가 들어서 있다. [[전라남도]]의 [[소]]값을 좌우하는 우시장이 있다. 옛날에는 무안현에 속했었다. === 엄다면 === ||{{{#black '''엄다면 (함평)'''}}} || [include(틀:지도, 장소=엄다면 )] || ||'''면적'''||23.3㎢|| ||'''인구'''||1,842명[*A]|| ||'''하위 행정구역'''||8리(25행정리)[* 삼정리·성천리·송로리·신계리·엄다리·영흥리·학야리·화양리]|| ||'''행정복지센터'''||엄다면 엄다길 53|| ||'''링크'''||[[https://www.hampyeong.go.kr/eomda/|엄다면사무소]]|| 여기도 옛 무안현 지역이었다. 면소재지는 엄다리이다. [[서해안고속도로]] [[무안IC|무안 나들목]]의 진출입로는 엄다면에 있다. [[무안광주고속도로]] 상하행선 [[함평나비휴게소]]가 여기에 위치해 있다. 함평의 9개 읍면 중에서 신광면 다음으로 인구가 적다. 면소재지 일대는 함평읍내보다 [[무안군|무안]]읍내와 더 가깝다. 학교는 엄다초가 있다. 문화재로는 자산서원이 있다. [[분류:함평군]][[분류:함평군의 행정구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