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1 '''함초롬돋움 / 함초롬바탕''' }}}[br]'''HCRDotum / HCRBatang''' || ||<-2><#fff>{{{#!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함초롬돋움.png|width=100%]]}}}|| ||<-2><#fff>{{{#!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함초롬바탕.png|width=100%]]}}}|| || 분류 ||[[돋움]] / [[바탕]] || || 제작 ||[[한글과컴퓨터]], [[윤디자인]] || || 출시 ||[[2010년]] [[2월 17일]] || || 활자 가족 ||함초롬돋움[br]함초롬돋움 Bold[br]함초롬바탕[br]함초롬바탕 Bold || || 링크 ||[[https://www.hancom.com/cs_center/csDownload.do]] || [목차] [clearfix] == 개요 == [[윤디자인]]과 [[한글과컴퓨터]]가 공동 개발한 [[폰트|디지털 서체]]다. [[돋움]] 계열인 함초롬돋움과 [[바탕]] 계열인 함초롬바탕이 있다. 한글과컴퓨터에서 개발해서 그런지 고딕, 명조라는 용어를 사용하지 않았다. [[아래아 한글]] 2010 버전부터 함초롬돋움이 기본 글꼴로 채택되었다. 이는 10년만에 바뀐 기본 글꼴이다. 아래아 한글에서 윈도우 기본 글꼴인 [[맑은 고딕]]과 함께 무난하게 가장 많이 쓰이는 서체이다. 함초롬체는 화면용 글꼴로 쓰기도 좋은데 다양한 문자를 잘 지원하면서,[* 예를 들어 한자의 경우 함초롬체는 유니코드 4.1까지의 거의 모든 한자를 표시할 수 있는데, 이 정도면 한국제 글꼴 중에서는 한자를 매우 많이 지원하는 글꼴이다.] [[클리어타입]]용 힌팅이 되어있는지 작은 글씨에서도 글씨가 잘 보인다. '젖어 있거나 서려 있는 모양이 차분하고 곱다'라는 뜻을 지닌 [[순우리말]] '함초롬하다'에서 따온 이름이다. 함초'''롱'''이 아니다. 글꼴 무료배포 후로부터 한 달간 '함초롬氏를 찾아라!'라는 이벤트를 진행했는데, 공식 글꼴명과 같은 '함초롬'이라는 이름을 가진 사용자가 홈페이지를 방문하여 본인임을 확인 한 후 참여하면, 한컴오피스 2010 홈에디션을 증정했다.[* 이와 유사한 사건으로, 대만의 한 초밥 체인점에서 이름에 '연어(鮭魚,ㄍㄨㄟㄩˊ,동음이의 포함)'가 들어간 사람들에 한해 초밥을 무료로 준다는 프로모션을 진행하였는데, 전국에 수많은 사람들이 '연어'가 들어간 이름으로 개명을 하여 해당 초밥집이 연어가 들어간 이름의 사람들로 장사진을 친 헤프닝도 있었다. 대만은 한국에 비해 개명과정이 간단한 편이라 벌어질 수 있었던 일이다.] 한글 프로그램에서 '함초롬돋움 확장'과 같이 확장이 붙은 글꼴은 문자표 영역중 확장 영역[* 한중일 통합 한자 확장-A,B 등]에 문자표를 등록 하기 위함이다. == 함초롬체 LVT == [[http://wiki.ktug.org/wiki/wiki.php/%ED%95%A8%EC%B4%88%EB%A1%AC%EC%B2%B4LVT|다운로드 링크]] 한국텍(TeX)학회에서 기존의 함초롬체에 한국텍학회가 GSUB/GPOS 정보를 추가하여 재배포하는 글꼴이다. GSUB/GPOS 정보가 추가되어 원래 [[아래아 한글]] 프로그램 내에서만 제대로 된 모습으로 볼 수 있었던 함초롬체의 [[옛한글]]을, 다른 프로그램에서 혹은 기본 글꼴로 설정해도 아래아 한글에서의 모습과 동일한 함초롬체의 옛한글을 볼 수 있다. 예전 아래아 한글에서 사용하던 한양 [[PUA]] 옛한글 표시 방식에 첫가끝 옛한글의 올바른 처리까지 추가로 지원하여, GSUB/GPOS 방식과 한양 PUA 방식을 동시에 지원하는 최초의 글꼴이다. 또한 [[은글꼴|은바탕]] 이후 GSUB를 완벽하게 지원하는 한글 글꼴이다. == 사용권 == 개인 및 기업 사용자에게 무료로 제공되며, 모든 출판물과 저작물에서 자유롭게 사용이 가능한 [[상업용 무료 글꼴]]이다. 단, 저작권 보호 문화를 위해 글꼴의 사용시 글꼴 출처를 표기하는 것을 권장하고 있다. 여타 무료 글꼴처럼 자유롭게 배포 가능하지만 글꼴 자체의 판매는 당연히 금지하고 있다.[* [[https://web.archive.org/web/20111115090835/http://thatcom.tistory.com/230|함초롬체와 글꼴 저작권 이야기]]] 위의 함초롬체 LVT도 자유롭게 수정 및 배포가 가능하여 탄생한 것이다. == 문제점 == [[Microsoft Word]]와 완전히 호환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함초롬체로 문서 작성 자체는 가능하지만 문서 저장이나 인쇄 시 모든 글자가 자동으로 굵게 바뀌는 문제가 있다.[* Word 뿐만 아니라 Powerpoint 등 다른 프로그램에서도 간혹 나타나는 버그이다.] 이 때문에 마이크로소프트에서도 Microsoft Word 사용 시 함초롬체를 사용하지 말 것을 권고하고 있다.[[https://answers.microsoft.com/ko-kr/msoffice/forum/msoffice_word-mso_windows8-mso_2013_release/%EC%9B%8C%EB%93%9C-%EC%82%AC%EC%9A%A9%EC%8B%9C/89cc09bc-7d3d-4d2e-a57c-de9e30448a86|#]] 이 문제점은 구버전 함초롬체에서 파생된 함초롬체 LVT 글꼴에서도 똑같이 나타난다. 2017년에 업데이트된 2.100 버전의 함초롬체를 공식 홈페이지에서 다운받고 설치하면 이 문제점이 해결되기는 한다.[* 2.100 버전에서는 굵기 버그 뿐만 아니라 [[커닝]]이 제대로 되지 않는 문제도 해결되었으며, 함초롬체 LVT에서 수정한 옛한글 관련 부분까지 업데이트하면서 한컴오피스 외의 프로그램에서 옛한글까지 제대로 표시한다. 이 때문에 함초롬체 LVT를 만든 제작자에 따르면, 업데이트된 함초롬체가 있다면 굳이 함초롬체 LVT를 쓰지 않아도 된다고 말하기도 [[http://www.ktug.org/xe/index.php?document_srl=224781|했다]]. 다만 2.100 버전의 함초롬체는 세로쓰기 시 글자 폭이 지나치게 넓어지는 오류가 나서, 세로쓰기 시 여전히 함초롬체 LVT가 호환성 면에서 필요하기는 하다.] 그러나 문제는 한컴오피스에는 업데이트된 버전이 아니라 버그가 그대로 있는 구식 버전이 들어가 있으며,[* 오래된 한컴오피스 2014뿐만 아니라, 심지어 최신 버전인 한컴오피스 2022까지 구식 버전이 들어가있다. 다만 2023년 이후로는 뷰어와 한컴오피스 구독형(한컴독스)만 공식적으로 쓸 수 있으며, 이들은 2.100 버전의 함초롬체가 들어가있다. 다만 여전히 한컴오피스 2010~2022 버전을 쓰는 사람이 많은지라 업데이트된 글꼴을 쓰는 사람이 적은 상황이다.] 2.100 버전은 공식 홈페이지에서 따로 다운받아 설치해야만 쓸 수 있다는 것이다.[* 이 나무위키 문서를 보고 있는 독자들의 경우, 이 문서 위에 있는 링크를 통하면 업데이트된 2.100 버전을 다운받을 수 있다.] 결국 버그의 존재를 스스로 알아내고 업데이트된 글꼴의 존재한다는 것을 알게 되어 다운받고 설치하는 사람이거나, 최신 구독형 한컴오피스(한컴독스)를 쓰는 사람이거나, 이 나무위키 문서를 읽은 소수의 사람만이 업데이트된 글꼴을 쓸 수 있을 것이다. [[분류:한글과컴퓨터]][[분류:한글 글꼴]][[분류:산세리프 글꼴]][[분류:세리프 글꼴]]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한컴오피스 한글, version=9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