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경상남도의 버스 터미널)] ||<-2> {{{#ffffff '''{{{+2 함안버스터미널}}}'''[br]'''咸安버스터미널 / Haman Bus Terminal'''}}} || ||<-2> [include(틀:지도, 장소=함안버스터미널, 너비=100%, 높이=100%)] || || {{{#ffffff '''정식 명칭'''}}} ||함안버스터미널 || || {{{#ffffff '''개점'''}}} ||[[2005년]] [[9월 14일]] || || {{{#ffffff '''운영기관'''}}} ||함안버스터미널 (주)|| || {{{#ffffff '''행선지 표기'''}}} ||시외 : 함안 고속 : 미운행 || || {{{#ffffff '''소재지'''}}} ||[[함안군]] [[가야읍]] [[함마대로]] 1636-16 (말산리) || || [[파일:external/tv.pstatic.net/00.jpg|width=100%]] || || 터미널 건물 외부 || [목차] == 개요 == [[경상남도]] [[함안군]] [[가야읍]] [[함마대로]] 1636-16 (말산리)에 있는 시외버스 터미널. 가야읍의 중심지에 위치해 있으며 [[경전여객]]의 노선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인근지역에서 몰려드는 인원으로 인해 하루 약 5천명정도 이용하는 터미널이었으나 대합실은 불과 10여평에 불과한 좁은 자리에 승차플랫폼도 없어서 80년대 부터 터미널 신설이야기가 꾸준히 제기되었으나 추진이 지지부진했다. 옛터미널은 지금의 터미널에서 남쪽으로 약 200m 떨어진 구 함안역 근처인 가야읍 말산리 48-27번지에 위치하고 있었다.[* 지금 이 지번을 검색하면 대략 400미터 동쪽의 도로 한복판으로 나온다.][* 21년 기준 이태호한의원 왼쪽 해정빌딩 자리 이다.][* 구 터미널의 옛 모습을 보려면 카카오맵의 2010년경 로드뷰를 보면 다방간판이 있는 자리가 구 터미널 매표소이다.] 그러다 1997년 현 터미널 위치에 5천여평 규모의 터미널 신축을 추진하고 지정고시하였으나 부지매입 실패, 민간사업 운영자를 구하지 못해 사업에 차질을 빛었다. 7년이 지난 2005년 6월 현 터미널 부지에 착공을 시작하여 9월에 완공하여 터미널을 이전하였다. 옆동네인 옛 [[마산]] 지역에 의존적이었던 탓에 전체적인 시외노선은 많이 빈약한 편이다. [[고속버스]] 노선은 이 곳에 없으며 인근의 [[창원시]] [[마산회원구]] [[내서읍]] 중리 [[내서JC]] 남쪽에 위치한 [[고속버스]] 중간 승하차장인 [[내서고속버스터미널]]이 [[내서읍|내서]] 및 [[함안군]] 가야읍 일대 주민들의 시외교통 수요를 전담하고 있다. 부산이나 진주 정도의 중단거리를 제외하면 장거리 노선은 전무했었는데, [[2012년]]까지 인근에 위치해 있었던 [[함안역]]이 함안면 괴산리로 이전하면서 가야읍 내에서의 서울방향 접근성이 떨어지자 2013년 12월 27일에 [[서울남부터미널|서울남부]]행 노선을 1일 4회 신설했다.[* [[천일여객]]과 [[경전여객|경전고속]]이 공동운행 했다가 2016년쯤에 천일여객이 철수하고 현재는 경전고속이 단독으로 운행하며 종점이 군북(39사단)으로 연장되었다. 이후 2019년 8월 3회로 줄더니 2019년 11월 2회로 줄었다. 현재는 함안에서 오전에만 출발, 서울에서는 오후에만 출발하는 형식으로 함안군민만을 위한 노선이 되고 말았다.] 인터넷 예매는 “(공식)[[시외버스모바일]]앱”[* 부산(사상) 행은 [[버스타고]] 앱/웹에서도 가능]에서 가능하다.[* 21년 현재 코로나19 영향으로 서울, 김해행은 노선운행이 중단되었고 다른 시외노선들도 배차를 줄이고 계속해서 변경 운행되고 있다.] 그런데 함안면 괴산리로 이전한 [[함안역]]이 접근성 문제와 공기수송으로 이듬해 [[KTX]] 정차가 폐지되어 망해 버리는 바람에, 서울남부행 시외버스가 증편 민원으로 골머리를 앓고 있는 상황이다.(...) KTX가 들어왔더니, 오히려 자기가 장렬히 산화하고 죽쒀서 개준 꼴이 되었지만 코로나19로 인해 서울행 버스가 운행중지되면서 함안에서 서울로 버스로 직통으로 가는 방법은 사라졌다.[* KTX도 없어지고 서울-진주 직통 [[무궁화호]]도 없어지면서 함안군에서 서울로 바로 가는 방법은 하루 2회의 [[ITX-새마을]]만 남게 되었다.] 참고로 서울행의 경우 극초창기에는 [[천일여객]]도 공동배차했으나 6개월도 못가 동일고속 단독 운행으로 변경되었다. 진주방면 교통이 굉장히 불편한 편이다. 함안에서 진주로 가는 시외버스가 2회 뿐이라 그 외 시간에는 [[함안역]]에서 열차를 이용하거나 [[마산시외버스터미널]]로 [[시외버스 진주-마산|빠꾸]]하는 수밖에 없다. 인접한 군임에도 창녕방면 버스는 없다. 함안에서 창녕으로 가려면 아래의 방법을 이용해야 한다. * 1. 함안 → [[함안 버스 777|칠원행 버스 탑승]] → 내서 or 칠원 → [[함안 버스 113-1|남지행 버스 탑승]] → 남지 → 창녕행 시외버스 혹은 농어촌버스 탑승 → 창녕 * 2. 함안 → [[함안 버스 마산-함안|마산행 급행버스]] / [[시외버스 마산-군북|마산행 시외버스]] / [[함안 버스 114-1|마산행 농어촌버스]] 셋 중 하나 선택 → [[마산시외버스터미널]] → 창녕행 시외버스 탑승 → 창녕 그리고 현 상황으로 인해 인근 터미널[* 의령, 진주 등...]보다 눈물나게 감편되었다. == 노선 == === 수도권 === ||<-5> '''{{{#ffffff 수도권}}}''' || || '''{{{#ffffff 행선지}}}''' || '''{{{#ffffff 운행횟수}}}''' || '''{{{#ffffff 운행시간}}}''' || '''{{{#ffffff 운수회사}}}''' || '''{{{#ffffff 운임요금}}}''' || || {{{#ffffff 서울(남부)}}} || ---일 2회---[*중단 코로나19로 인한 운행 중단.][* 일 2회로 감회당하면서 닥치고 [[내서고속버스터미널|내서]]나 마산으로 가는 것이 이득이 되어버렸다.] || 07:00 10:30[br]14:00 17:00 || [[동일익스프레스]] || 일반 : 26,800[br]우등 : 28,000 || === 영남권 === ||<-5>
'''{{{#ffffff 영남권}}}''' || || '''{{{#ffffff 행선지}}}''' || '''{{{#ffffff 운행횟수}}}''' || '''{{{#ffffff 운행시간}}}''' || '''{{{#ffffff 운수회사}}}''' || '''{{{#ffffff 운임요금}}}''' || || '''{{{#ffffff 부산(사상)}}}''' || 4회[* 전회 시외우등][* 원래 함안발이었으나 [[시외버스 부산서부-합천|합천발]]과 통합 이후 합천 출발로 운행한다.] || 06:00 12:00[br]'''(22년 7월 기준)''' || [[동일고속]][* 동일고속 운행시 신당마을 경유] || 성인 : 7,700원[br]중고생 : 6,200원[br]아동 : 3,900원 || || '''{{{#ffffff 마산}}}[* [[함안 버스 마산-함안]], [[시외버스 마산-군북]] 참고.]''' || 12회[* 농어촌 10회, 시외 2회] || '''(함안 기준)'''[br]06:45 07:30[br]09:05 09:40[br]10:30 11:05[br]14:25 16:20[br]17:20 17:30[br]18:40 20:45 || [[동일익스프레스]][br][[신흥여객(경남)|신흥여객]] || 성인 : 2,400원[br]중고생 : 1,900원[br]아동 : 1,200원[* 경전여객 시간 농어촌, 신흥여객 시간 시외] || || '''{{{#ffffff 마산(남부)}}}''' || 1회[* 반대경우도 1회만 있다] || 07:00[* 마산남부발은 08:00시에 출발한다] || [[동일익스프레스]] || 4,000원[* 완행 모두 이용시][* [[경전고속]]의 유일한 마산남부의 시외버스 노선이며, 그 외 시간에는 터미널 밖으로 나와서 농어촌버스를 이용하면 된다. 언젠가부터 이것도 농어촌버스 전산망에 뜨기 시작했으며 번호는 [[창원 버스 70번대 노선#72번|72]]-2이다.] || || '''{{{#ffffff 의령}}}''' || 4회 || 07:55 11:00[br]12:15 18:30 || [[동일익스프레스]][br][[신흥여객(경남)|신흥여객]] || 2,600원 || || '''{{{#ffffff 진주}}}'''[* 군북 경유] || 2회 || 08:00 19:10 || [[경전여객]][br][[대한여객]] || 4,100원 || || '''{{{#ffffff 김해}}}'''[* 중리, 장유경유] || ---4회---[*중단] || 09:00 13:00[br]15:00 19:00 || [[태영고속]] || 김해 : 4,600원[br]장유 : 3,700원 || == 주변 정보 == [[함안역]]이 부근에 위치해 있었으나 [[2012년]] [[마산역|마산]]~[[진주역|진주]] 구간의 복선 전철화 공사 때 선로가 이설됨에 따라 함안면 괴산리로 이전했다. 이 터미널의 최대고객은 [[동일고속]]. 그 다음이 [[신흥여객(경남)|신흥여객]], [[태영고속]], [[대한여객]] 순이다. [* [[김해여객]]도 들어왔으나 파산하면서 들어올 일이 없다.] 현재 코로나19로 인해 굉장히 큰 타격을 본 터미널이다. 이 터미널의 버스 대다수는 [[동일고속]]에서 운행하는데, 동일고속이라는 회사 자체가 코로나19로 인해 매우 큰 타격을 본 회사이다. 이는 자회사 [[경전고속]]도 마찬가지이다. 터미널 내부에는 [[트라이얼마트]]가 함께 있다. 단순 정류장 이용객이 아닌 마트 이용객도 상당하다. [[마산]]으로 향하는 [[동일익스프레스|함안군 농어촌버스]](114-1, 252-2)는 터미널 내부가 아니라 '''[[가야로(함안)|가야로]] 쪽으로 내려와서''' 버스정류장에서 승차하여야 한다.[* [[가야읍]] 내 종점이 터미널이 아니라 도항주공아파트이기 때문이다.][* 가끔 가야, 군북행 버스의 경우 요금함 변경을 위해 터미널 정류장 구석에 위치한 사무실에 들어오기도 한다.] 터미널 내에서는 [[마산시외버스터미널|합성동터미널]]로 향하는 [[고속도로/대한민국|고속도로]] 직통 노선과 여항, 진동을 경유하는 [[마산남부시외버스터미널|해운동터미널]] 완행 노선[* 함안~남마산 편도 이용 시 4,000원이 나온다.] 밖에 없기 때문. [[분류:경상남도의 버스 터미널]][[분류:함안군의 교통]][[분류:함마대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