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역대 대통령비서실장)] || {{{#ffffff '''역임한 직위'''}}}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include(틀:주 미합중국 특명전권대사)] }}} || ||<-2> '''{{{#fff [[대통령비서실장|{{{#ffffff 대한민국 제9대 대통령비서실장}}}]][br]{{{+1 함병춘}}} [br] 咸秉春 | Ham Byung-chun}}}'''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external/www.doopedia.co.kr/400_128789892892141.jpg|width=100%]]}}} || ||<|2> '''출생''' ||[[1932년]] [[2월 26일]] || ||[[경기도]] [[경성부]] 연지정[br](現 [[서울특별시]] [[종로구]] 연지동)|| ||<|2> '''사망''' ||[[1983년]] [[10월 9일]] (향년 51세) || ||[[버마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 [[랑군]] 아웅산 묘소[br](現 [[미얀마]] 양곤 관구 아웅산 국립묘지) || || '''묘소''' ||[[국립서울현충원]] 제1유공자묘역 12호 || || '''본관''' ||[[함(성씨)|강릉 함씨]] || ||<|2> '''재임기간''' ||제9대 대통령비서실장|| ||[[1982년]] [[6월 6일]] ~ [[1983년]] [[10월 9일]]|| ||<-2>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부모''' ||아버지 [[함태영]], 어머니 고숙원 || || '''형제자매''' ||'''이복형''' 함병철, 함병승, 함병창. '''동복형''' 함병욱, 함병조, 함병호, 함병돈, 함요한, 함병소 || || '''배우자''' ||심효식 || || '''자녀''' ||아들 함재봉, 함재학 || || '''학력''' ||[[경기고등학교|경성고등보통학교]] {{{-2 ([[졸업]])}}}[br][[노스웨스턴대학교]] {{{-2 (경제학 / [[학사]])}}}[br] [[하버드 대학교]] {{{-2 ([[J.D.]])}}} || || '''병역''' ||[[대한민국 공군]] [[중위]] 만기전역 || || '''종교''' ||[[개신교]] || || '''약력''' ||[[연세대학교]] [[법과대학]] 교수[br][[대통령비서실]] 정치특별보좌관 {{{-2 ([[박정희 정부]])}}}[br]대통령비서실 외교안보특별보좌관 {{{-2 (박정희 정부)}}}[br]제9대 [[주미대사|주미합중국 대사]] {{{-2 (박정희 정부)}}}[br]제9대 [[대통령비서실장]] ||}}}}}}}}}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관료, 법학자. == 생애 == 1932년에 [[경성부]]에서 [[독립유공자|독립운동가]]이자 [[대한민국 부통령|부통령]]을 지낸 [[함태영]]과 고숙원 사이에서 10형제 중 막내로 태어났다.[* 아버지 함태영이 무려 60이 되어서 본 아들이다. 함병춘의 큰형인 함병철보다 43세가 어리고, 장조카 [[함인섭]]보다는 25세가 어리며, 종손자 함양호보다도 1살 어리다. 아버지 함태영은 92세까지 장수해서 60살이나 차이나는 막내아들이 성인이 되고 교수라는 번듯한 직업을 가지는 것까지 보았다.] 경성고등보통학교(현 [[경기고등학교]])를 졸업하고, 미국으로 떠나 [[노스웨스턴 대학교]] 경제학과를 졸업하였다. 1959년에 [[하버드 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에서 [[법무박사]] 학위를 받았다. 1959년에 [[연세대학교]] 법과대학 교수가 되었다. 1970년 [[박정희]] 당시 대통령의 외교안보 담당 특별보좌관 및 정치담당 특별보좌관이 되어 [[대통령비서실]]에서 근무하였다. 1974년에 [[주미대사]]로 부임하였다. 주미대사로서 [[코리아게이트]] 문제를 해결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 [[10.26 사태]] 이후 다시 연세대학교 법과대학 교수로 복직하였다. 그러다가 1982년 6월 [[장영자·이철희 금융사기 사건]]에 따른 민심 수습책에 의해 [[이범석(1925)|이범석]]의 뒤를 이어 [[대한민국 제5공화국|제5공화국]]의 [[대통령비서실장]]으로 임명되었다. 1983년 10월 9일에 [[미얀마|버마]]에서 일어난 [[아웅산 묘소 폭탄 테러]] 사건으로 순직하였으며 장례는 [[국민장]]으로 거행되었다.[* [[함태영|아버지]]도 [[국민장]]으로 장례가 엄수된 바 있는데, 대한민국 역사상 부자(父子)의 장례가 국민장으로 치러진 유일한 사례다.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4&oid=001&aid=0001445213|관련 기사]]] == 여담 == * 미국의 시사주간지 [[타임(주간지)|타임(Time)]]에서 '80년대를 움직일 세계의 100대 인물'로 선정하였다. * 장남 [[함재봉]]도 1992년부터 부친의 뒤를 이어 [[연세대학교]]에서 13년 동안 정치외교학과 교수(정치사상 전공)로 재직했으며, [[아산정책연구원]][* [[정몽준]] 전 의원이 부친 [[정주영]] 회장의 아호 '아산'에서 이름을 따 설립하였고, 수년 동안 국내외에서 한국을 대표하는 국제정치 및 정책 싱크탱크로 성장하였다.]에서 [[원장]]을 거쳐 [[이사장]]직을 역임하였다. 차남 함재학은 법철학 전공으로 연세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교수로 재직 중이다. [[분류:종로구 출신 인물]][[분류:강릉 함씨]][[분류:대한민국의 법학자]][[분류:대한민국의 테러 피해자]][[분류:폭발물에 죽은 인물]][[분류:1932년 출생]][[분류:1983년 사망]][[분류:주미대사]][[분류:대통령비서실장]][[분류:연세대학교 재직]][[분류:독립유공자 후손]][[분류:경기고등학교 출신]][[분류: 노스웨스턴 대학교 출신]][[분류:공군 출신]][[분류:장교 출신]][[분류:국립서울현충원 안장자]][[분류:박정희 정부/인사]][[분류:전두환 정부/인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