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fff {{{+1 할미새}}}[br]Wagtail}}}'''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Anthus rubescens.jpg|width=100%]]}}} || || [[학명|{{{#000 '''학명'''}}}]] || ''' ''Motacillidae'' '''[br]Horsfield, 1821 || ||<-2> {{{#000 '''분류'''}}} || || [[생물 분류 단계#계|{{{#000 '''계'''}}}]] ||[[동물|동물계]](Animalia) || || [[생물 분류 단계#문|{{{#000 '''문'''}}}]] ||척삭동물문(Chordata) || || [[생물 분류 단계#강|{{{#000 '''강'''}}}]] ||조강(Aves) || || '''하강''' ||신악하강(Neognathae) || || '''상목''' ||신조상목(Neoaves) || || [[생물 분류 단계#목|{{{#000 '''목'''}}}]] ||참새목(Passeriformes) || || '''아목''' ||참새아목(Passeri) || || '''하목''' ||참새하목(Passerides) || || '''소목''' ||참새소목(Passerida) || || [[생물 분류 단계#과|{{{#000 '''과'''}}}]] ||할미새과(Motacillidae) || [[파일:Motacilla alba lugens.jpg]] 할미새의 일종인 알락할미새 중 백할미새 [목차] [clearfix] == 개요 == || [[영어]] || wagtail || || [[한자]] || [[鴒]]/[[䴒]](할미새 령), 鶺(할미새 척) || || [[한문]] || 척령(鶺鴒, 鶺䴇) || || [[일본어]] || [[세키레이|セキレイ]] (鶺鴒, 鶺䴇) || || [[중국어]] || 鹡鸰 [jílíng] || 참새목 할미새과에 속하는 꼬리를 흔드는 걸로 유명한 새. Motacilla로 시작하는 학명이면 이 새다. 얘네처럼 꼬리도 흔들지만 학명이 Rhipidura로 시작하는 애들은 [[부채꼬리딱새]] (Fantail) 종이다. 영어 이름은 Willie wagtail이지만 학명은 Rhipidura leucophrys 같은 새가 그 예 할미새의 어원은 꼬리를 흔든다는 의미의 '할미'에서 왔다는 설과 날 때부터 할머니처럼 머리색이 하얗게 되었다고 해서 할미새란 설이 있다. == 여담 == [[검도]] 시합에서 [[죽도]]를 살며시 흔드는 동작이 종종 보이는데, 이를 鶺鴒の尾(할미새의 꼬리) 기법이라고 한다. 검도의 전신인 [[북진일도류]]의 류조 치바 슈사쿠가 고안한 기술로, 일본에서도 할미새는 꼬리를 흔드는 새로 인식된다. '할미새의 꼬리'는 <시경, 소아>의 상채편에서 나온 말로, 형제들이 어려운 일이 있으면 할미새의 꼬리처럼 부산스럽게 서로 돕는 것을 뜻하는 말이다. [[할미새사촌]]이라는 새도 있지만, 같은 참새목에 속할 뿐 전혀 다른 종이다. [[분류:할미새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