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한화 이글스)] [include(틀:한화 이글스)] [목차] == 개요 == 한화 이글스의 영구결번 선수들을 제외한 프랜차이즈 스타들을 간략하게 정리한 문서. 스타를 넘어 전설이 된 [[KBO 영구결번|영구결번]] 멤버들([[장종훈]], [[정민철]], [[송진우(야구)|송진우]], [[김태균]])은 [[한화 이글스#영구 결번|영구결번]] 항목 참고. 목록에 등재되지 않은 프랜차이즈 선수들은 [[한화 이글스/선수단#프랜차이즈|항목 참고]]. == 투수 == === [[이상군]] === ||<-3> [[파일:external/www.donga.com/200907170241.jpg|width=320]] || ||<-3> '''{{{#ffffff 한화 이글스 No.18}}}''' || ||<-2> '''[[이상군|'''{{{#ffffff '컴퓨터 제구' 이상군}}}''']]'''[br]'''{{{#ffffff (李相君 / Sang-Koon Lee)}}}'''[br]{{{#ffffff 1985~1996, 1999~2001}}} || * 개인 통산 성적 ||<-17>
{{{#FFF 역대 기록}}} || || {{{#FFF 경기}}} || {{{#FFF 이닝}}} || {{{#FFF 승리}}} || {{{#FFF 패배}}} || {{{#FFF 세이브}}} || {{{#FFF 홀드}}} || {{{#FFF 승률}}} || {{{#FFF ERA}}} || {{{#FFF FIP}}} || {{{#FFF 피안타}}} || {{{#FFF 피홈런}}} || {{{#FFF 4사구}}} || {{{#FFF 탈삼진}}} || {{{#FFF WHIP}}} || {{{#FFF WAR}}} || || 320 || 1411.2 || 100 || 77 || 30 || 1 || .565 || 3.30 || 3.53 || 1396 || 104 || 463 || 622 || 1.26 || 29.84 || * 주요 기록 및 수상 이력 - 1988 시즌 최다 세이브[* 다만 2003 시즌까지는 구원승+세이브 수를 합산한 [[세이브 포인트]]를 기준으로 구원왕 타이틀을 시상했기에 공식 타이틀 홀더는 아니다. 90, 92시즌 최다 세이브를 기록한 [[송진우(야구)|송진우]]도 같은 케이스. 이후 11년만에 가을야구에 진출한 18 시즌에 [[정우람]]이 35세이브로 세이브왕을 수상했다.] [[빙그레 이글스]]의 초대 에이스이자 최후의 원년 멤버로, 오랜 기간 팀의 에이스로 활약하였다. 별명처럼 컴퓨터 제구를 했던 선수로 유명하다.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이상군)] === [[한희민]] === ||<-3>
[[파일:빙그레 한희민.jpg|width=320]] || ||<-3> '''{{{#ffffff 한화 이글스 No.13}}}''' || ||<-2> '''[[한희민|'''{{{#ffffff '국내 1호 언더핸드' 한희민}}}''']]'''[br]'''{{{#ffffff (韓禧敏 / Hei-min Han)}}}'''[br]{{{#ffffff 1986~1992}}} || * 개인 통산 성적 ||<-17>
{{{#FFF 역대 기록}}} || || {{{#FFF 경기}}} || {{{#FFF 이닝}}} || {{{#FFF 승리}}} || {{{#FFF 패배}}} || {{{#FFF 세이브}}} || {{{#FFF 홀드}}} || {{{#FFF 승률}}} || {{{#FFF ERA}}} || {{{#FFF FIP}}} || {{{#FFF 피안타}}} || {{{#FFF 피홈런}}} || {{{#FFF 4사구}}} || {{{#FFF 탈삼진}}} || {{{#FFF WHIP}}} || {{{#FFF WAR}}} || || 204 || 1124.2 || 80 || 51 || 24 || 0 || .611 || 3.25 || 3.61 || 978 || 104 || 386 || 594 || 1.16 || 24.36[* 한화에서 기록한 WAR은 23.84.] || [[한희민]] - [[이강철]]로 이어지는 정통 언더핸드 투수의 원조격 역할을 했던 선수였으며, [[이상군]]과 함께 최초의 이글스 원투펀치로 활약했다.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한희민)] === [[한용덕]] === ||<-3>
[[파일:RS5XWSB3OORVLXVVMDVWUANER4.jpg|width=320]] || ||<-3> '''{{{#ffffff 한화 이글스 No.40}}}''' || ||<-2> '''[[한용덕|'''{{{#ffffff '무관의 에이스' 한용덕}}}''']]'''[br]'''{{{#ffffff (韓容悳 / Young-duk Han)}}}'''[br]{{{#ffffff 1987~2004}}} || * 개인 통산 성적 ||<-17>
{{{#FFF 역대 기록}}} || || {{{#FFF 경기}}} || {{{#FFF 이닝}}} || {{{#FFF 승리}}} || {{{#FFF 패배}}} || {{{#FFF 세이브}}} || {{{#FFF 홀드}}} || {{{#FFF 승률}}} || {{{#FFF ERA}}} || {{{#FFF FIP}}} || {{{#FFF 피안타}}} || {{{#FFF 피홈런}}} || {{{#FFF 4사구}}} || {{{#FFF 탈삼진}}} || {{{#FFF WHIP}}} || {{{#FFF WAR}}} || || 482 || 2080.0 || 120 || 118 || 24 || 11 || .504 || 3.54 || 3.65 || 1933 || 206 || 671 || 1342 || 1.16 || 48.14 || 베팅볼을 던지던 연습생으로 입단해, 비록 수상을 하진 못했으나, 통산 120승을 기록한 빙그레-한화의 에이스 계보를 잇는 대투수였다. 은퇴 후엔 [[5886899678|11년만에]] [[한화 이글스/2018년|가을야구]]를 이끈 [[한화 이글스]]의 제11대 감독이었다.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한용덕)] === [[구대성]] === ||<-3>
[[파일:external/pds.joins.com/htm_2006030205590160006100-001.jpg|width=320]] || ||<-3> '''{{{#ffffff 한화 이글스 No.15}}}''' || ||<-2> '''[[구대성|'''{{{#ffffff '대성불패' 구대성}}}''']]'''[br] '''{{{#ffffff (具臺晟 / Dae-Sung Koo)}}}'''[br]{{{#ffffff 1993~2000, 2006~2010}}} || * 개인 통산 성적 ||<-17>
{{{#FFF 역대 기록}}} || || {{{#FFF 경기}}} || {{{#FFF 이닝}}} || {{{#FFF 승리}}} || {{{#FFF 패배}}} || {{{#FFF 세이브}}} || {{{#FFF 홀드}}} || {{{#FFF 승률}}} || {{{#FFF ERA}}} || {{{#FFF FIP}}} || {{{#FFF 피안타}}} || {{{#FFF 피홈런}}} || {{{#FFF 4사구}}} || {{{#FFF 탈삼진}}} || {{{#FFF WHIP}}} || {{{#FFF WAR}}} || || 569 || 1128.2 || 67 || 71 || '''214[br],,(5위),,''' || 18 || .486 || 2.85 || 2.90 || 855 || 87 || 520 || 1221 || 1.16 || 41.93 || * 주요 기록 및 수상 이력[* 그외에도 1996 시즌 다승왕/구원왕/승률왕, 96, 00 시즌 최우수 평균자책점.] || [[KBO MVP#s-1|[[파일:KBO 리그 로고(엠블럼/영문, 2013~2021).svg|width=150]]]][br] '''{{{#ffffff 1996 KBO 리그 MVP}}}''' || ||<#182132> [[KBO 골든글러브|[[파일:KBO 골든글러브 로고.svg|height=40]]]] [br] [[틀:KBO 골든글러브/투수|'''{{{#b58a5d KBO 골든글러브}}} {{{#ffffff 투수 부문 수상자 (1996)}}}''']] || || [[KBO 리그|[[파일:KBO 로고(세로형, 2013~2021).svg|width=25]]]] '''{{{#ffffff [[1999년 한국시리즈|{{{#fae7a6 KBO 포스트시즌}}}]]}}}''' [br] '''{{{#ffffff 1999 한국시리즈 MVP}}}''' || 1996년 4관왕(평균자책점, 다승, 구원왕, 승률)을 기록하면서 [[MVP]] & [[골든글러브]]를 동시에 수상한 이글스의 수호신이자, '''[[빙그레 이글스]]의 마지막 유산이다.''' 이글스가 첫 우승을 기록한 [[1999년 한국시리즈]] 5차전에서 마지막 승리를 확정짓는 세이브를 따내며 현재까지 팀의 유일한 우승 [[헹가래 투수]]로 남아있다. 은퇴 후[* 영구결번이 되기에 전혀 문제가 되지 않는 성적이나, 당시 프런트의 삽질로 무산되었다. 한때는 [[구대성]] 본인이 번호를 물려주고 싶다고 의사를 밝힌 것으로 알려졌으나, 이는 사실이 아니다. 지금까지도 이글스 팬 중 일부는 구대성의 영구결번을 원하고 있다.]에는 호주리그에서 선수 생활을 이어갔고 [[질롱 코리아]]의 초대 감독을 역임하며, 현재 한국 선수들이 호주에서 야구할 수 있도록 개척자 역할을 하였다.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구대성)] === [[이상목]] === ||<-3>
[[파일:03년 2인자.png|width=320]] || ||<-3> '''{{{#ffffff 한화 이글스 No.14, 1}}}''' || ||<-2> '''[[이상목|'''{{{#ffffff '포크볼의 황태자' 이상목}}}''']]'''[br]'''{{{#ffffff (李相睦 | Sang-Mok Lee)}}}'''[br]{{{#ffffff 1993~2003}}} || * 개인 통산 성적 ||<-17>
{{{#FFF 역대 기록}}} || || {{{#FFF 경기}}} || {{{#FFF 이닝}}} || {{{#FFF 승리}}} || {{{#FFF 패배}}} || {{{#FFF 세이브}}} || {{{#FFF 홀드}}} || {{{#FFF 승률}}} || {{{#FFF ERA}}} || {{{#FFF FIP}}} || {{{#FFF 피안타}}} || {{{#FFF 피홈런}}} || {{{#FFF 4사구}}} || {{{#FFF 탈삼진}}} || {{{#FFF WHIP}}} || {{{#FFF WAR}}} || || 439 || 1830.2 || 100 || 122 || 27 || 7 || .450 || 4.30 || 3.75 || 1952 || 206 || 512 || 1231 || 1.29 || 32.86[* 한화에서 기록한 WAR은 26.11.] || 1993년 삼성에서 트레이드되어 10년간 [[송진우]]-[[정민철]] 원투펀치와 함께 3선발로써 한화 선발진을 구성해준 선수. 1999년 우승 당시에도 14승 8패 2세이브 ERA 4.29[* 단, ERA가 4.29인데 WHIP는 1.11이었다. 또한, 99년도는 극심한 타고투저를 기록한 해라 4.29의 ERA는 준수한 편이었다.]로 활약했다. 현역 당시 별명은 포크볼을 잘 구사해 '포크볼의 황태자'였다.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이상목)] === [[류현진]] === ||<-3>
[[파일:201106141935774282_1.jpg|width=320]] || ||<-3> '''{{{#ffffff 한화 이글스 No.99}}}''' || ||<-2> '''[[류현진|'''{{{#ffffff '괴물' 류현진}}}''']]'''[br]'''{{{#ffffff (柳賢振 / Hyun-Jin Ryu)}}}'''[br]{{{#ffffff 2006~2012}}} || * 개인 통산 성적 ||<-17>
{{{#FFF 역대 기록}}} || || {{{#FFF 경기}}} || {{{#FFF 이닝}}} || {{{#FFF 승리}}} || {{{#FFF 패배}}} || {{{#FFF 세이브}}} || {{{#FFF 홀드}}} || {{{#FFF 승률}}} || {{{#FFF ERA}}} || {{{#FFF FIP}}} || {{{#FFF 피안타}}} || {{{#FFF 피홈런}}} || {{{#FFF 4사구}}} || {{{#FFF 탈삼진}}} || {{{#FFF WHIP}}} || {{{#FFF WAR}}} || || 190 || 1269.0 || 98 || 52 || 1 || 0 || .653 || 2.80 || 2.96 || 1081 || 92 || 425 || 1238 || 1.15 || 44.74 || * 주요 기록 및 수상 이력[* 그외에도 2006 시즌 다승왕/최우수 평균자책점, 06~07, 09~10, 12 시즌 탈삼진왕.] || [[KBO MVP#s-1|[[파일:KBO 리그 로고(엠블럼/영문, 2013~2021).svg|width=150]]]][br] '''{{{#ffffff 2006 KBO 리그 MVP}}}''' || ||<#182132> [[KBO 골든글러브|[[파일:KBO 골든글러브 로고.svg|height=40]]]] [br] [[틀:KBO 골든글러브/투수|'''{{{#b58a5d KBO 골든글러브}}} {{{#ffffff 투수 부문 수상자 (2006, 2010)}}}''']] || || [[KBO 신인상#s-3|[[파일:KBO 리그 로고(엠블럼/영문, 2013~2021).svg|width=150]]]] [br] '''{{{#fff 2006 KBO 리그 신인왕}}}''' || ||<-2>
'''{{{#ffffff KBO 보유 기록}}}''' || || '''정규 이닝 최다 탈삼진''' || '''{{{#ff0000 17K}}}'''[* '''(2010.5.11. 청주 구장 LG전)'''] || [[한화 이글스]]에서 7년간 98승[* 2012년에 [[답이 없는 한화의 수비]]로 9승밖에 못했다.]을 기록하고 [[MLB]]에 직행한 최초의 투수이자 선수이다. 역대 최초로 데뷔 1년차 고졸 신인이 신인왕과 MVP를 동시 석권하고 [[트리플 크라운]][* 다승, 평균자책점, 탈삼진 1위.]와 골든 글러브를 수상한 투수이다. 현재는 MLB에 진출하여 [[LA 다저스]]를 거쳐 [[토론토 블루제이스]]에서 활약하고 있다. 그의 상징인 등번호 99번은 10년째 한화 이글스의 임시결번으로 지정되어 있고, 그가 복귀하여 은퇴 한 뒤에는 '''[[영구결번]]'''으로 지정될 가능성이 높다.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류현진)] == 타자 == === [[이강돈]] === ||<-3>
[[파일:F.png|width=320]] || ||<-3> '''{{{#ffffff 한화 이글스 No.33}}}''' || ||<-2> '''[[이강돈|'''{{{#ffffff '깡통' 이강돈}}}''']]'''[br]'''{{{#ffffff (李康敦 / Gang-Don Lee)}}}'''[br]{{{#ffffff 1985~1997}}} || * 개인 통산 성적 ||<-17>
{{{#FFF 역대 기록}}} || || {{{#FFF 경기}}} || {{{#FFF 타수}}} || {{{#FFF 타율}}} || {{{#FFF 출루율}}} || {{{#FFF 장타율}}} || {{{#FFF OPS}}} || {{{#FFF 안타}}} || {{{#FFF 2루타}}} || {{{#FFF 3루타}}} || {{{#FFF 홈런}}} || {{{#FFF 타점}}} || {{{#FFF 득점}}} || {{{#FFF 도루}}} || {{{#FFF 볼넷}}} || {{{#FFF 삼진}}} || {{{#FFF wRC+}}} || {{{#FFF WAR}}} || || 1217 || 3979 || .284 || .347 || .420 || .767 || 556 || 202 || 88 || 87 || 557 || 533 || 88 || 387 || 657 || 118.4 || 25.51 || * 주요 기록 및 수상 이력 || [[KBO 리그 역대 타이틀홀더#s-1.2|[[파일:KBO 리그 로고(엠블럼/영문, 2013~2021).svg|width=150]]]][br] '''{{{#ffffff 1990 KBO 리그 최다 안타왕}}}'''[* 최다 안타 타이틀은 1990년에 신설][* 1989시즌 안타 1위] || ||<#182132> [[KBO 골든글러브|[[파일:KBO 골든글러브 로고.svg|height=40]]]] [br] [[틀:KBO 골든글러브/외야수/1900년대|'''{{{#b58a5d KBO 골든글러브}}} {{{#ffffff 외야수 부문 수상자 (1988 ~ 1990)}}}''']] || - 1987년 8월 27일 OB전 [[사이클링 히트]] 기록 원조 다이너마이트 타선의 중심선수로 활약했다. 1988~1990년까지 3년연속 골든글러브를 수상하고 사이클링 히트와 1993년 미스터 올스타까지 수상하였다. 그리고 최초로 이글스에서 은퇴식을 가진 선수이다. 현재는 대전 MBC에서 해설을 맡다가 충남중학교 야구부 감독으로 재직 중.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이강돈)] === [[이정훈(1963)|이정훈]] === ||<-3>
[[파일:external/farm3.staticflickr.com/3731364533_266f27ec24_o.jpg|width=320]] || ||<-3> '''{{{#ffffff 한화 이글스 No.10}}}''' || ||<-2> '''[[이정훈(1963)|'''{{{#ffffff '악바리' 이정훈}}}''']]'''[br]'''{{{#ffffff (李政勳/ Jeong-Hun Lee)}}}'''[br]{{{#ffffff 1987~1994}}} || * 개인 통산 성적 ||<-17>
{{{#FFF 역대 기록}}} || || {{{#FFF 경기}}} || {{{#FFF 타수}}} || {{{#FFF 타율}}} || {{{#FFF 출루율}}} || {{{#FFF 장타율}}} || {{{#FFF OPS}}} || {{{#FFF 안타}}} || {{{#FFF 2루타}}} || {{{#FFF 3루타}}} || {{{#FFF 홈런}}} || {{{#FFF 타점}}} || {{{#FFF 득점}}} || {{{#FFF 도루}}} || {{{#FFF 볼넷}}} || {{{#FFF 삼진}}} || {{{#FFF wRC+}}} || {{{#FFF WAR}}} || || 918 || 3072 || .299 || .368 || .437 || .805 || 918 || 152 || 37 || 66 || 353 || 515 || 88 || 151 || 312 || 128.8 || 27.57[* 한화에서 기록한 WAR은 26.53.] || * 주요 기록 및 수상 이력 || [[KBO 신인상#s-3|[[파일:KBO 리그 로고(엠블럼/영문, 2013~2021).svg|width=150]]]] [br] '''{{{#fff 1987 KBO 리그 신인왕}}}''' || || [[KBO 리그 역대 타이틀홀더#s-1.1|[[파일:KBO 리그 로고(엠블럼/영문, 2013~2021).svg|width=150]]]] [br] '''{{{#fff 1991, 1992 KBO 리그 타격왕}}}''' || ||<#182132> [[KBO 골든글러브|[[파일:KBO 골든글러브 로고.svg|height=40]]]] [br] [[틀:KBO 골든글러브/외야수/1900년대|'''{{{#b58a5d KBO 골든글러브}}} {{{#ffffff 외야수 부문 수상자 (1988, 1990 ~ 1992)}}}''']] || 이글스에서 대표적인 악바리 근성을 가진 선수로 유명했다. 1992년 타율 0.360이라는 고타율을 기록하면서 2년 연속 타격왕도 기록할 정도로 정교한 타격을 했다. 또, 그해 20-20도 기록하면서 빙그레의 준우승을 이끈 주축 선수였다.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이정훈(1963))] === [[강석천]] === ||<-3>
[[파일:external/ojsfile.ohmynews.com/IE000883411_STD.jpg|width=320]] || ||<-3> '''{{{#ffffff 한화 이글스 No.17}}}''' || ||<-2> '''[[강석천|'''{{{#ffffff 강석천}}}''']]'''[br]'''{{{#ffffff (姜錫千 / Seok-Chun Kang)}}}'''[br]{{{#ffffff 1989~2003}}} || * 개인 통산 성적 ||<-17>
{{{#FFF 역대 기록}}} || || {{{#FFF 경기}}} || {{{#FFF 타수}}} || {{{#FFF 타율}}} || {{{#FFF 출루율}}} || {{{#FFF 장타율}}} || {{{#FFF OPS}}} || {{{#FFF 안타}}} || {{{#FFF 2루타}}} || {{{#FFF 3루타}}} || {{{#FFF 홈런}}} || {{{#FFF 타점}}} || {{{#FFF 득점}}} || {{{#FFF 도루}}} || {{{#FFF 볼넷}}} || {{{#FFF 삼진}}} || {{{#FFF wRC+}}} || {{{#FFF WAR}}} || || 1457 || 5418 || .278 || .338 || .339 || .737 || 1342 || 245 || 31 || 93 || 543 || 670 || 192 || 371 || 684 || 102.1 || 31.35 || * 주요 기록 및 수상 이력 - 1990년 8월 4일 태평양전 [[사이클링 히트]] 기록. 화려하지는 않지만 묵묵하게 제 할 일을 했었던 선수이다. 내·외야 할 것없이 경기에 출전했고 이강돈에 이어 이글스 선수로서는 2번째로 사이클링 히트를 기록한 선수이다.[* 단, 강석천의 현역시절을 지켜본 팬들의 평가는 내야 수비는 부족한 점이 많았다는 것이 주를 이룬다. 이로 인해 내야수 자원들이 입단한 선수생활 후반기에는 외야에 투입되는 경우가 많았고, [[김태균]]과 [[이범호]]가 선수생활 마지막시기에 입단하였다.]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강석천)] === [[이영우|이영우]] === ||<-3>
[[파일:04004725_20070316.jpg|width=320]] || ||<-3> '''{{{#ffffff 한화 이글스 No.34}}}''' || ||<-2> '''[[이영우|'''{{{#ffffff '미스터 스마일' 이영우}}}''']]'''[br]'''{{{#ffffff (李榮雨/ Young-Woo Lee)}}}'''[br]{{{#ffffff 1996~2010}}} || * 개인 통산 성적 ||<-17>
{{{#FFF 역대 기록}}} || || {{{#FFF 경기}}} || {{{#FFF 타수}}} || {{{#FFF 타율}}} || {{{#FFF 출루율}}} || {{{#FFF 장타율}}} || {{{#FFF OPS}}} || {{{#FFF 안타}}} || {{{#FFF 2루타}}} || {{{#FFF 3루타}}} || {{{#FFF 홈런}}} || {{{#FFF 타점}}} || {{{#FFF 득점}}} || {{{#FFF 도루}}} || {{{#FFF 볼넷}}} || {{{#FFF 삼진}}} || {{{#FFF wRC+}}} || {{{#FFF WAR}}} || || 1312 || 5030 || .293 || .378 || .464 || .842 || 1275 || 272 || 33 || 135 || 533 || 735 || 112 || 562 || 723 || 126.2 || 33.06 || 이정훈의 뒤를 이어 리드오프로 활약한 선수. 3할을 치는 컨택 능력과 20홈런을 기록한 적 있는 장타력, 주루 능력을 두루 갖춘 5툴 선수였다.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이영우)] === [[송지만]] === ||<-3>
[[파일:attachment/송지만/02.jpg|width=320]] || ||<-3> '''{{{#ffffff 한화 이글스 No.16}}}''' || ||<-2> '''[[송지만|'''{{{#ffffff '송집사' 송지만}}}''']]'''[br]'''{{{#ffffff (宋志晩)}}}'''[br]{{{#ffffff 1996~2003}}} || * 개인 통산 성적 ||<-17>
{{{#FFF 역대 기록}}} || || {{{#FFF 경기}}} || {{{#FFF 타수}}} || {{{#FFF 타율}}} || {{{#FFF 출루율}}} || {{{#FFF 장타율}}} || {{{#FFF OPS}}} || {{{#FFF 안타}}} || {{{#FFF 2루타}}} || {{{#FFF 3루타}}} || {{{#FFF 홈런}}} || {{{#FFF 타점}}} || {{{#FFF 득점}}} || {{{#FFF 도루}}} || {{{#FFF 볼넷}}} || {{{#FFF 삼진}}} || {{{#FFF wRC+}}} || {{{#FFF WAR}}} || || 1938 || 6620 || .282 || .361 || .481 || .842 || 1870 || 327 || 28 || 311 || 1030 || 1019 || 165 || 691 || 1451 || 126.4 || 50.65[* 한화에서 기록한 WAR은 28.38.] || * 주요 기록 및 수상 이력 || [[KBO 리그 역대 타이틀홀더#s-1.9|[[파일:KBO 리그 로고(엠블럼/영문, 2013~2021).svg|width=150]]]][br] '''{{{#ffffff 2000 KBO 리그 장타율왕}}}''' || ||<#182132> [[KBO 골든글러브|[[파일:KBO 골든글러브 로고.svg|height=40]]]] [br] [[틀:KBO 골든글러브/외야수/2000년대|'''{{{#b58a5d KBO 골든글러브}}} {{{#ffffff 외야수 부문 수상자 (2000, 2002)}}}''']] || 이글스 첫 우승의 주역이자 구단 간판 외야수의 계보[* 고원부, 이정훈, 이강돈, 이중화 - 송지만, 이영우, 데이비스. 이들이 모두 떠난 2000년대 후반 이후 한화는 [[김고추정이]]로 대표되는 암울한 외야진을 갖게 된다. [[이용규]], [[이성열(1984)|이성열]], [[호잉]] 등을 영입하고 [[김경언]] 등이 활약한 2010년대 중후반에는 다시 정상화가 되었지만, 이 네 사람 역시 2010년대 후반~2020년대에 걸쳐서 은퇴하며 2023 시즌까지도 확실한 주전 외야수를 찾지 못하고 있다.]를 잇는 선수이다. 현대-히어로즈에서 뛴 기간이 더 많지만 한화에서 기록한 커리어가 훨씬 뛰어나다. 4년 연속 20홈런[* 1999년 - 2002년.]과 [[한화 이글스]] 토종 야수로는 유일하게 두 시즌 연속[* 1999년 - 2000년.] '''[[20-20]]'''클럽에 가입했다. 뛰어난 수비와 송구 능력에 주루 센스까지 겸비한 최고의 5툴 우익수로 활약하였다.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송지만)] === [[제이 데이비스|데이비스]] === ||<-3>
[[파일:jy97Kb9.jpg|width=320]] || ||<-3> '''{{{#ffffff 한화 이글스 No.25}}}''' || ||<-2> '''[[제이 데이비스|'''{{{#ffffff '검은 독수리' 제이 데이비스}}}''']]'''[br]'''{{{#ffffff (Gerrod Jay Davis)}}}'''[* 본명은 제러드 제이 데이비스이다.][br]{{{#ffffff 1999~2001, 2004~2006}}} || * 개인 통산 성적 ||<-17>
{{{#FFF 역대 기록}}} || || {{{#FFF 경기}}} || {{{#FFF 타수}}} || {{{#FFF 타율}}} || {{{#FFF 출루율}}} || {{{#FFF 장타율}}} || {{{#FFF OPS}}} || {{{#FFF 안타}}} || {{{#FFF 2루타}}} || {{{#FFF 3루타}}} || {{{#FFF 홈런}}} || {{{#FFF 타점}}} || {{{#FFF 득점}}} || {{{#FFF 도루}}} || {{{#FFF 볼넷}}} || {{{#FFF 삼진}}} || {{{#FFF wRC+}}} || {{{#FFF WAR}}} || || 836 || 3130 || .313 || .383 || .533 || .915 || 979 || 175 || 6 || 167 || 591 || 538 || 108 || 353 || 606 || 142.2 || 36.64 || * 주요 기록 및 수상 이력 || [[KBO 리그 역대 타이틀홀더#s-1.5|[[파일:KBO 리그 로고(엠블럼/영문, 2013~2021).svg|width=150]]]][br] '''{{{#ffffff 2005 KBO 리그 득점왕}}}''' || ||<#182132> [[KBO 골든글러브|[[파일:KBO 골든글러브 로고.svg|height=40]]]] [br] [[틀:KBO 골든글러브/외야수/2000년대|'''{{{#b58a5d KBO 골든글러브}}} {{{#ffffff 외야수 부문 수상자 (2005)}}}''']] || [[한화 이글스]]와 [[KBO 리그]] 역사상 최고의 외국인 타자 중 1명이다. KBO 리그 최장수 외국인 타자(7년/1999-2002, 2004-2006)[* 원래는 최장수 외국인 '''선수'''였는데 2018년 [[더스틴 니퍼트]]가 두산-kt에서 8년을 뛰며 이 기록은 깨졌다.]로 KBO리그 외국인 선수 최초 '''[[30-30]]'''클럽에 가입할 정도로 [[호타준족]]이였다. 또, KBO 리그에서 뛴 외국인 타자 중에는 드물게 통산 순위집계가 가능한 선수이다. 그래서 역대 외야수 장타율 1위는 데이비스가 기록하고 있다.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제이 데이비스)] === [[이범호]] === ||<-3>
[[파일:/image/001/2006/10/11/kp1_2061011t3179.jpg|width=320]] || ||<-3> '''{{{#ffffff 한화 이글스 No.7}}}''' || ||<-2> '''[[이범호|'''{{{#ffffff '꽃범호' 이범호}}}''']]'''[br]'''{{{#ffffff (李杋浩 | Bumho Lee)}}}'''[br]{{{#ffffff 2000~2009}}} || * 개인 통산 성적 ||<-17>
{{{#FFF 역대 기록}}} || || {{{#FFF 경기}}} || {{{#FFF 타수}}} || {{{#FFF 타율}}} || {{{#FFF 출루율}}} || {{{#FFF 장타율}}} || {{{#FFF OPS}}} || {{{#FFF 안타}}} || {{{#FFF 2루타}}} || {{{#FFF 3루타}}} || {{{#FFF 홈런}}} || {{{#FFF 타점}}} || {{{#FFF 득점}}} || {{{#FFF 도루}}} || {{{#FFF 볼넷}}} || {{{#FFF 삼진}}} || {{{#FFF wRC+}}} || {{{#FFF WAR}}} || || 2001 || 6370 || .271 || .365 || .482 || .847 || 1727 || 334 || 12 || 329 || 1127 || 954 || 49 || 863 || 1158 || 123.0 || 57.27[* 한화에서 기록한 WAR은 31.46.] || * 주요 기록 및 수상 이력 ||<#182132> [[KBO 골든글러브|[[파일:KBO 골든글러브 로고.svg|height=40]]]] [br] [[틀:KBO 골든글러브/3루수|'''{{{#b58a5d KBO 골든글러브}}} {{{#ffffff 3루수 부문 수상자 (2005, 2006)}}}''']] || 2000년대 중후반 [[김태균]], [[김민재(내야수)|김민재]]와 함께 국가대표 내야진을 이룬 공격형 3루수. 2002 시즌부터 일본 진출 전 마지막 시즌인 2009 시즌까지 7년 연속으로 두자리수 홈런을 기록했고, 높은 장타율을 바탕으로 2005년과 2006년 3루수 골든글러브를 수상했다. 2009 시즌 이후 [[NPB]] [[소프트뱅크 호크스]]로 해외 진출했다가, 성적 부진으로 계약 기간을 다 채우기 전인 2011 시즌 국내 리그에 타 팀 소속으로 복귀해[* 이와 관련해서 말이 많았다. 자세한 내용은 [[이범호/선수 경력#한국 복귀|문서 참고.]]] 한화 소속 커리어는 2009 시즌이 마지막이었다.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이범호)]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his=문단, title=한화 이글스, version=2809)] [include(틀:문서 가져옴, this=문서, title=구대성, version=918, title2=류현진, version2=3356, title3=이강돈, version3=200, title4=이정훈(1963), version4=360, title5=송지만, version5=812, title6=제이 데이비스, version6=332, title7=이범호, version7=1484)] [[분류:한화 이글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