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15deg, #cd313a 50%, #0047a0 50%)" '''[[독립유공자|{{{#ffffff 대한민국의 독립유공자}}}]]'''[br] {{{#ffffff '''{{{+1 한택교}}}'''[br]'''韓宅敎'''}}}}}} || || '''창씨명''' ||히라하라 다쿠교(平原宅敎) || || '''본관''' ||[[청주 한씨]][* 장도공파(章悼公派) 29세 교(敎) 항렬.] || ||<|2> '''출생''' ||[[1920년]] [[9월 29일]][* 청주한씨제7교대동족보 29권 1236쪽 참조. [[https://e-gonghun.mpva.go.kr/user/ContribuReportDetail.do?goTocode=20001&pageTitle=Report&mngNo=43562|독립유공자 공적조서]]에는 [[1912년]] [[11월 10일]]로 기재되어 있다.] || ||[[경상북도]] [[예천군]] 제고면 성암동[br]{{{-1 (現 [[경상북도]] [[예천군]] 용문면 성현리 천내마을[* 한택교의 8대조 한규(韓槼, 1604 ~ ?. 4. 13)와 12촌 지간인 한표(韓漂)가 1580년 무렵에 이 마을을 [[https://m.blog.naver.com/hmi0419/220769262122|개척했다고 한다]].] 159번지[* 1910년부터 1918년 [[토지조사사업]] 당시 작성된 [[https://theme.archives.go.kr/next/acreage/viewCadastreDetail.do?packid=0000410467&docid=0010342129&mngno=BJCA306928&type=12&want=1&arch_tp_id=12&formType=old&rtURL=%2facreage%2flistOldnameSearch.do%3fdepth1%3d%25EA%25B2%25BD%25EC%2583%2581%25EB%25B6%2581%25EB%258F%2584%5edepth2%3d%25EC%2598%2588%25EC%25B2%259C%25EA%25B5%25B0%5edepth3%3d%25EC%259A%25A9%25EB%25AC%25B8%25EB%25A9%25B4%5earch_tp_id%3d12%5edepth4%3d%25EC%2584%25B1%25ED%2598%2584%25EB%258F%2599%5eserviceCode%3d1-1-3%5eformType%3dold|지적원도]]에 따르면, 1910년대 당시 이 지번의 필지는 한택교의 조부 한규섭(韓奎燮, 1855 ~ ?. 5. 17)의 소유였다. 이후 1947년 4월 7일 한택교의 아버지 한재혁(韓在赫, 1903 ~ 1949. 3. 3)에게로 소유권이 이전되었고, 2002년 3월 27일 한택교의 장녀 한영숙(韓英淑, 1948. 1. 5 ~ ), 차녀 한명숙(韓明淑, 1952. 8. 15 ~ ), 3녀 한경애(韓慶愛, 1955. 7. 5 ~ ), 4녀 한정숙(韓貞淑, 1957. 8. 3 ~ ) 등 4명의 공동소유가 되었다. 2022년 4월 25일 한택교의 장녀 한영숙의 소유가 되어 현재에 이른다.])}}} || || '''사망''' ||[[1995년]] [[1월 17일]] (향년 74세) || || '''상훈''' ||대통령표창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독립유공자]]. 2022년 대통령표창을 추서받았다. == 생애 == 1920년 9월 29일 경상북도 예천군 제고면 성암동(現 예천군 용문면 성현리 천내마을 159번지)에서 아버지 한재혁(韓在赫, 1903 ~ 1949. 3. 3)과 어머니 [[예안 김씨]] 김계진(金季鎭, 1898. 10. 19 ~ 1982. 8. 23)[* 김환규(金煥奎)의 딸이다.] 사이의 6남 1녀 중 장남으로 태어났다. [[일본]] [[오사카상과대학]](現 [[오사카시립대학]]) 예과 2학년 재학 중이던 1940년 4월 [[천황제 파시즘|천황제의 모순]] 및 [[일본 제국주의]]의 [[중일전쟁|중국 침략]]의 부당함을 비판하는 발언을 했다. 이에 체포되어 1940년 10월 21일 징역 8개월, [[집행유예]] 4년을 [[http://db.history.go.kr/id/tcmd_1940_10_21_0020|선고받아]] 곧 출옥했다. 이후 복학해 오사카상과대학[* 청주한씨제7교대동족보 29권 1236쪽에는 '오사카법전(法專)'을 졸업했다고 등재되어 있다.]을 졸업하고 귀국했다. 귀국 후에는 [[교사]]로 재직하다가 [[고등학교]] [[교감]]으로 [[정년퇴임]]했고, 퇴임할 당시 [[국민훈장]] 목련장을 수여받았다. 1995년 1월 17일 별세했다. 2022년 [[대한민국 정부]]로부터 독립운동 공적을 인정받아 대통령표창에 추서되었다. [[분류:한국의 독립운동가]][[분류:대한민국의 교사]][[분류:청주 한씨 장도공파]][[분류:예천군 출신 인물]][[분류:1920년 출생]][[분류:1995년 사망]][[분류:대통령표창(독립유공자)]][[분류:국민훈장 목련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