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위 항목 : [[일본 철도 정보]], [[일본의 철도 차량 목록]], [[한큐 전철]], [[전동차]] * 본 항목은 '''한큐 1300계 전동차'''로 검색해도 들어올 수 있습니다. [include(틀:한큐 전철 전동차)] [목차] [[http://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e/e5/Hankyu1000II.JPG/640px-Hankyu1000II.JPG]] == 사양 == || 열차 형식 ||도시철도[*1300계] 및 광역철도 입선용 통근형 [[전동차]] || || 구동 방식 ||전기 [[동력분산식]] 열차 || || 급전 방식 ||직류 1500V|| || 영업최고속도 ||115km/h|| || 설계최고속도 ||130km/h|| || 기동 가속도 ||지상 2.6km/h/s[br]지하 2.8km/h/s || || 신호 방식 ||AF궤도회로방식 및 패턴 송신형 ATS[br]WS-ATC[br]데드맨 장치[*보안장치] || || 제작 회사 ||[[히타치 제작소]] || || 도입 연도 ||2013년~진행중 || || 제어 방식 ||IGBT-VVVF 인버터제어 || || 동력 장치 ||영구자석동기전동기(PMSM)[*1000계][br]농형 3상 유도전동기[*1300계]|| || 제동 방식 ||회생제동 병용 전기지령식 공기제동 || || 편성 대수 ||8량, 4M4T || ||<|4> 운행 노선 ||1000계 : [[한큐 고베 본선]], [[타카라즈카 본선]]|| ||1300계 : [[교토 본선|한큐 교토 본선]]|| ||다카라즈카 본선-[[노세 전철]] [[묘켄선|묘켄선・닛세이선]] '''직통운전'''|| ||교토 본선-[[오사카 시영 지하철]] [[사카이스지선]] '''직통운전'''|| == 개요 == >'''2014년 현재 한큐의 얼굴마담''' 1954년 생산된 구 1000계의 뒤를 이어 다시 1000계의 이름을 부여받은 [[한큐 전철|한큐]]의 2013・2014년형 최신예 전동차이다. 즉 현재의 1000계는 2대째. 2013년부터 생산을 개시하였으며, 투입 노선은 [[한큐 고베 본선]] 및 [[타카라즈카 본선]]-[[묘켄선|노세 전철 묘켄선]], 그리고 [[교토 본선|한큐 교토선]]이다. 최초의 영업운전은 2013년 11월 28일 고베선에서, 뒤이어 12월에는 타카라즈카선에서 영업운전을 개시하였다. == 특징 == ||기본적으로 모든 한큐 차량에는 '''한큐 마룬(阪急マルーン)이라 일컫는 고동색 도장''', 천장 부분의 '''한큐 아이보리(阪急アイボリー)라고 일컫는 아이보리색의 차체 천장부 도색'''[* 단, 3000계와 같은 일부 구형 차량에는 [[그런 거 없다]].], '''나뭇결 무늬 형태의 내장재''', 그리고 차량의 생산 시기마다 재질은 다르지만 '''올리브색의 좌석 시트'''가 채용되어 있다.|| 한큐의 차량 특징을 논하자면 가장 먼저 '''위 틀 안의 네 가지 요소는 기본적으로 깔고 들어간다.(...)''' 이러한 기본적인 특징 이외에 실내 객실조명이나 전면등은 모두 LED화되어 있으며, 중후하고 고풍스러운--이라고 쓰고 묘하게 낡아 보이는-- 느낌을 주는 차량의 도색이나 내부 설비와는 전혀 어울리지 않게 각종 신기술들을 적극적으로 채용하였다. 차량계보상으로는 2006년에 등장한 9000계의 후속 차량의 포지션에 위치한 차량이며, 외견상으로는 선배차인 [[한큐 8000계 전동차|8000계]], [[한큐 9000계 전동차|9000계]]와 유사한 외형을 갖고 있지만 일반적으로 전동차에 사용되는 농형 3상 유도전동기를 채용한 두 차량는 달리 PMSM 방식의 전동기를 채용하는 등 적용된 기술은 완전히 다르다. 또한 1970년대 도입된 6000계에서 유래되어 이전 차량인 9000계・9300계까지 유지해 오던 PP방식의 동차에서 벗어나 본격적으로 4M4T 방식의 일반적인 동력분산식 열차로 생산되었다. 1000계의 구동음은 PMSM+도시바제 인버터를 사용하는 차량답게 저속 영역에서의 바람소리를 제외하고는 소음 없이 상당히 조용한 편이다.[[http://www.youtube.com/watch?v=c2E_omZbmSY|#]] 하지만 일반 농형 전동기+도요전기제 인버터를 사용하는 1300계는 그냥 평이한 전동차 구동음을 낸다.[[http://www.youtube.com/watch?v=mpBhjByPwIs|#]] 1300계의 차내 모니터는 무려 32인치(!!!)짜리 풀HD 디스플레이. 직접 보면 출입문 폭의 2/3 가까이 차지하는 와이드화면에 압도된다. --크고 아름답지....-- 히타치 제작소 출신의 차량답게 선배차인 9000계・9300계와 더불어 본 차량 역시 [[A-train]] 기술의 산물이다. == 형식 및 바리에이션 == * 파생형이자 형제기로써 [[교토 본선|한큐 교토선]]에서 2014년 3월 30일부터 영업운전을 개시한 1300계 전동차가 있다. 다른 것은 1000계와 모두 똑같지만 일부 부분에서 교토선 사양에 맞게 차량의 크기 등 일부 설계가 수정되었으며, 가장 큰 차이점으로는 PMSM을 채용한 1000계와는 달리 통상의 농형 3상 유도전동기를 채용한 것이다. --원본은 [[외계인 고문]] 파생형은 평범한 전동차-- == 이야깃거리 == * 한큐, 정확하게는 한큐한신토호그룹이라는 기업집단 산하에는 '''이름만 다르지 차량이나 각종 시스템, 심지어 도색까지 한큐와 100% 호환'''[* 한큐 로고가 있는 자리에 노세 전철의 로고로 바꿔달면 순식간에 노세 전철 소속의 차량이 된다.(...) 2014년 8월경에 한큐 소속의 [[한큐 6000계 전동차|6000계]] 6002F가 노세 전철에 양도되었는데, 로고와 내부 안내문만 바꿔 달았더니 순식간에 노세 전철 소속의 차량이 되어버린 것이 그 예이다.]되는 자회사이지만 사실상 한큐의 지선에 가까운 [[노세 전철]]이라는 회사가 있다. 노세 전철과 한큐는 각각 다카라즈카 본선을 거쳐 [[우메다역#s-3.1|한큐 우메다역]]과 [[닛세이츄오역]]・[[묘켄구치역]]까지 직결운행하기 때문에 이에 대비하여 1000계는 [[묘켄선|묘켄선・닛세이선]]에 입선할 수 있도록 신호설비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교토선에 입선하는 1300계는 마찬가지로 직결하여 운행하는 노선으로써 '''한큐의, 한큐에 의한, 한큐를 위한'''(...) [[오사카 시영 지하철]] [[사카이스지선]]에 입선할 수 있다. * 2014년 가을에는 한큐가 오리지널 굿즈 형태로 열차모형을 발매했는데, 이때 모델로 선정된 것이 본 차량이다. 이 외에도 한큐는 굿즈 형태로 엄청나게 자사 열차들을 철덕들에게 팔아먹고 있는 모양이다.(...) 참고로 이때 발매된 1000계는 완전한 조합이 아니고 --세트로 지를 수밖에 없게끔-- '''Tc-M이라는 괴랄한 2량 조합'''으로 판매하고 있었기 때문에 많은 수집가들이 8량 형태의 완편성을 만들기 위해 '''울며 겨자먹기로''' 6개를 구입했다고 하는 이야기가 전해진다.(...) 결국 이러한 상술로 인해 '''최소한 Tc-M'-M'-Tc 구조의 4량을 만들기 위해서라도 무조건 2세트를 사야 한다'''는 소리다! --이쯤 되면 지름신 '''강림을 넘어 아예 소환'''하는 엄청난 상술이다-- [[http://blogs.yahoo.co.jp/ethomeitami9836/folder/317591.html|어느 철덕의 구매 후기(일본어)]] [[추가바람]] [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