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Pokémon UNITE 플레이어블 포켓몬)] [목차] == 소개 == |||| [[파일:포켓몬유나이트_한카리아스.png|width=360px]] |||| |||| '''{{{#white {{{+5 한카리아스}}}}}}''' |||| |||| {{{#white 땅 속에서 상대에게 달려들어라!}}} |||| || '''{{{#white 난이도}}}''' || 중급자용 || || '''{{{#white 공격 유형}}}''' || 공격 || || '''{{{#white 전투타입}}}''' || '''{{{#C458CD 밸런스형}}}'''[br]근거리 || || '''{{{#white 가격}}}''' || [[파일:에오스_코인.png|width=20]] 10,000[br][[파일:에오스_젬.png|width=20]] 575 || [include(틀:Pokémon UNITE의 초창기 포켓몬)] [[Pokémon UNITE]]의 밸런스형 [[Pokémon UNITE/플레이어블 포켓몬|플레이어블 포켓몬]]. 포켓몬스터 시리즈 4세대에 등장한 [[한카리아스]]이다. 딥상어동, 한바이트, 한카리아스 순서로 진화하는 것이 구현되어 있다. === 공식 소개 영상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9G9cSBJkHP0,width=100%)]}}}|| == 성장 과정 == |||||||||| '''성장 과정''' |||||||||| || [[파일:딥상어동유나이트1.png|width=90%]] ||<|2> '''5레벨'''[br]'''→''' || [[파일:한바이트유나이트1.png|width=90%]] ||<|2> '''9레벨'''[br]'''→''' || [[파일:한카리아스유나이트1.png|width=90%]] || || '''딥상어동''' || '''한바이트''' || '''[[한카리아스|{{{#black,#white 한카리아스}}}]]''' || 한카리아스는 1레벨 딥상어동으로 시작하여, 5레벨이 되면 한바이트로 진화하며 모래뿌리기를 대신하는 기술로 구멍파기/드래곤다이브 중 한 개의 기술을 배운다. 이후 9레벨이 되면 한카리아스로 진화하며 유나이트 기술 노발대발러시를 배운다. == 기술 == 일반 공격, 강화 공격과 모든 기술이 공격을 기반으로 한다. === 일반 공격 === || [[파일:PokeUnite_NormalAttack.png|width=75px]] || || 5번째 일반 공격은 강화 공격이 되며 주는 데미지가 증가하고 자신의 HP를 회복한다. 강화 공격이 명중한 뒤 잠시 동안 일반 공격이나 기술이 상대편에게 명중할 때마다 일반 공격이 빨라진다. ---- {{{#!folding [ 세부 정보 ] '''{{{#703276 일반 공격 데미지}}}:''' 공격의 100% [* 야생 포켓몬에게는 최대 1000까지의 상한선이 있음] '''{{{#703276 강화 공격 데미지}}}:''' 공격의 110%[* 공격의 110% 수치의 경우 야생 포켓몬에게는 최대 1100까지의 상한선이 있음] + 상대편 포켓몬의 남은 HP의 10%[* 상대편 포켓몬의 남은 HP의 10% 수치의 경우 야생 포켓몬에게는 최대 350까지의 상한선이 있음] '''{{{#703276 공격 속도 증가(%)}}}:''' 3×(레벨-1) + 28 '''{{{#703276 일반 공격 스택 유지 시간}}}:''' [[파일:포켓몬유나이트_cooldown.png|width=10px]] 4초 '''{{{#703276 흡혈 효과}}}:''' 데미지의 15% }}} || 일반 공격이나 기술을 명중시킬 때마다 일반 공격 스택이 1개씩 쌓이며, 5개 쌓일 시 한카리아스의 일반 공격이 모두 강화 공격이 되어 공속 증가와 흡혈 효과가 붙는다. 이 강화 평타가 '''한카리아스의 핵심'''으로, 강평 사용 후 스택이 초기화되는 대부분의 포켓몬과는 달리 강평을 사용하더라도 4초 안에 평타나 기술을 다시 명중시킨다면 스택이 사라지지 않는다. 흡혈 기능이 있다고는 하지만 당연히 적의 데미지를 상쇄시키는 건 거의 불가능하며 스킬이 난무하는 교전에선 당연히 활용이 불가능하다. 적들이 평타만 사용하거나, 기술이 다 빠지고 기진맥진하는 상황일 때 들어가야 그나마 효과를 볼 수 있다. 사실 흡혈 기능의 진가는 굳이 집에 갈 필요 없이 야생포켓몬을 때리면서 HP를 채울 수 있다는 점이다. 파비코리 무리를 평타로 전부 처리하면 딸피에서도 거의 풀피를 채울 수 있다. === 특성: 까칠한피부 === || [[파일:유나이트_까칠한피부.png|width=75px]] || || 근거리 기술로 공격을 받으면 그 데미지 중 일부를 상대에게 되받아친다. ---- {{{#!folding [ 세부 정보 ] '''{{{#703276 되받아치는 데미지}}}:''' 받은 데미지의 30% '''{{{#703276 내부 대기 시간}}}:''' [[파일:포켓몬유나이트_cooldown.png|width=10px]] 2초 }}} || 되받아친 데미지는 방어 감소의 영향을 받는다. === 1·3레벨 선택 기술 === ==== [[모래뿌리기]] ==== || [[파일:유나이트_모래뿌리기.png|width=75px]] || || 모래뿌리기를 일으켜 지정한 방향으로 쏜다. 맞은 상대편 포켓몬에게 데미지를 주고 잠시 동안 이동 속도를 떨어뜨린다. 한편 자신의 이동 속도가 오르고 일반 공격도 빨라진다.[br][br][[파일:포켓몬유나이트_debuff.png|width=20px]] 능력 저하[br][[파일:포켓몬유나이트_cooldown.png|width=10px]] 6초 ---- {{{#!folding [ 세부 정보 ] '''{{{#703276 시야 감소}}}:''' 50% '''{{{#703276 적 이동 속도 감소}}}:''' 이동 속도의 20% · [[파일:포켓몬유나이트_cooldown.png|width=10px]] 2초 '''{{{#703276 자신 이동 속도 증가}}}:''' 이동 속도의 30% · [[파일:포켓몬유나이트_cooldown.png|width=10px]] 2초 '''{{{#703276 일반 공격 속도 증가}}}:''' 공격 속도의 30% · [[파일:포켓몬유나이트_cooldown.png|width=10px]] 3초 }}} || 이 기술을 적에게 적중 시 공속이 풀스택 한카리아스 수준으로 빨라지며, 시야 방해, 이속 증가 등의 부가효과가 있다. 야생 포켓몬에게도 적용되기에 저렙부터 야생 포켓몬을 수월하게 잡을 수 있다. 저렙 기술 치고는 뛰어난 성능을 갖고 있지만, 문제는 이 기술을 들고 있는 게 딥상어동이라 생각보다 좋지는 않다. 다만 이동 속도가 증가하므로 도망치거나 추노하기에 유용하다. ==== [[땅고르기]] ==== || [[파일:유나이트_땅고르기.png|width=75px]] || || 땅을 힘껏 밟아 범위 안에 있는 상대편 포켓몬에게 데미지를 준다.[br][br][[파일:포켓몬유나이트_area.png|width=20px]] 범위[br][[파일:포켓몬유나이트_cooldown.png|width=10px]] 5초 ---- {{{#!folding [ 세부 정보 ] '''{{{#703276 데미지}}}:''' 공격의 145% + 13×(레벨-1) + 240 }}} || 딥상어동 시기의 유일한 막타 기술이지만, 막타 능력이 뛰어나진 않다. === 5레벨 선택 기술 === 딥상어동이 5레벨에 진화하여 한바이트가 되면 1·3레벨에 선택할 수 있는 모래뿌리기를 대체하는 기술을 선택할 수 있다. 11레벨에 업그레이드 할 수 있다. ==== [[구멍파기]] ==== || [[파일:유나이트_구멍파기.png|width=75px]] || || 지면을 파고들어 지정한 방향으로 고속으로 이동하여 상대편 포켓몬에게 닿은 시점 또는 최대 거리에 도달한 시점에서 뚫고 나온다. 이때 범위 안에 있는 상대편 포켓몬에게 데미지를 주고 날려버린다. 기술을 사용하면 방어 및 특수방어가 잠시 동안 오른다.[* 방어와 특수방어가 3초 동안 350 오른다.][br][br]업그레이드 후에는 지면에서 뚫고 나올 때 상대편 포켓몬을 더 멀리 날려버린다.[br][br][[파일:포켓몬유나이트_dash.png|width=20px]] 대시[br][[파일:포켓몬유나이트_cooldown.png|width=10px]] 8초 ---- {{{#!folding [ 세부 정보 ] '''{{{#703276 데미지}}}:''' 공격의 116% + 5×(레벨-1) + 220 '''{{{#703276 방어·특수방어 증가}}}:''' 25×(레벨-1) + 25 · [[파일:포켓몬유나이트_cooldown.png|width=10px]] 3초 '''{{{#703276 구멍파기 날려버리기}}}:''' [[파일:포켓몬유나이트_cooldown.png|width=10px]] 0.5초 '''{{{#703276 구멍파기+ 날려버리기}}}:''' [[파일:포켓몬유나이트_cooldown.png|width=10px]] 1초 }}} || 전체적으로 드래곤다이브보다 cc기도 부실하고 쿨타임도 더 길기 때문에 유틸성이 높은 드래곤다이브에게 밀린다. 다만 제자리 cc기에 방어력이 오르기 때문에 이쪽 트리가 1대1에서 더 강하며 스택을 좀 더 빨리 수급할 수 있다. ==== [[드래곤다이브]] ==== || [[파일:유나이트_드래곤다이브.png|width=75px]] || || 뒤쪽으로 거리를 벌린 뒤 지정한 방향으로 다이브해서 공격하고 상대편 포켓몬을 밀쳐낸다. 처음에 거리를 벌리는 동안 "{{{#703276 드래곤클로}}}"를 연계할 수 있으며 연계하면 "{{{#703276 드래곤클로}}}"로 상대편 포켓몬의 이동 속도를 떨어뜨리는 효과가 강해진다. 기술을 사용하는 동안 받는 데미지가 감소한다.[br][br]업그레이드 후에는 기술을 사용하는 동안 방해받지 않게 된다.[br][br][[파일:포켓몬유나이트_dash.png|width=20px]] 대시[br][[파일:포켓몬유나이트_cooldown.png|width=10px]] 6초 ---- {{{#!folding [ 세부 정보 ] '''{{{#703276 데미지}}}:''' 공격의 121% + 8×(레벨-1) + 200 '''{{{#703276 받는 데미지 감소}}}:''' 데미지의 30% · [[파일:포켓몬유나이트_cooldown.png|width=10px]] 0.9초 }}} || 넉백이 뛰어나 상당히 먼 거리를 밀고 갈 수 있지만 이 기술 자체가 한카리아스의 이동기인지라 무턱대고 사용할 시 단순 이동기 그 이상 이하도 아니다. 따라서 제대로 된 유틸기로 사용하려면 적과 근접전을 하는 상태에서 우리 팀 진영으로 밀거나, 한타에서 적들을 한꺼번에 모으는 용도로 사용하는 게 좋다.[* 적을 모으는 기능 덕분에 부족한 다대일 능력을 한층 올려준다.] 또 로토무는 cc기에 쉽게 밀려난다는 것을 이용해 상대 팀의 로토무 스틸을 차단하는 용도로도 사용 가능하다. 기술 사용 시 선딜이 상당히 길기 때문에 요씽리스 같이 요리조리 움직이는 적들에게 맞추기가 까다롭다. 기술을 맞추어야만 스택을 쌓을 수 있는 한카리아스에겐 치명적인 점. 이후 드래곤클로를 사용하면 드래곤다이브를 사용한 후 즉시 이어서 드래곤클로를 사용해 두 기술이 잇따라 사용되는 연계 기술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적을 더 오랫동안 안정적으로 묶어둘 수 있어 보통은 연계 기술이 애용되는 편이다. === 7레벨 선택 기술 === 한바이트가 7레벨이 되면 1·3레벨에 선택할 수 있는 땅고르기를 대체하는 기술을 선택할 수 있다. 13레벨에 업그레이드 할 수 있다. ==== [[지진(포켓몬스터)|지진]] ==== || [[파일:유나이트_지진.png|width=75px]] || || 높이 뛰어오른 뒤 지면에 기세 좋게 착지하여 범위 안에 있는 상대편 포켓몬에게 잠시 동안 지속 데미지를 주고 이동 속도를 떨어뜨린다.[* 처음 내려찍은 후 2회에 걸쳐 여진으로 공격한다.][br][br]업그레이드 후에는 기술의 범위 안에서도 특히 가까이에 있는 상대편 포켓몬의 이동 속도를 더욱 떨어뜨린다.[br][br][[파일:포켓몬유나이트_area.png|width=20px]] 범위[br][[파일:포켓몬유나이트_cooldown.png|width=10px]] 7초 ---- {{{#!folding [ 세부 정보 ] '''{{{#703276 데미지(1타)}}}:''' 공격의 112% + 8×(레벨-1) + 180 '''{{{#703276 데미지(여진, 2회)}}}:''' 공격의 56% + 7×(레벨-1) + 90 '''{{{#703276 지진 이동 속도 감소}}}:''' 이동 속도의 30% · [[파일:포켓몬유나이트_cooldown.png|width=10px]] 2초 '''{{{#703276 지진+ 범위 중심부 근처에서 이동 속도 감소}}}:''' 이동 속도의 45% · [[파일:포켓몬유나이트_cooldown.png|width=10px]] 2초 }}} || 강화평타 스택만 놓고 보면 드래곤다이브 트리보다 수급력이 더 뛰어나다. 하지만 cc기는 부실한 편. ==== [[드래곤클로]] ==== || [[파일:유나이트_드래곤크루.png|width=75px]] || || 전방을 손톱으로 2번 공격하고 상대편 포켓몬에게 데미지를 준다. 1번째 공격은 데미지를 준 뒤 날려버린다. 2번째 공격은 주는 데미지가 증가하고 상대편 포켓몬의 이동 속도를 잠시 동안 떨어뜨린다.[br][br]업그레이드 후에는 기술이 주는 데미지가 증가한다.[br][br][[파일:포켓몬유나이트_melee.png|width=20px]] 근거리[br][[파일:포켓몬유나이트_cooldown.png|width=10px]] 5초 ---- {{{#!folding [ 세부 정보 ] '''{{{#703276 드래곤클로 데미지(1타)}}}:''' 공격의 80% + 5×(레벨-1) + 140 '''{{{#703276 드래곤클로 데미지(2타)}}}:''' 공격의 96% + 6×(레벨-1) + 160 '''{{{#703276 드래곤클로+ 데미지(1타)}}}:''' 공격의 96% + 6×(레벨-1) + 168 '''{{{#703276 드래곤클로+ 데미지(2타)}}}:''' 공격의 115.2% + 7×(레벨-1) + 192 }}} || 드래곤다이브와 연계하여 스택을 쌓는 용도로 쓴다. === 유나이트 기술: [[역린(포켓몬스터)|노발대발러시]] === || [[파일:유나이트_노발대발러시.png|width=75px]] || || 앞으로 돌진하며 강력한 체인 어택을 사용한다. 마지막 공격은 적들을 공중에 띄우지만 그 이후 잠시 동안 행동할 수 없게 된다.[br][br][[파일:포켓몬유나이트_melee.png|width=20px]] 근거리[br][[파일:포켓몬유나이트_cooldown.png|width=10px]] 134초[br]'''{{{#C458CD 습득 레벨}}}''' 9레벨 ---- {{{#!folding [ 세부 정보 ] '''{{{#703276 데미지(1타)}}}:''' 공격의 227% + 10×(레벨-1) + 330 '''{{{#703276 데미지(2타)}}}:''' 공격의 267% + 11×(레벨-1) + 450 '''{{{#703276 데미지(3타)}}}:''' 공격의 307% + 12×(레벨-1) + 570 '''{{{#703276 데미지(4타)}}}:''' 공격의 307% + 13×(레벨-1) + 920 '''{{{#703276 데미지(5타)}}}:''' 공격의 307% + 14×(레벨-1) + 1270 '''{{{#703276 받는 데미지 감소}}}:''' 데미지의 30% · [[파일:포켓몬유나이트_cooldown.png|width=10px]] 5초 '''{{{#703276 한카리아스에게 행동 불가 부여 시간}}}:''' [[파일:포켓몬유나이트_cooldown.png|width=10px]] 0.5초 '''{{{#703276 맞은 적 이동 속도 감소}}}:''' 이동 속도의 30% · [[파일:포켓몬유나이트_cooldown.png|width=10px]] 1초 }}} || 유나이트 기술인 노발대발러시는 이론상 5타를 제대로만 맞춘다면 살아남을 수 있는 적이 거의 없지만, 전부 명중시키기가 힘들다. 따라서 초보가 한카리아스를 잡으면 도움배리어 생성기 그 이상도 이하도 아니지만, 실력자는 노발대발러시로 흐름을 바꿀 수도 있다. 교전을 벌이다 HP가 부족한 순간 노발대발러시로 적들을 압도하는 것이야말로 한카리아스 플레이의 꽃이다. 다만 적이 너무 많이 있는 상황일 경우에는 오히려 기술 사용 도중에 죽어버리기도 하니 무조건 선궁을 쓰고 들어가야 한다. 기존에는 사용시부터 공속&이속 버프가 동시에 들어가면서 지금보다 궁의 이동속도가 기본 이동속도보다 빨랐다. 하지만, 잠수함 패치로 인해 궁이 끝나고 공속버프&이속버프가 들어오기에 기존처럼 플레이하려면 스피드업을 채용해야 한다. 유나이트 기술을 사용할 때 팁은, 웬만해선 드래곤다이브로 적을 모아놓고 쓰는 것을 추천한다. 유나이트 기술이 적진을 붕괴시키는 데에 특화되어 있다는 것은 바꿔 말하면 적들이 흩어지기 때문에 다수의 적들을 싹쓸이하기 어려워진다는 것이다. == 역사 == 한카리아스는 포켓몬 유나이트 출시와 동시에 참전한 포켓몬이다. * '''Pokémon UNITE 출시 이후''' 당시 한카리아스는 최악의 포켓몬으로 평가 받았다. 진화하는 데에 고레벨이 필요한 것도 있었고, 전체적인 스킬의 공격력이 모두 낮았기 때문이다. 때문에 당시에는 한카리아스를 채택하고서 팀원들의 캐리 없이 이기는 것이 거의 불가능할 정도였다. * '''2021년 12월 9일 패치 이후''' 진화레벨과 기술습득 레벨이 1씩 낮아지면서 최종진화를 앞당길 수 있게 되었고, 이로 인해 정글 포지션에 대한 의존성 또한 낮아져, 이제는 못 써먹는 수준에서 해볼 만한 수준으로 상황이 나아졌다는 희망적인 분석도 나왔으나, 역시 당시 최하위 티어를 차지했다. 딥상어동일 때 너무 약한 것은 변하지 않아 라인보단 정글로 가는게 맞는데, 정글 경쟁자는 정말 많고 추가된 신규 포켓몬들 마저도 정글로 가면 효율이 좋아서 한카리아스한테 줄 정글 자리는 없었다. 똑같은 버프를 받은 가디안은 5레벨 킬리아로 진화하면 사이코쇼크 혹은 미래예지를 배우며 라인전 유지력, 갱킹력이 확실히 올라가고, 맘모꾸리는 애초에 라인전이 강한 편이어서 늦은 진화가 덜 체감되는데 비해 한카리아스는 아직 갈 길이 멀다는 평가였다. * '''2022년 1월 20일 패치 이후''' 한카리아스의 상황이 고난하다는 걸 눈치챘는지 한카리아스의 기술이 대폭 상향을 받았다. * 구멍파기 기술에 방어 및 특수방어가 잠시 올라가는 효과가 추가되었으며, 구멍파기+ 기술로 업그레이드 후 지면에서 뚫고 나올 때 상대편 포켓몬을 더 멀리 날려버리는 효과가 추가되었다. 지진 기술에 지속 데미지, 이동 속도 감소 효과가 추가되었으며, 지진+ 기술로 업그레이드 후 기술의 범위 안에서도 특히 가까이에 있는 상대편 포켓몬의 이동 속도를 더욱 떨어뜨리는 효과가 추가되었다. *드래곤다이브 기술에 드래곤크루 연계 시, 드래곤크루로 상대편 포켓몬의 이동 속도를 떨어뜨리는 효과가 강해졌으며, 기술을 사용하는 동안 받는 데미지가 감소하는 효과가 추가되었으며, 드래곤다이브+ 기술로 업그레이드 후 기술을 사용하는 동안 방해를 받지 않게 변경되었다. 드래곤크루 기술의 2번째 공격이 상대편 포켓몬의 이동 속도를 잠시동안 떨어뜨리는 효과로 변경되었다. 이 버프로 만년 최하위 티어에 위치한 한카리아스의 기술 상향으로 진입 능력과 교전 능력이 예전보다 횔씬 좋아져서 반등에 성공했다. 그러나 동시에 배틀 아이템인 둔화스모크도 버프가 되어 탱커와 서포터들의 둔화스모크의 채용률이 상당히 올라갔으며, 강화평타를 이용해 상대와 최대한 근접해서 싸워야하는 한카리아스에게는 좋지 않은 환경이라 활약하기에는 힘든 편이다. * '''2022년 1월 20일 패치 이후''' 구멍파기의 오류가 수정되었다. * ''' 2022년 10월 28일 패치 이후''' 전구간에서 한카리아스의 공격력이 증가했고, 드래곤크루의 데미지와 슬로우 효과가 증가했다. 이 패치로 한카리아스의 안그래도 강했던 공격력이 더욱 강해졌고 슬로우 효과가 강화되어 근접전에서 더 강해짐에 따라 게임 출시 후 처음으로 전성기를 맞이하고 있다고 봐도 될 정도로 강해졌다.[* 하지만 비주류 픽인 것은 여전하다.] == 평가 == 험난한 진화 과정을 거쳐 한카리아스로 진화하고 나서야 본 성능을 발휘하는 전형적인 왕귀형 케이스의 포켓몬. 기본 성능과 유나이트 기술의 격차가 워낙 있는지라 유나이트 기술의 의존도가 극단적으로 높은 대표적인 포켓몬이기도 하다. 현재 입지는 픽률은 매우 낮으나 승률은 은근 높은, 전형적인 장인 포켓몬이다. 또한 2022년 11월 12일 기준으로 픽률이 지금까지의 한카리아스의 픽률을 뚫고 올라갔다...만 다시 내려갔다. 어쨌든 버프 전 마릴리처럼 고인 포켓몬이라 부르기엔 무리가 있다. 비슷한 근접 딜탱커인 마기라스의 출시 이후 계속 마기라스보다 저점을 유지하고 있다. --물론 지금은 사이좋게 비주류 픽이다-- 전투력 자체는 마기라스보다 떨어지지만 한타 파괴력, 오브젝트 버스트 능력은 독보적이기에 특화 분야가 다르다고 할 수 있다. === 장점 === * '''우수한 일대일 성능''' 우선 한카리아스 같은 경우 밸런스형 포켓몬중에서도 최상위권을 차지할 정도로 능력치가 좋게 배정이 되어있는 포켓몬으로 특히 공격은 밸런스형 포켓몬중 전체 3위이다.[* 1위는 자시안, 2위는 망나뇽.]또한 일반공격 스택을 5번 다 채울 경우 공격속도가 굉장히 빨라져 남들 평타 한 대 치고 있을 때 자신은 2~3대를 칠 수 있을만큼 dps 능력이 뛰어나며 평타로 준 데미지를 흡혈하기까지 하니 개인전투에서 한카리아스는 독보적인 성능을 보여준다.[* 하지만 전체 포켓몬을 놓고 보면 한카리아스는 일대일 성능이 최상위권이라 하기엔 좀 그렇고 자시안, 매시붕, 마기라스 같은 1대1 최강자들보단 한 단계 아래라고 보면 된다.] * ''' 고성능 유나이트 기술''' 한카리아스의 유나이트 기술은 다른 유나이트 기술과 비교해 보았을 때 최강의 유나이트 기술이라고 할 정도로 성능이 좋다. 일단 공격 범위가 넓으며 한방 한방의 데미지는 무시할 수 없고, 이걸 연속으로 맞을 경우 결국 딸피가 남거나 죽기 때문에 따라서 적 포켓몬들은 잠시 물러서거나 무빙을 하는쪽으로 유나이트 기술을 피하려고 하지만 이럴 경우 상대방의 진영은 결국 붕괴가 될 수 밖에 없다. 특히 마지막 일격은 데미지가 가장 강력한데 추가로 공중에 띄우기까지 하니 여러명을 이 일격으로 맞출경우 한타 승리에 훨씬 가까워 질 수 있다.[* 거기다가 유나이트를 쓴 후엔 공속 버프 덕분에 1초에 3번을 때릴 정도로 만렙 에이스번을 연상케하는 엄청난 공격속도를 보여주며 한카리아스가 오로지 평타와 순수 스펙만으로 싸우는 --정직한-- 포켓몬인 만큼 유나이트 기술의 공속버프와 이속버프는 한카리아스와 그야말로 찰떡궁합이다. 에이스번 역시 순수 평타딜러인 만큼 뛰어난 궁합을 보여주지만 한타에서 잘못 물리면 순삭당하는 물몸 원딜러 특성상 이를 잘 활용하기는 꽤나 어렵다는 점을 고려해봤을 때 한카리아스만큼 한타에서 유나이트 버프가 잘 맞는 포켓몬은 없다고 봐도 무방하다.] 한카리아스가 혼자서 질 거 같은 다인전을 이기는 상황으로 뒤집을 수 있는 이유도 바로 이 노발대발러시 때문이다. * '''평타 딜러의 이점''' 한카리아스의 딜량의 대부분은 강화 평타에서 나오기 때문에 스킬 쿨타임이 돌고 있는 와중에도 구애받지 않고 제 성능을 낼 수 있다. 스킬 쿨타임 자체의 쿨타임도 짧은 편인 것과 더불어 강화 평타의 지속 딜량이 꽤 높기 때문에 상대방 탱커에 붙어서 강화 평타로 계속 때리면 상대 탱커 입장에서 꽤 아프다. 이러한 특성 덕분에 한카리아스는 스피드형 포켓몬같이 순간딜은 강하나 지속딜이 약한 포켓몬들이 탱커처리에 쩔쩔매거나 오브젝트 상대로 할 수 있는게 거의 없는 것과 다르게 오브젝트 처리 능력과 탱커 처리 능력이 준수하다. * '''독보적인 에픽 포켓몬 처리 능력''' 한카리아스의 전문 분야. 한카리아스는 강화 공격이 가져오는 효과와 기본적으로 착용하는 힘의머리띠로 인해 갈가부기나 로토무 등 에픽 포켓몬을 혼자서도 빠르게 잡을 수 있다.[* 에나비꼬리를 장착했다면 혼자서 6초만에(!) 갈가부기를 잡는 기현상을 볼 수 있다.] 특히 평타의 HP 회복 효과때문에 에픽 포켓몬이 주는 딜을 대부분 상쇄하고 오히려 포션으로 만들어 버릴 수 있는 것도 장점이다. 덕분에 오브젝트 싸움에서 한카리아스가 있는 팀이 우위를 점하는데다가 빠르게 갈가부기나 로토무를 처리해서 보통이라면 하기 힘든 3번째 갈가부기나 로토무도 안정적으로 먹을 수 있다는 점은 큰 장점이다. === 단점 === * '''근접에서만 발휘되는 성능''' 한카리아스의 핵심적인 단점. 평타가 딜의 중점인 한카리아스는 근접하지 못 할 경우에는 할 수 있는 게 아무것도 없다. 그렇다고 해서 이동기의 성능이 망나뇽, 루카리오에 필적할 정도로 좋은 것도 아니기 때문에 한카리아스가 근접하는 상황을 유연히 대응하기 좋은 개굴닌자나 에이스번 같은 포켓몬들에게는 거의 카운터 수준으로 힘을 쓰지 못한다. * '''순간딜링의 부재''' 한카리아스는 평타 딜링에 의존하는 포켓몬이기 때문에 순간적인 딜은 비교적 떨어진다. 한카리아스의 유나이트 기술은 어느정도 순간딜링이 가능하지만, 유나이트 기술의 부재에서도 임해야 하는 전투는 충분히 많기 때문에 결론적으로는 이 단점이 굉장히 뼈아프다. 다른 밸런스형 포켓몬들은 스킬들로 인한 순간 폭딜 능력을 갖추고 있는 반면 유독 한카리아스는 심하다 싶을 정도로 평타딜러로만 설계가 되어 있어 본인의 dps를 상회하는 교전에서 늘상 딜교 손해를 보는 경우가 더 많다. * '''생각보다 낮은 생존력''' 일단 기초 HP는 상당히 탄탄한 편이기에 마기라스처럼 유사 탱커 역할을 할 수 있을 것 같지만, 마기라스와는 비교도 안되게 정말 빨리 녹는다. 한카리아스는 순식간에 딜을 넣어 교전을 빠르게 끝내버리는 포켓몬이 아니라 평타 딜러, 즉 지속 딜러이기 때문에 싸움을 질질 끌어 매 교전마다 적에게 받는 피해가 상당히 많다. 이러한 유형의 포켓몬은 생존력과 유지력을 뒷받침해줄 생존기와 유지기가 있어야 하는 것인데, '''문제는 이 점에서 나사가 빠져 있다는 것이다.''' 쉴드능력은 13레벨 구멍파기에나 약간 생성되는 수준이며[* 물론 쉴드는 극소량이며, 유틸성 자체가 구멍파기가 현저히 낮기 때문에 드다드크 트리에 비해 밀린다.], 자힐 기능도 체감이 전혀 안 되는 수준이다. 이는 사실상 기초 HP만으로 버티란 소리이기 때문에 무턱대고 적진에 들어가면 유나이트 기술이 없는 이상 갈려나가는 경우가 허다하다. 이동기가 쿨타임이 긴 편이라 치고 빠지는 식의 플레이도 불가능하다. 초보 유저들이 스펙만 믿고 달려들어 무쌍찍는 상상을 하는데 현실은 이렇다고 볼 수 있다. * '''CC기 취약성''' 근접 캐릭터의 특성상 다수의 CC기가 날아오면 할게 없기 때문에 CC기를 빼고 진입하거나 만병통치제를 가지고 진입해야 허무하게 막히는 일을 줄일 수 있다. 사이코쇼크로 행동 불가를 먹이는 [[에브이(Pokémon UNITE)|에브이]]와, 성스러운칼로 행동 불가를 먹이는 [[자시안(Pokémon UNITE)|자시안]] 등이 현재 한카리아스의 주된 카운터이다. * '''한카리아스로 진화하기 전까지의 무능력함''' 한카리아스는 진화를 하는가 하지 않는가에 따라 성능이 많이 갈리는 대표적인 포켓몬중 하나이며 그렇기에 진화 전까지는 무능력한 모습을 자주 보인다. 한바이트는 HP도 애매하면서 극단적인 근접전이 강제되며 한카리아스의 뿌리답게 공속은 빠르더라도 딜링 능력까지 좋다고 보기엔 애매하기 때문에 계속 어중간하다. 9레벨에 도달해 최종진화를 할 경우에야 비로서 진정한 활약이 가능한지라 성장이 느리다는 단점이 더더욱 크게 작용하게 된다. 정글을 간다고 쳐도 7레벨 이전까진 갱킹에서 활약하기 어렵고, 라인으로 간다면 팀원의 고혈을 빨아먹으며 성장해야 한다. * '''높은 유나이트 기술 의존도''' 한카리아스의 유나이트 기술 노발대발러시는 성능도 우수하고 기댓값도 큰 좋은 기술이다. 문제는 이런 우수한 기술을 가지는 게 마냥 좋을 수가 없는데 바로 유나이트 기술 의존도가 너무 높아진다는 것이다. 당장 한카리아스의 한타 능력과 역전능력이 좋다고 평가를 받는 것도, 원거리 딜링이 주력인 어택형 포켓몬들이나 기동성이 훌룡한 스피드형 포켓몬들에게 자신의 뚜벅이란 단점을 일시적으로 없애고 다가가 큰 위협을 가할 수 있는 것도 바로 유나이트 기술이 있기에 가능한 것이다.[* 당장 유저들이 한카리아스를 채용하는 이유도 유나이트 기술만 보고 채용하는 경우가 대다수.]그렇기에 유나이트 기술을 가지고 있지 않는 상황에서 난전이 열릴 경우에 안그래도 각팀의 포켓몬들이 여러 스킬들로 인한 순간 폭딜로 녹기 십상인데 한카리아스라고 별반 다를 게 없는지라 종종 무기력하게 죽는 모습도 자주 일어난다.[* 상태 이상 기술들이 자주 들어오는 교전에서는 주력기인 평타로 지속딜링 하는 것이 거의 불가능하고, 흡혈이 여러 포켓몬들이 쏟아붓는 딜을 상쇄시키지 못해 금방 죽어버린다.] 때문에 유나이트 기술이 허무하게 빠지거나 그다지 좋지 않은 상황에서 사용하게 되었을 때 다른 포켓몬들보다 훨씬 리스크가 크니, 상황을 보고 잘 판단하는 능력이 중요하다. === 총평 === 출중한 능력치와 더불어 강력한 유나이트 기술, 빠른 오브젝트 처리 능력을 장점으로 삼는 포켓몬으로, 다른 밸런스형 포켓몬들과 차별화되는 점은 유나이트 기술을 제외하면 오로지 평타만을 이용해 싸우는 포켓몬이라는 것이다. 때문에 '''기술이 빠진 후의 현타라는 개념 자체가 존재하지 않으며,''' 그렇다고 해서 딜링 능력이 절대로 약한 것도 아니다. 똑같이 평타가 주요딜인 에이스번처럼 DPS능력이 매우 훌륭하며, 에이스번과는 다르게 밸런스형이기에 몸빵 능력도 어느정도 갖춘지라 1대1 근접 맞다이에선 나름대로 강한 편이다. 하지만 위의 장점들을 발휘하려면 유나이트 기술을 사용할 수 있고 몸이 튼튼해지게 되는 9레벨까지 육성해줘야 하는데, 한카리아스의 9레벨은 갈가부기를 먹기 전엔 완성하기 어려우며, 초반 성능이 약해 적에게 적극적으로 견제당할 경우 성장이 어려워지게 된다. 이 경우 한카리아스로 성장해도 레벨 차이를 극복하지 못해 딜링을 뽑아내기 힘들어진다. 사실 그보다 큰 문제는 '''한타나 교전에서 드러나는 하자가 상당히 많다는 것이다.''' 전무한 순간딜링, 애매한 이동기, 비교적 낮은 유지력, 왕귀형이라는 이 네가지 단점이 한카리아스의 장점을 죄다 씹어버린다. 일단 순간딜링능력이 없다는 것은 폭딜이 오고가는 교전 속에서 영향력을 행사하기 쉽지 않다는 것이고, 극단적인 근거리 포켓몬이라서 모든 공격을 다 맞아야 한다. 그런 주제에 자힐, 실드 등의 유지력을 올려주는 효과도 부실해서 달코퀸이나 마기라스처럼 좋은 유지력을 통해 오랫동안 살아남아 딜을 누적시키기에도 힘들다. 피흡기능이 있긴 하지만 달코퀸이나 마기라스의 유지능력에 비하면 코딱지만한 수준이다. 지속 딜러 특성상 괴력몬, 킬가르도 같이 암살에 특화된 플레이도 당연히 불가능한데, 애초에 암살자로 사용한다는 게 말이 안되는 게 한카리아스의 이동기의 성능은 스피드형과는 비교가 불가능하고 같은 밸런스형인 망나뇽, 달코퀸, 마기라스, 리자몽, 루카리오에 비해도 한참 모자라다. 원딜러라고 해도 상황에 따라 한카리아스의 이동기로 붙기 어려운 경우도 자주 있는데, 한카리아스는 방해무효나 방해내성 효과를 스스로 낼 수 없어서 나인테일, 에브이 같은 cc기를 통해 자신을 보호하는 원딜러들에게 붙기가 힘들고, 특히 에이스번이나 개굴닌자같은 한카리아스의 기동력을 상회하는 포켓몬에게는 일단 한대부터 치기가 굉장히 힘들다. 그리고 니트로차지 마폭시나 두트리오 같은 애들처럼 노발대발러시가 없다면 시스템상 무슨 짓거리를 해도 절대로 붙을 수 없는 포켓몬도 존재한다. 한카리아스의 장점은, 우월한 DPS로 인해 오브젝트 버스트에 있어서는 병상첨병 팬텀에 맞먹는 독보적인 성능을 보여주며[* 지금은 병첨팬텀이 너프를 먹은 후로 사장되어버려 사실상 이 분야에선 한카리아스가 1인자다.], 적의 기술이 한카리아스가 충분히 버틸 만하거나 적의 기술이 다 빠진 경우에는 지속적으로 딜을 넣을 수 있는 한카리아스가 확실히 제 성능을 낼 수 있다. 무엇보다 유나이트 기술도 순간딜링, 피해감소, 이동기라는 한카리아스의 대표적인 단점을 순간적으로 없애버릴 수 있는 기술이므로, 한카리아스가 그나마 저평가되지만은 않는다고 할 수 있다. --픽률 낮은 애들 중에선 항상 최강-- 정리하자면 유나이트 뒤집기에 대성공하거나 특정 상황[* 이동기가 빠진 적들, 한카리아스가 상대하기 수월한 디펜스형 포켓몬 등과 교전할 때, 혹은 골대를 수비하는 상황]이 따라줄 경우 보여주는 능력이 좋으나 언제까지나 그런 상황이 따라오기는 힘들며, 근접 포켓몬이 가지고 있는 한계와 이동기 자체의 성능 또한 좋지 않아서 도망과 진입 둘 중 하나만 선택을 해야하는 등 플레이어에게는 언제나 끝없는 판단 능력을 요구해 운영하기 힘들어 난이도가 높은 포켓몬에 속한다.[* 실제로 이 때문에 UniteAPI 같은 사이트에서 한카리아스를 보면 픽률은 최하위권이지만 승률은 의외로 상위권에 속한다. 즉 전형적인 장인챔의 위치에 있다.] 동시에 이와는 대비되는 강력한 유나이트 기술 덕분에 유나이트 기술의 비중이 매우 큰 대표적인 포켓몬이기도 하다. == 운용 == 한카리아스의 핵심운용은 '''교전보다는 메인 오브젝트 탈환에 중점을 둬야한다.''' 한카리아스가 가지는 강화 공격이 프리딜을 허용하는 오브젝트를 무섭도록 잘 잡는데 특히 갈가부기나 썬더같이 팀을 좌지우지하는 핵심 오브젝트를 엄청나게 빨리 잡을 수 있다. 또한 플레이할때는 위험을 감수하면서, 과감하지만 정교하게 이니시에이팅을 해서 한타를 승리로 이끌어야한다. 위에서 서술했듯 프리딜을 허용하는 탱커들을 무섭도록 빠르게 녹인다. 허나 지속딜링 능력은 매우 강한 대신 강력한 한방이 없기 때문에 스틸에 매우 취약하므로 상황을 봐가면서 상대팀들이 아직 모이기 전일 경우 빨리 잡을 수 있도록 팀원에게 도움을 요청하여 같이 잡거나 아니면 각팀들이 난전 도중 혼란스러울 와중에 몰래 메인 오브젝트를 적팀이 알아차리기도 전에 빼먹어서 팀을 보강하는 플레이를 해주는 것이 좋다.[* 그렇다고 바보같이 오브젝트 있다고 난전에 계속 참가하지 않고 심지어 유나이트 기술이 있어도 무시하면서 계속 오브젝트만 잡고 있지는 말자. 한카리아스는 한타 능력도 굉장히 좋은 편이고 무엇보다 포켓몬 유나이트에서는 난전에서 이길 때 따라오는 이득이 크다. 오브젝트는 뒤에 천천히 잡아도 늦지 않다.] 라인은 최종진화로 빠르게 도달이 가능한 미드 라인이 가장 좋다. 한카리아스로 최종진화만 하면 트레이너의 실력에 따라 다재다능한 역할을 소화하는 강력한 포켓몬이지만, 진화 전인 딥상어동과 한바이트 상태에서는 몸도 약하고 애매한 성능만을 보여주기 때문에 미드 라인에 갈 경우 교전도 덜 하게 되고 싸운다 해도 렙빨로 밀어붙일 수 있어 약한 타이밍을 빠르게 보안이 가능하다 하지만 굳이 중앙 에리어가 아니라 라인으로 가도 크게 문제는 없다. 진화는 평소보다 느리겠지만 그래도 안정적이게 성장할 수 있고 초반이 약한 포켓몬치고 생각보다 초반 교전에서 센 모습도 보여주므로 딥상어동을 무시하고 방심하다 곤혹을 치르는 경우도 많다.[* 특히 바텀 중앙 다부니 교전일때 괜히 근접해서 싸우다가 오히려 피만 작살나고 후퇴하거나 최악의 경우 '''잡혀서 경험치 헌납하는 경우'''가 대다수다.] 단 어디까지나 바텀 라인일 경우에 생기는 이점이고 탑 라인은 원거리 포켓몬과 라인전이 강력한 포켓몬들이 득실대니 초반을 넘기기 굉장히 힘드므로 탑 라인은 웬만해서는 가지 말도록 하자. 지닌물건은 딥상어동과 한바이트 상태인 약한 초반에 도움이 될 지닌물건들을 착용하고[* 어차피 한카리아스로 진화하면 그자체로도 성능이 훌륭하니 지닌물건에 크게 영향을 받지 않고 후반에 도움이 될 지닌물건을 차봐야 초반이 제일 중요한 포켓몬 유나이트에서 너무 리스크가 큰 편이다.] 한카리아스까지 성장을 목표로 너무 무리하지 않고 각을 잘 보는 것이 좋다. 배틀아이템은 팀을 꾸려서한다면 주 목적인 오브젝트 탈환을 더 빠르게하기위해 에나비꼬리를, 솔랭이면 마땅한 이동기도 없고 CC기에 취약하기에 유틸성을 올려주기 위한 스피드업이나 탈출버튼, 또는 만병통치약을 들어주는 게 정석이지만, 회복약을 들어 아예 한카리아스의 약한 초중반을 제대로 보안하고 평타 치기도 전에 터지는 불상사를 막는 것도 좋은 선택이다. === 드래곤다이브 · 드래곤클로 빌드 === |||||| '''{{{#white 지닌물건}}}''' |||||| || [[파일:유나이트_연타스카프.png|width=70px]] || [[파일:유나이트_기합의머리띠.png|width=70px]] || [[파일:유나이트_힘의머리띠.png|width=70px]] || || '''{{{#white 배틀아이템}}}''' || '''{{{#white 5레벨 기술}}}''' || '''{{{#white 7레벨 기술}}}''' || || [[파일:유나이트_탈출버튼.png|width=70px]] || [[파일:유나이트_드래곤다이브.png|width=70px]] || [[파일:유나이트_드래곤크루.png|width=70px]] || |||||| '''{{{#white 권장 라인}}}''' |||||| |||||| [[파일:유나이트_바텀라인.png|width=30px]] |||||| === 구멍파기 · 지진 빌드 === |||||| '''{{{#white 지닌물건}}}''' |||||| || [[파일:유나이트_힘의머리띠.png|width=70px]] || [[파일:유나이트_초점렌즈.png|width=70px]] || [[파일:유나이트_연타스카프.png|width=70px]] || || '''{{{#white 배틀아이템}}}''' || '''{{{#white 5레벨 기술}}}''' || '''{{{#white 7레벨 기술}}}''' || || [[파일:유나이트_플러스파워.png|width=70px]] || [[파일:유나이트_구멍파기.png|width=70px]] || [[파일:유나이트_지진.png|width=70px]] || |||||| '''{{{#white 권장 라인}}}''' |||||| |||||| [[파일:유나이트_중앙라인.png|width=30px]] |||||| == 홀로웨어 == === 비치스타일: 한카리아스 === |||| [[파일:유나이트_홀로웨어_일반.png|width=40]] |||| || [[파일:유나이트_한카리아스_비치스타일.png|width=250px]] || [[파일:유나이트_한카리아스_비치스타일_2.png|width=180px]] || |||| {{{#white 지르코 트레이더스}}} [[파일:에오스_젬.png|width=20]] {{{#white 350}}}[br][[파일:유나이트_홀로웨어_티켓.png]] {{{#white 18}}} |||| === 잠복스타일: 한카리아스 === |||| [[파일:유나이트_홀로웨어_환상.png|width=40]] |||| || [[파일:유나이트_한카리아스_잠복스타일.png|width=250px]] || [[파일:유나이트_한카리아스_잠복스타일_2.png|width=180px]] || |||| {{{#white 에너지 리워드에서}}} [[파일:에너지_리워드.png|width=20px]] {{{#white 0.8%로 출현}}} |||| |||| '''{{{#C458CD 이펙트 일람:}}}'''[br]KO 이펙트[br]이동 이펙트 |||| === 홀리데이스타일: 한카리아스 === |||| [[파일:유나이트_홀로웨어_일반.png|width=40]] |||| || [[파일:유나이트_한카리아스_홀리데이스타일.png|width=250px]] || [[파일:유나이트_한카리아스_홀리데이스타일_2.png|width=180px]] || |||| {{{#white 홀리데이 기간 한정 판매}}} [[파일:에오스_젬.png|width=20]] {{{#white 400}}} |||| === 가면스타일: 한카리아스 === |||| [[파일:유나이트_홀로웨어_일반.png|width=40]] |||| || [[파일:유나이트_한카리아스_가면스타일.png|width=250px]] || [[파일:유나이트_한카리아스_가면스타일_2.png|width=180px]] || |||| {{{#white 이벤트 '''UNITE 온 스테이지''' 보상}}} |||| === 무술스타일: 한카리아스 === |||| [[파일:유나이트_홀로웨어_일반.png|width=40]] |||| || [[파일:유나이트_한카리아스_무술스타일.png|width=250px]] || [[파일:유나이트_한카리아스_무술스타일_2.png|width=180px]] || |||| {{{#white 이벤트 '''파이터 등장!''' 보상}}} |||| == 기타 == * [[루카리오(Pokémon UNITE)|루카리오]], [[맘모꾸리(Pokémon UNITE)|맘모꾸리]]와 함께 4세대에 추가된 포켓몬이다. 다만, [[맘모꾸리]]는 진화 전 포켓몬들이 이전 세대 출신. * 본작에 등장하는 한카리아스는 등지느러미가 갈라진 수컷의 모습이고 반면 기간제 이벤트 봇전인 난입배틀에 나오는 난천의 한카리아스는 원작을 반영하여 암컷의 모습이다. 따라서 [[한지우]]의 진화전인 [[한지우/포켓몬/DP#s-2.6|딥상어동]] 같이 챔피언이 되고자 하는 도전자에 가까운걸 반영했다는 느낌도 준다.--하지만 난입 배틀을 보면 난천을 포함한 챔피언들은 진짜가 아니라 [[시뮬레이터]]에 가깝고 영 좋지 않은 AI로 보인다-- * 4레벨 딥상어동으로 썬더, 레쿠쟈를 혼자 잡을 수 있다.--랭크 배틀에서 하진 말자-- [include(틀:문서 가져옴,title=Pokémon UNITE/플레이어블 포켓몬,version=1727)] [[분류:Pokémon UNITE/플레이어블 포켓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