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개항기 조선과 타국이 맺은 조약)] ||<-2> [[파일:대한제국 국기.svg|width=100%]] || [[파일:덴마크 국기.svg|width=100%]] || ||<-2> [[대한제국]] || [[덴마크|덴마크 왕국]]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29176e, #000 40%, #000 60%, #c7042c)" '''{{{#fff 조정수호통상조약 | 朝丁修好通商條約}}}''' }}} || || '''{{{#ffd800 한국어}}}''' ||<-2> 조정수호통상조약(朝丁修好通商條約) || || '''{{{#fff 덴마크어}}}''' ||<-2> Venskabs-og handelstraktat mellem Danmark og Korea 1902 || [목차] == 개요 == 1902년 [[대한제국]]과 [[덴마크 왕국]]이 체결한 수호통상조약이다. == 체결 == 1902년 대한제국이 덴마크 왕국과 조약을 체결할 때, 외부대신 임시서리인 유기환을 특명전권대신으로 임명하였고, 덴마크에서는 [[러시아 제국]]의 궁내부 특관인 특간전권공사대신 파블로프를 덴마크의 특명전권대신으로 임명하여 조약을 체결하였다. 이 조약은 1902년에 체결되었고, 이듬해인 1903년에 발효되었다. 이 조약이 발효되고 2년 뒤에 일본에 의해 강압적으로 [[을사조약]]이 체결되어, 대한제국은 외교권을 일본에 빼앗기게 되었다. 대한제국이 다른 국가와 외교적으로 조약을 맺은 것은 이 조약이 사실상 마지막이다. == 이후 == 1948년 [[대한민국 정부]] 수립 후 [[미국]], [[영국]], [[프랑스]], [[독일]], [[이탈리아]], [[벨기에]], [[오스트리아]]와 수교할 때는 조선 및 대한제국이 이들 국가와 수호통상조약을 체결할 때로 소급하여 계산했다. 한O수교 백몇년 하는 것은 다 이렇게 [[개화기]]까지 소급된 것들이다. 하지만 예외적으로, 덴마크와 수교할 때는 조정수호통상조약을 기준점으로 삼지 않았고 1959년을 공식적인 수교 연도로 삼고 있다. [[분류:1902년 협정]][[분류:고종 시대/사건 사고]][[분류:대한제국의 사건사고]][[분류:덴마크의 역사]][[분류:덴마크의 외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