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1747년 출생]][[분류:1828년 사망]][[분류:청주 한씨]][[분류:조선의 문관]][[분류:영의정]][[분류:좌의정]][[분류:우의정]][[분류:노론]] [include(틀:역대 조선 영의정(순조-고종))] ---- || '''{{{#f0ad73 한용귀 관련 틀}}}'''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include(틀:역대 조선 정승(순조-고종))] ---- [include(틀:노론)] ---- }}} || ---- ||<-2> {{{#!wiki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960420, #b82642 20%, #b82642 80%, #960420)" '''[[영의정|{{{#fff 조선 영의정}}}]][br]익정공(翼貞公)[br]{{{+1 한용귀}}}[br]韓用龜'''}}} || || '''출생''' ||[[1747년]]([[영조]] 23) || || '''사망''' ||[[1828년]]([[순조]] 28) || || '''[[시호|{{{#fff 시호}}}]]''' ||익정(翼貞) || || '''[[본관|{{{#fff 본관}}}]]''' ||[[청주 한씨]][* 양절공파(襄節公派)-공안공파(恭安公派)] || || '''[[이름|{{{#fff 이름}}}]]''' ||용구(用九) → 용귀(用龜) || || '''[[자(이름)|{{{#fff 자}}}]]''' ||계형(季亨) || || '''[[아호|{{{#fff 호}}}]]''' ||만오(晩悟) || || '''[[부모|{{{#fff 부모}}}]]''' ||부친 - 한후유(韓後裕, {{{-3 1713 ~ 1791}}}) 모친 - [[여흥 민씨]] 민익수(閔翼洙)의 딸 || || '''[[부인|{{{#fff 부인}}}]]''' ||[[전주 이씨]] 이명중(李明中)의 딸 || || '''[[자녀|{{{#fff 자녀}}}]]''' ||장남 - 한경리(韓景履) || [목차] [clearfix] == 개요 ==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청주, 초명은 용구(用九). 자는 계형(季亨), 호는 만오(晩悟). 시호는 익정(翼貞)이다. [[서매수]], [[김조순]], [[남공철]], [[이상황]], [[심상규]] 등과 함께 노론 [[시파]] 실세 중 한명이며 [[순조]] 때 [[영의정]]에 이르렀다. [[훈구파]] 대신인 좌의정 [[한확]]의 후손이며, [[노론]]의 핵심인 영의정 [[한익모]]와도 가까운 친척이었다. [[정조(조선)|정조]]의 신임을 받은 노론 대신 중에 한명이다. == 생애 == [[영조]] 때 관직 생활을 시작해서, 정조 때 문과에 급제했다. 사간원 정언, 홍문관 응교와 부사과를 지내고 이후 이조참의와 사간원 대사간, 이조참의, 동부승지, 평안도관찰사를 거쳐 이조참판이 되었다. 후에 재상에 오르고 순조 때 공조판서, 형조판서, 의정부 우참찬, 좌참찬, 빈전제조, 예조판서, 이조판서, 사헌부 대사헌, 수원부 유수, 실록청 당상, 전라도관찰사, 약방제조, 판의금부사 등을 지냈다. 이후 우의정과 좌의정을 거쳐 1821년 영의정으로 승진하고 [[효의왕후]]의 장례를 치른 다음 사퇴하였다. 시호는 익정(翼貞)이다. 서매수, 남공철 등과 노론 시파 세력 중 한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