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한스 프리체}}}[br]Hans Fritzsche''' || |||| {{{#!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Hans_Fritzsche.jpg|width=100%]]}}} || ||<#666> {{{#FFF 본명}}} ||<(>'''August Franz Anton Hans Fritzsche'''[br]아우구스트 프란츠 안톤 한스 프리체 || ||<#666> {{{#FFF 출생}}} ||<(>[[1900년]] [[4월 21일]]|| ||<#666> {{{#FFF 사망}}} ||<(>[[1953년]] [[9월 27일]](향년 53세)|| ||<#666> {{{#FFF 정당}}} ||<(>[include(틀:국가사회주의 독일 노동자당)]|| [목차] [clearfix] == 개요 == 한스 프리체(1900년 ~ 1953년)는 [[나치 독일]]의 관료이자 [[성우]](...)[* 정말 목소리 대역을 전담했기 때문에 일단 성우와 같은 일을 한 건 맞다.]이다. == 생애 == [[루르]] 지방의 [[보훔]]에서 태어난 프리체는 [[1917년]]에 육군에 입대했고 전후 [[베를린]]과 [[그라이프스발트]]의 대학에 재학하다 중퇴했다. [[1923년]] 후겐베르크 출판사의 기자가 되었고 [[1932년]] 정부의 무선 뉴스 기관에서 일일 프로그램을 시작했다. [[제2차 세계대전]] 당시 단지 [[파울 요제프 괴벨스]]와 목소리가 똑같다는 이유로 징발되어 국민계몽선전부에 배치되었다. 징발된 이후에는 고도의 훈련을 거쳐 괴벨스의 말투를 완벽하게 흉내낼 수 있게 되었으며 괴벨스가 써 준 대본을 괴벨스와 똑같은 말투로 라디오 방송을 통해 읽는 역할만 전담했다. [[아돌프 히틀러]]가 사망할 때 베를린 [[총통엄폐호]]에 있었으며 거기서 [[소련군]]에 항복했다. 이후 [[뉘른베르크 국제군사재판]]에 회부되었으나 '''종이에 적힌 글만 읽었을 뿐'''이라는 혐의로 훈방되었다. 이는 [[얄마르 샤흐트]], [[프란츠 폰 파펜]]과 더불어 뉘른베르크 전범재판에서 훈방된 단 3명 뿐인 사례로 한스 프리체 등 이 3명 이외의 피고들은 다만 몇 년이라도 실형을 복역하고 가석방 되는 처벌 이상의 처벌을 받았다. 얼마나 괴벨스 연기를 잘했는지 이 사람이 뉘른베르크 국제군사재판에 나타나자 [[헤르만 괴링]] 등 [[나치 독일]]의 고위 인사였던 피고들도 "쟤 누구임?" 하는 반응이었다. 하지만 그렇다고 아무 벌도 안 받은 것은 아니며 서독에서 따로 치러진 슈투트가르트 재판으로 9년형을 선고받고 수감되었으나 암이 발병해서 병보석으로 가석방 되었다. 그리고 가석방 된 지 얼마 못 가 사망했다. 목소리만 빌려줬는데 옥살이를 한 것이 억울해 보인다면 억울해보일 수도 있지만 자세히 보면 자발적으로 [[나치당]]과 돌격대에 가입한 것도 모자라 나치 법률 연구기관의 회원으로 있었고, 전쟁 말기에는 대중계몽선전성 국장 자리까지 맡았기에 완전히 무고하다고 보기엔 어렵다.[* 굳이 따지자면 직접적인 학살 등에 연루되지는 않았을 뿐이다.] [[분류:1900년 출생]][[분류:1953년 사망]][[분류:나치당원]][[분류:독일의 성우]][[분류:암으로 죽은 인물]][[분류:보훔 출신 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