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대한민국의 음악 프로듀서]][[분류:대한민국의 남성 기업인]][[분류:1971년 출생]][[분류:중앙대학교 출신]][[분류:대한민국의 무종교인]][[분류:청주 한씨]][[분류:플레디스 엔터테인먼트]] [include(틀:다른 뜻1, other1=법조인, rd1=한성수(법조인), other2=코토우라 양의 등장인물, rd2=츠키노 아키)] [include(틀:플레디스 엔터테인먼트)] ||<-2>
'''{{{#ffffff {{{+1 한성수}}}}}}'''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한성수 2023.jpg|width=100%]]}}} || || '''출생''' ||[[1971년]] [[8월 19일]] ([age(1971-08-19)]세) ||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 || '''학력''' ||[[중앙대학교]] {{{-2 (무용과 / 학사)}}} || || '''직업''' ||음반 프로듀서, [[사업가]] || || '''종교''' ||[[무종교]] || || '''소속''' ||[[플레디스 엔터테인먼트]] || || '''별명''' ||홀리워터 || || '''MBTI''' ||[[ISFP]][* [[프로미스나인]]의 [[이채영(프로미스나인)|이채영]]과 같은 유형이라고 말한 것으로 보아, ISFP로 추정된다.] || || '''링크''' ||[[https://www.instagram.com/pledis_boss/|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2]]]]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프로듀서|연예 기획자]]이자 [[플레디스엔터테인먼트]]의 설립자 겸 사내이사.[* 2022년 3월 31일 대표이사직을 사임했고, 동년 8월 1일 사내이사로 취임했다.] == 활동 == 늦은 나이에 가수 [[보아]]의 매니저로 본격적으로 연예계에 입문해 이후 기획사 대표이자 음반 프로듀서로 [[손담비]]와 [[애프터스쿨]]을 성공시키면서 엔터테인먼트 업계에 등장해 입지전적인 인물로 알려져 있다. 보아의 매니저를 담당하던 것이 2000년대 초까지이고 이후 2007년 [[플레디스엔터테인먼트]] 대표로서의 행보가 더 유명하지만 2010년을 거쳐 2020년 이후로도 여전히 관련보도에 '''"보아 매니저 출신"'''이라는 수식어가 붙을 만큼 보아의 매니지먼트를 했던 사실의 유명세는 유효한 상황. 30세라는 늦은 나이에 엔터테인먼트 업계에 투신해서 약 10년만에 독립해 [[플레디스엔터테인먼트]]라는 기획사를 세우고 바로 [[손담비]]와 [[애프터스쿨]]을 성공시키면서 회사 설립 후 1~2년만에 가요계에 영향력이 강한 대표가 되었다. 30세까지는 대중예술과 관련없이 순수예술을 하던 무용가로 [[중앙대학교]] 무용과에서 한국무용을 전공하고 국립무용단[* 단원은 공무원에 준하는 지위. 인턴 단원 선발공지에서 국가공무원법 제33조에 결격사유가 없는 자라는 조건이 붙어 있으며, 실제 [[국립중앙극장]] 인사규정에서 공무원 규정을 적용하도록 되어 있다.]에서 무용수를 했다.[* 국립무용단 초대 단장이었던 송범 동상 건립에 기부를 한 [[http://www.choom.co.kr/article/view.asp?vol_no=441&cid=4&article_no=2016111908E023|흔적]]이 발견되기도 했다.] 그러던 중 갑자기 대중예술을 다루는 엔터테인먼트 업계에 투신하기로 마음 먹고 [[SM엔터테인먼트]]에 [[매니저]]로 입사한다. 이렇듯 상당히 특이한 약력이다 보니 언론에는 일반적으로 매니저나 대중가수 출신인 다른 기획사 대표들에 비해 상당히 독특한 출신의 인물로 많이 묘사된다. > "언젠가부터 무용이 천직이 아니란 생각이 들었다. 창의적인 콘텐츠를 만들어가는 일이 부러웠고, 당시 내 열정으로 대중예술을 해도 잘할 수 있지 않을까라고 생각했다. 순수예술을 했기 때문에 늘 창의적인 일에 대한 동경이 있었고, 고민 끝에 엔터테인먼트계에 도전하게 됐다. 지금의 DSP인 대성기획, SM엔터테인먼트 등에 매니저 입사지원서를 냈지만 모두 연락오지 않았다." [[https://band.us/band/57828137/post/2353|출처]] [[SM엔터테인먼트]]에 지원함과 동시에 [[DSP엔터테인먼트]]에도 지원을 했으나 양쪽 모두 수차례 지원하는 족족 떨어졌다. 연예계에 대한 지식이 부족함에도 포기하지 않고 계속 지원했는데 특히 [[SM엔터테인먼트]]에는 두 달에 걸쳐 무려 30번이나 회사에 찾아갈 만큼 열성적으로 덤볐지만 입사는 쉽지 않았다. > "처음엔 이 분야의 일이 이렇게 고생스러운 줄 모르고 도전정신 하나로 덤볐다. 결국 SM사옥 앞에 차를 대놓고 수없이 고민하기도 일쑤였다. 두 달에 걸쳐 30번 이상은 회사에 찾아갔던 것 같다. 하하. 그러다 이수만 사장님과 극적으로 전화가 연결됐고, 불쑥 '배우고 싶다'고 얘기했다. 그래서 매니저 일을 시작하게 됐다. 지금 생각하면 그때 용기가 어디서 났는지 모르겠다. 지금 와서 얘기지만, 이수만 사장님의 개인 연락처를 알아내기 위해 SM직원에 거짓말을 하기도 했다.(웃음)" [[https://band.us/band/57828137/post/2353|출처]] [[매니저]]는 원래 박봉에 일도 많은 데다가, [[사생팬]]이나 담당 연예인의 등쌀에 엄청난 [[스트레스]]를 받는 직업이며 건강한 20대 초반 직원이 맡기 때문에, SM엔터테인먼트 측에서도 나이가 많은 편인 한성수의 신입 채용에 난색을 표했지만, 당시 30대이던 [[한성수]]가 [[이수만]] 대표를 직접 찾아가 부탁을 하여 채용되었다. [[SM엔터테인먼트]] 입사 후, 당시 [[초등학생]]이던 [[보아]]의 매니저가 되었다. 이때부터 보아가 성장해나가는 모습을 보면서 엔터테인먼트 기획을 배우게 된다. 이 시기 보아의 매니지먼트를 하면서 국내 뿐만 아니라 해외에서 이루어지는 엔터테인먼트에 대한 지식도 조금씩 쌓게 된다.[* SM의 주말 오디션을 보러온 [[태민]]을 캐스팅한 것도 한성수로 알려져 있다.] 일반적으로 [[2000년대]] 중반에 SM엔터테인먼트에서 독립해 곧바로 [[플레디스엔터테인먼트]]를 세웠다고 알려져 있다. 하지만 2007년 [[플레디스엔터테인먼트]]를 설립하기 직전, 2005년부터 당시 [[CJ ENM|CJ뮤직]]이 '글로벌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발굴해 비밀리에 트레이닝 시켜오던 걸그룹 [[손담비|에스블러시의 (S-blush)]]의 미국 진출을 도왔다.[* [[손담비]]를 제외하면 재미교포인 이 그룹의 멤버 중 하나가 바로 영화 '서치'에서 엄마 역할로 나왔던 사라 손(손미보) 배우다.] 이때 인연을 맺은 [[손담비]]는 그 이전부터 [[보아]]의 백업댄서로 인연이 있던 [[가희(가수)|가희]]와 함께 [[플레디스엔터테인먼트]] 설립 직후의 초석을 다지게 된다. [[플레디스엔터테인먼트]] 설립 직후 [[손담비]]를 비롯해 [[애프터스쿨]]까지 연달아 대박을 치면서, 상당히 빠르게 가요계에서 영향력을 발휘하는 기획사 대표의 반열에 오르게 된다. 그러나 [[SM엔터테인먼트]] 시절부터 현장에 대한 경험만 있을뿐 실제 매니지먼트에 대해서는 다시 배워나가야 했던 입장인 탓에, 처음부터 [[전지전능|멤버의 자유로운 영입과 탈퇴 시스템]]을 못 박아두고 시작했던 [[애프터스쿨]]의 매니지먼트와 관련해 여러가지 잡음과 팬들의 반발이 있으면서 [[플레디스엔터테인먼트]] 설립 초창기 몇년간의 '''혜성 같이 등장한 능력자''' 이미지는 조금씩 옅어지게 된다. [[플레디스엔터테인먼트]] 설립 이후의 자세한 행보는 [[플레디스엔터테인먼트#s-4]] 문서 참조 바람. == 수상 == * 2011년 한국콘텐츠진흥원장 - 공로패 * 2016년 대한민국 세종대왕 나눔봉사 - 국방부장관상 * 2023년 [[멜론 뮤직 어워드]] - 베스트 프로듀서상 == 여담 == * [[플레디스엔터테인먼트]]에서 무슨 사고가 날 때마다 대표로 욕을 먹는다. * [[뉴이스트]]와 함께 [[맥도날드]] 광고에 출연했다.[[https://www.youtube.com/watch?v=SR2k_EatIjE|#]] 원래 뉴이스트만 나올 예정 이였으나 자신도 나오길 원해서 나왔다는 후기가 있다. * [[뉴이스트]]의 [[백호(가수)|백호]]가 카톡에서 실수로 한성수 대표를 '형'이라고 부르고 바로 사과를 했는데, 한성수는 쿨하게 '형이라 불러라'라고 답장했다고 한다.[[https://www.instagram.com/p/BUPQ58lh-vg/?utm_medium=copy_link|쿨한 건가?]] * [[세븐틴]]의 [[정한]]이 한성수 대표와의 첫 카톡을 게임 메세지로 보냈는데, "인상적이다ㅋ"라는 답장을 했다고.[* 세븐틴의 컨텐츠 [[세븐틴/콘텐츠#s-2|안드로메다]]에서 언급했다. [[https://www.youtube.com/watch?v=uyfBCrp02is|#]]] * [[애프터스쿨]]부터 [[프리스틴]]에 이르기까지 소속 연예인으로 장신의 여성을 선호한다는 인상이 있으며, 걸그룹계에서도 장신+냉미녀상이 합쳐져 '플레디스상'으로 통한다. 그래서 여성 평균 신장인 163cm의 [[강예빈(1998)|강예빈]]이 프리스틴에서 단신 소리를 들었다. * 무용수 출신이라는 자부심이 있는지 소속 아티스트들의 댄스와 관련해 언론 어필이 잦은 편이며, 실제로도 플레디스 소속가수들의 경우에는 다인원 그룹에도 불구하고 안무의 합이 딱딱 맞는다.[* 예를 들어, 본인 소속사의 가수들의 경우 대부분 연습을 직접 지도하기도 한다고 인터뷰에서 밝히기도 했다.] * [[뉴이스트]], [[세븐틴]]을 자신의 집으로 초대해 다 같이 떡국을 먹은 적이 있다. [[https://www.instagram.com/p/BBnFuvLsz2U/?utm_source=ig_web_copy_link|#]] 추후 [[김종현|JR]]이 말해준 일화로는 뉴이스트 멤버 모두 입이 짧은 편인데 떡국을 너무 많이 주셨다고. 남기면 예의가 아닌 것 같아서 배가 부른데도 계속해서 먹었다고 한다. [[https://youtu.be/FQJKaXXeEUo|#]] * 배우자와는 12월 25일, [[크리스마스]]에 결혼했다. * [[리그 오브 레전드]] 프로게임단 감독 [[김목경]]과 닮았다. * [[프로미스나인]]이 코로나 19로 인해 자가격리를 하고있을때, 갑자기 9명을 초대해 단톡방을 만들어 각자 MBTI가 뭐냐고 물었다고 한다[* MBTI라 물은건 아니고, 성격 유형 검사 뭐 나왔냐고 물었다고 한다.]. 그리고 멤버들도 그에게 MBTI를 묻자 한번 맞혀보라고 했다는데, 멤버들이 CUTE 라고 답했다고 한다. 이후 [[이채영(프로미스나인)|이채영]]과 같은 유형이라고 말했다는것으로 보아, ISFP 유형인것으로 보인다. * [[프로미스나인]]의 멤버 [[이서연]]이 브이앱 캡쳐타임 때 따봉 포즈를 취했었는데, 해당 장면을 캡쳐해서 이모티콘처럼 즐겨쓴다고 한다. * 현재는 플레디스가 하이브의 계열사가 되었는데 원래 방시혁 의장과 친분이 있었던 듯 하다. 대표들끼리 친분이 있어서인지 플레디스 소속의 세븐틴과 빅히트 소속의 BTS도 멤버들끼리 친분이 있는 듯 하다. == 논란 및 사건 사고 == === 저작권 부당이득 적발 사건 === 2020년 5월 26일, 언론보도를 통해 [[한성수]]가 그동안 배우자 박모씨의 명의로 ''''쏘제이(So Jay)''''[* 언론보도에 따르면 배우자 박모씨의 본명에서 한글자씩 따와 지었다고 한다.]라는 가상의 유령 작사가 겸 작곡가의 존재를 만들어 그때까지 본인이 프로듀서로 이름을 올리고 있었던 [[오프더레코드 엔터테인먼트|다른회사]]의 걸그룹 [[IZ*ONE|아이즈원]]의 [[스톤뮤직엔터테인먼트|'''모든 앨범''']][* 한국 음악 저작권 협회의 관리를 받는 모든 앨범. 즉 언론보도가 이루어진 2020년 5월 말까지 나온 아이즈원 일본 앨범을 제외한 모든 한국 앨범을 말한다.]에서 각각 총8곡을 선택해 작사 및 작곡 저작권자로 허위 등록 후 [[먹방|지속적]]으로 [[먹튀|부당이득]]을 챙겨온 사실이 뒤늦게 밝혀졌다.[[https://n.news.naver.com/entertain/article/433/0000068920|기사]] 2018년 10월 29일부터 2020년 5월 말[* 언론보도로 적발된 날짜 기준.]까지가 저작권 부당이득 취득의 기간으로 이는 아이즈원의 데뷔 앨범 발매일로 시작해 한성수의 아이즈원 프로듀싱 계약이 만료된 시간과 한 달 정도 차이만 있을뿐 거의 동일한 기간이다. 참고로 한성수는 아이즈원 앨범에 프로듀서로 참여하면서 정식으로 앨범 수익에 따른 프로듀싱 [[인세]] 수익을 별도로 받아왔다. 2020년 5월 말의 언론보도 직후 한성수는 8곡 모두 자신이 참여한 곡이며 '''단지 이름만 아내의 명의를 빌렸다'''는 요지의 주장을 했다. 하지만 실제로 작사/작곡을 한 당사자들이 [[유령|아예 모르는 작사/작곡 실제 참여자의 존재]]가 있다고 상식적으로 해석하기에는 무리가 있다. >"사실 '쏘제이'가 한성수 대표의 아내라는 사실을 알았을 때, 도둑맞은 느낌이었습니다. 가사 한 줄을 쓰기 위해 얼마나 많은 밤을 새웠는지 모릅니다. 이제야 제대로 인정받은 느낌입니다." (피해 작사가) [[https://n.news.naver.com/entertain/article/433/0000068920|출처]] 2018년 10월 29일부터 2020년 5월 말까지 당시 한성수가 아내의 명의를 이용해 저작권자를 허위로 등록해 지분을 가져간 것으로 언론보도에서 밝혀진 곡들은 다음과 같다. >'''1. 아이즈원 [[COLOR*IZ]] 앨범''' > * 비밀의 시간 (''작사로 등록'') > * 앞으로 잘 부탁해[* [[뉴이스트]] [[백호(가수)|백호]] 참여곡] (''작사 및 작곡으로 등록'') > >'''2. 아이즈원 [[HEART*IZ]] 앨범''' > * 비올레타 {{{-2 [타이틀곡]}}}[* 참고로 이 곡의 작곡가는 [[V.O.S]]의 멤버 [[최현준(가수)|최현준]]이다.](''작사로 등록'') > * 하이라이트 (''작사로 등록'') > * 에어플레인[* [[AB6IX]] [[이대휘]] 참여곡] (''작사로 등록'') > >'''3. 아이즈원 [[BLOOM*IZ]] 앨범''' > * 우연이 아니야 (''작사로 등록'') > * 핑크 블러셔 (''작사로 등록'') > * 오픈 유어 아이즈 (''작사로 등록'') >[[https://n.news.naver.com/entertain/article/433/0000068920|출처]] 이상의 총8곡이 아이즈원이 데뷔 앨범이 발매된 2018년 10월 29일부터 2020년 5월 말까지 한성수가 장기간 부당이득을 챙긴 것으로 언론에 보도된 곡들이다. 타이틀곡 '비올레타'를 제외하고도 모든 곡들이 팬들이 좋아하는 인기곡이라 공연이나 방송에서 상당히 많이 노출되는 곡들이었던 것을 감안하면 수익이 어느 정도였을지 대략 짐작이 가능하다. [[피해자]]로 드러난[* 지분율로 나누는 것이기 때문에 실제 작업하지 않은 인원이 저작권자로 등록된다는 의미는 실제 작업자에게 돌아가는 저작권료가 줄어들게 된다는 의미이다.] 작사/작곡가의 현황은 다음과 같은데, 여러명으로 이루어진 팀이라 실제로는 장기간 입은 피해의 정도가 제일 컸음에도 불구하고 보도에는 단순히 작사/작곡가 한사람인 것처럼 보도된 경우가 많아 실명으로 모든 인물의 이름을 따로 표기한다. 또한 2개 이상의 앨범에 참여했거나 동시에 작사/작곡/편곡까지 한 경우가 많아 가나다 순으로 인물만 정리하며 구분을 위해 참여곡은 옆에 별도표기한다.[* 8곡 전체의 작사/작곡가만 단순계산하면 총 28명이지만, '앞으로 잘 부탁해'처럼 작곡으로 허위등록한 것 때문에 포함된 실제 작곡가의 경우를 제외한 나머지 곡들의 이름들은 실제 작사가로 참여한 인물들이다.] ## ※ 주의요망 ※ ## ## 1. 하단의 표는 사건 적발 당시 언론보도에서는 미처 다뤄지지 않았던 피해자 22인에 대한 정보를, 각 인물들이 한국음악저작권협회에 제출한 공식서류 내용을 취합하여 인물들의 실명을 기준으로 작성된 표입니다. ## ## 2. 하단의 표 내부에는 별도의 하이퍼링크 삽입/수정을 하지않는 것을 권합니다. ## ## 3. 하단의 표의 경우 언론보도가 따로 없이 이 문서에만 존재하는 목록이며, 따라서 거취가 자유로운 연예계 특성상 필수발생 할 향후 위키페어리의 선의에 의한 역링크 개선 및 추가/수정 중에 의도치않게 혹은 의도적으로 사건 정보 왜곡이 발생해, 향후 문서 자체의 게시중단 요청으로 이어질 위험이 있기 때문입니다. ## ## 4. 단, 하단의 표에 등장하는 사건 관련 인물에 대해 하이퍼링크를 추가할 필요가 있을 경우, 하단의 표가 아니라 따로 추가 서술 후 하이퍼링크를 추가할 수 있습니다. ## || {{{#white '''인원'''}}} || {{{#white '''피해 작사/작곡가'''}}} || {{{#white '''참여곡'''}}} || || {{{#white '''1'''}}} || 강동호 || ''앞으로 잘 부탁해'' || || {{{#white '''2'''}}} || 김가영 || ''오픈 유어 아이즈'' || || {{{#white '''3'''}}} || 김승수 || ''비올레타'' || || {{{#white '''4'''}}} || 계범주 || ''앞으로 잘 부탁해'' || || {{{#white '''5'''}}} || 노현 || ''비밀의 시간 / 핑크 블러셔'' || || {{{#white '''6'''}}} || 박기태 || ''앞으로 잘 부탁해'' || || {{{#white '''7'''}}} || 박현용 || ''오픈 유어 아이즈'' || || {{{#white '''8'''}}} || 배진표 || ''비밀의 시간 / 핑크 블러셔'' || || {{{#white '''9'''}}} || 서용배 || ''우연이 아니야'' || || {{{#white '''10'''}}} || 신동현 || ''오픈 유어 아이즈'' || || {{{#white '''11'''}}} || 이대휘 || ''에어플레인'' || || {{{#white '''12'''}}} || 이스란 || ''우연이 아니야'' || || {{{#white '''13'''}}} || 이태훈 || ''하이라이트'' || || {{{#white '''14'''}}} || 임수호 || ''우연이 아니야'' || || {{{#white '''15'''}}} || 윤영복 || ''오픈 유어 아이즈'' || || {{{#white '''16'''}}} || 원영현 || ''비밀의 시간 / 핑크 블러셔'' || || {{{#white '''17'''}}} || 장여진 || ''에어플레인'' || || {{{#white '''18'''}}} || 조윤경 || ''에어플레인'' || || {{{#white '''19'''}}} || 최민식 || ''비밀의 시간 / 핑크 블러셔'' || || {{{#white '''20'''}}} || 최성은 || ''하이라이트'' || || {{{#white '''21'''}}} || 최현준 || ''비올레타'' || || {{{#white ''' 22'''}}} || 황인섭 || ''비밀의 시간 / 핑크 블러셔'' || [*출처 [[한국음악저작권협회]] 공식기록] * 무엇보다 놀라운 점은 일부곡들의 경우 실제로 작사작곡에 참여한 실존인물들 보다 지분율이 1.5배 높았던 경우가 있다는 점이다. 심지어 손을 댄 곡 중에는 [[이기용배]]나 [[V.O.S]]의 멤버 [[최현준(가수)|최현준]]처럼 가요계에서 유명한 인물들이 만든 곡이 다수이다. * 특히 '''본인이 대표로 있는 [[플레디스엔터테인먼트]]에 소속된''' [[백호(가수)|아이돌 그룹 멤버]]가 참여한 곡인 ''''앞으로 잘 부탁해''''의 경우, 방송에서 첫공개 당시에는 이름을 넣지 않다가 이 곡이 수록된 아이즈원의 데뷔 앨범 [[COLOR*IZ]]가 발매된 후에 저작권자로 등록했다. 본인 소속사의 아티스트가 만든 곡에도 손을 댔다는 점이 상식과는 동떨어져 놀라운데 해당 [[백호(가수)|아티스트]]가 다른 닉네임으로 참여한 곡이다 보니 팬이 아닌 사람들은 쉽게 알 수 없는 부분이라 별다른 화제가 되지 않았다. * 심지어 '''다른 회사의 [[이대휘|아이돌 그룹 멤버]]가 만든 곡'''에도 손을 댔는데 바로 ''''에어플레인''''이다. 이 곡은 특히 [[이대휘/AB6IX|해당 아이돌]]이 참여한 곡이라는 점과 곡 자체의 완성도와 컨셉 때문에 아이즈원 팬들 사이에서도 많은 사랑을 받는 곡이다. 본인이 대표로 관리하고 있던 [[백호(가수)|아티스트]]의 곡에 손을 댄 것은 악습이라는 관행상 개연성이 있다고 하더라도 다른 소속사 그것도 [[라이머|뮤지션]]이 수장으로 있는 회사의 아티스트가 만든 곡에도 같은 방식으로 허위등록을 했다는 점이 대범하다. >“본인 스스로 떳떳하다면 아내 이름을 쓸 이유가 없다” (가요계 관계자) [[https://n.news.naver.com/entertain/article/433/0000068920|출처]] 2020년 4월 한성수가 아이즈원 프로듀싱을 그만둘 때까지만 해도 ~~적어도~~ 아이즈원 팬들 사이에서만큼은 ~~인간적으로~~ 이미지가 좋은 프로듀서였는데, 바로 다음달인 5월에 이 사건이 터지면서 이후 한성수에 대한 아이즈원 팬들의 인식도 [[스파이|부정적]]으로 바뀌었다. 2020년 6월 15일, [[탈세]]나 [[배임]] 등의 이슈로 사태가 커질 기미가 보이는 상황에[* 세금이나 배임 등의 이슈는 없다고 본인이 밝혔다.] 한성수는 급히 아이즈원 곡들의 모든 저작권을 포기하겠다는 공식입장을 냈다.[[https://n.news.naver.com/entertain/article/433/0000069435|기사]] 다만 사과할 당시 실제로 저작권을 모두 포기한 곡은 7곡으로, '앞으로 잘 부탁해'의 작곡 저작권 지분은 유지 되다가 이후 추가로 정리 되었다. > "제가 참여한 부분에 대해 인정받고 싶었습니다. 생각이 짧았습니다. 프로듀서의 품위를 지키지 못하고 욕심을 냈습니다. 죄송합니다." (한성수) [[https://entertain.naver.com/read?oid=433&aid=0000069435|출처]] 언론보도 당시에도 관계자의 입을 통해 가요계에 원래 공공연히 만연하던 악습이라는 이야기도 함께 있었다. 그러나 악습을 실제로 행하는 것은 다른 문제라 참작의 여지는 없다. 실제로 앨범에 참여한 작사/작곡가들 중에는 허위 저작권 문제 보다도 그 '''쏘제이'''의 정체가 앨범 프로듀서였던 '''한성수'''라는 사실 자체에 충격을 받은 사람도 있는 것으로 보인다. "[[생각]]이 짧았다"나 "[[욕심]]을 냈습니다"라는 표현이나 "프로듀서의 [[벼슬|품위]]를 지키지" 못한 일이라는 해석을 볼 때 한성수가 실제로 반성을 했는지 어떤지는 알 수 없다. 그러나 한성수 저작권 부당이득 적발 사건은 2020년 5월 26일 첫 언론보도 후 논란이 가중되기 시작한 2~3주만인 6월 15일 "한성수가 저작권 포기"라는 제목으로 대대적인 보도가 이루어지면서 [[마무리]]된 사건으로 끝나게 되었다. 참고로 이 사건은 온전히 한성수 개인의 부당이득 취득과 관련한 사건으로 [[플레디스엔터테인먼트]]라는 회사 및 해당항목과는 아무런 관련이 없다. [include(틀:문서 가져옴, this=문단, title=플레디스엔터테인먼트, version=861, paragraph=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