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완주군의 고등학교]][[분류:전라북도의 여자고등학교]][[분류:1965년 개교]] [include(틀:교육기관)] [include(틀:전라북도 완주군의 고등학교)] [[파일:한별고 전경.jpg|width=100%]] ||||
'''{{{+1 한별고등학교}}}[br]Hanbyeol High School''' || |||| [[파일:한별고 로고.png]] |||| |||| [include(틀:지도, 장소= (한별고등학교), 너비=100%, 높이=100%)] || || '''개교''' || 1965년 03월 09일 || || '''유형''' || 일반계 고등학교 || || '''성별''' || [[여자고등학교]] || || '''형태''' || 공립 || || '''교장''' || 조성규 || || '''교감''' || 권 미 || || '''교화''' || 목련 || || '''교목''' || 전나무 || || '''학생 수''' || 283명 (2022) || || '''교직원 수''' || 46명 (2022) || || '''관할 교육청''' || 전라북도 교육청 || || '''주소''' || 전라북도 완주군 삼례읍 충혼안길 20 (삼례리) || || '''홈페이지''' || [[https://school.jbedu.kr/hanbyeol/M01/|[[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5]]]] || [목차] [clearfix] == 개요 == [[전라북도]] [[완주군]] [[삼례읍]] 충혼안길 20에 위치한 공립 여자고등학교다. == 학교 연혁 == ||
1965년 03월 09일 || 삼례여자고등학교로 개교 || || 1991년 10월 12일 || 학칙변경(정보처리과 신설 2학급 계 24학급) || || 2001년 03월 02일 || 한별고등학교로 개명 || || 2003년 05월 23일 || 신축 교사 완공 || || 2006년 10월 02일 || 정보처리과 폐과(순수 일반계 전환) || || 2008년 11월 05일 || 기숙형 고교 지정 || || 2006년 10월 02일 || 정보처리과 폐과(순수 일반계 전환) || || 2009년 12월 17일 || 한별생활관 준공 || || 2022년 02월 09일 || 제55회 졸업식(96명 졸업, 졸업생 총수 12,616명) || || 2022년 09월 01일 || 제 21대 조성규 교장 부임 || == 교훈 및 상징 == [[https://school.jbedu.kr/hanbyeol/M01/|출처: 한별고등학교 홈페이지]] === 교표 === 서로 다른 다양한 학생들이 서로 손을 잡고서 협동하고 노력하여 하나의 별(개인마다의 별, 한별고라는 별)을 만든다는 뜻을 담았다. === 교화 === [[파일:목련.jpg]] 사랑과 순결의 뜻의 목련. === 교목 === [[파일:전나무.jpg]] 강약과 약진의 뜻의 전나무. === 교육목표 === 창의적인 나, 배려하는 삶, 함께하는 우리 === 교가 === [[파일:한별고 교가.jpg]] == 학교 특징 == * 기숙형 공립 고등학교로써 [[기숙사]] 내에서 다양한 활동들을 추진하고 있다. * 학교 구조가 모두 이어져 있기 때문에 한 번에 드나들 수 있다.외관이 특이하다. * 학교 안에 매점이 없다. == 시정표 == 기본적으로 수업시간 50분, 쉬는시간 10분, 점심시간 60분이다. 그러나 사정에 따라 수업일정이 변동될 수 있다. 수요일에는 한 교시 일찍 끝나지만 모의고사가 있으면 5일 내내 7교시를 한다. [* 전에는 수요일 대신 화요일을 한 교시 일찍 끝내주는 등의 조치를 취했지만 요즘은 그렇지 않다.] 또한 야간자율시간이 있지만 이는 기숙사생에게만 해당된다. ||
07:30~08:30 || 등교 및 조식 || || 08:30~08:40 || 아침 조회 || || 08:40~09:30 || 1교시 || || 09:40~10:30 || 2교시 || || 10:40~11:30 || 3교시 || || 11:40~12:30 || 4교시 || || 12:30~13:20 || 중식/청소[* 밥을 먼저 먹는 3학년은 식사 후, 늦게 먹는 1학년은 식사 전에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 || 13:30~14:20 || 5교시 || || 14:30~15:20 || 6교시 || || 15:30~16:20 || 7교시 || || 16:30~16:40 || 종례 || || 18:30~19:20 || 석식 || || 19:20~21:20 || 야간자율 || || 22:00~23:00 || 심야자율 || == 복장 == 교복과 사복 둘 다 자유롭게 착용이 가능하고, 체육복은 학교에서 만들지 않아 체육시간에도 교복과 사복 착용이 가능하다. == 과학실 == 1층에는 기술가정실, 3층에는 미술실, 어학실2, 수학교과실,정보실, 자습실. 4층에는 음악실. 융합과학실이 있다. 1층 기술가정실은 거의 사용하지 않고 있다. 정보실에서 수시원서접수를 할 수 있지만 컴퓨터가 좋지 않아 불편하다. == 보충 학습 == 현재 보충학습은 4시 40분 부터 6시 30분 까지 따로 신청해서 들을 수 있다.[* 그래봤자 두 세명 들을까 말까이다.] == 체육관 == 이전 축구부가 쓰던 런닝머신을 비롯한 각종 헬스기구가 벽면에 배치되어 있다. 쉬는 시간이 주어지면 종종 기구들을 이용하기도 한다. == 운동장 == * 다른 학교에 비해 매우 규모가 작은 편이다.[* 하지만 인조 잔디 구장이다.] == 기숙사(한별 생활관) == * 1층에 학습실과 시청각실이 있다. 2층부터 3층까지는 일반 학생들이 쓰는 기숙사이다. 4층은 옛날 축구부 학생들이 사용했다. * 벌점 3점 걸리면 가정대기, 6점 걸리면 퇴사이다. [* 방 안에 머리카락이 많이 있으면 벌점이다.] * 7시20분부터 9시 20분/10시부터 11까지 야간자율학습 시간이다. 이 때 휴대폰 벨소리가 울리면 폰을 일주일동안 뺐는다. * 냉방시설과 난방시설을 마음대로 사용할 수 있다. * 샤워실이 공용인데 칸막이가 존재하지 않다. * 3월 한 달동안은 1학년이 다른 학년 선배에게 배운다는 목적으로 다른 학년과 함께 방을 쓴다. * 기숙사는 매일 아침 6시 30분에 라디오를 틀어주고 7시 30분까지 전원 퇴실해야한다. == 통학 == * 통학버스는 등교만 가능하다. 하교에는 해당이 되지 않기 때문에 학생들의 비난이 많다. * 둔산리로 가는 32번 버스가 등하교 불문 매우 미어 터지기 때문에 버스 출발 30분 전 부터 줄을 서 있다. * 방음이 잘 되지 않아 기숙사 옆 방 애들 말 하는 소리가 너무 잘 들린다. [* 말 소리 뿐만아니라 충전기 꽂는 소리도 종종 들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