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15deg, #cd313a 50%, #0047a0 50%)" '''[[독립유공자|{{{#ffffff 대한민국의 독립유공자}}}]]'''[br] {{{#ffffff '''{{{+1 한도련}}}'''[br]'''韓道鍊'''}}}}}} || || '''본관''' ||[[청주 한씨]][* 예빈윤공파(禮賓尹公派) 25세 련(鍊) 항렬.] || ||<|2> '''출생''' ||[[1912년]] [[9월 13일]] || ||[[함경남도]] [[북청군]] 덕성면 서장내리[* [[청주 한씨]] 집성촌이다.][br](現 [[함경남도]] [[북청군]] 나하대리) || ||<|2> '''사망''' ||[[1973년]] [[6월 14일]] (향년 60세) || ||[[서울특별시]] || || '''묘소''' ||[[국립대전현충원]] 독립유공자 5묘역-63호 || || '''상훈''' ||건국훈장 애족장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독립유공자]]. 1990년 건국훈장 애족장을 추서받았다. == 생애 == 1912년 9월 13일 함경남도 북청군 덕성면 서장내리(現 북청군 나하대리)에서 아버지 한홍륵(韓洪玏, 1883 ~ ?)과 어머니 [[이(성씨)|태원 이씨]](太原 李氏)[* 이인악(李仁萼)의 딸이다.] 사이의 3남 1녀 중 장남으로 태어났다. 북청군 대성(大成)중학교에 재학 중이던 1930년 [[광주학생항일운동]] 동조 시위에 참가해 격문을 살포하면서 가두시위를 전개했다. 이후 1932년 북청군에서 한상두(韓相斗) 등 여러 동지들과 함께 덕성(德城)농민조합 지부를 조직한 뒤 하부조직의 결성에 힘쓰는 한편, 10여 종의 출판물을 발행하여 항일농민운동을 전개했다. 그러나 이후 경찰에 체포되었고, 1935년 1월 28일 함흥지방법원에서 소위 [[치안유지법]] 위반 혐의로 징역 1년 6개월, [[집행유예]] 5년을 선고받아 곧 출옥했다. 그 뒤 고향 북청군에서 은거하다가 [[8.15 광복]] 후 월남했고, 1973년 6월 14일 서울특별시에서 별세했다. 1990년 [[대한민국 정부]]로부터 독립운동 공적을 인정받아 [[건국훈장]] 애족장이 추서되었다. 그의 유해는 2014년 12월 20일 배우자 정범구의 유해와 함께 [[국립대전현충원]] 독립유공자 5묘역에 이장되었다.[* 청주한씨제7교대동족보 예빈윤공파 상권 1240쪽에는 [[신안 주씨]](1907 ~ ?) 주선식(朱璇植)의 딸이 부인으로 등재돼 있다.] [[분류:한국의 독립운동가]][[분류:청주 한씨 예빈윤공파]][[분류:북청군 출신 인물]][[분류:1912년 출생]][[분류:1973년 사망]][[분류:건국훈장 애족장]][[분류:국립대전현충원 안장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