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노원구의 로)] ||<-3> {{{#fff {{{+2 '''한글비석로'''}}}}}} || ||<-3> '''{{{#fff 다른 문자 표기}}}''' || || 로마자 ||<-2> Hangeul-Biseokno || || 한자 ||<-2> 한글碑石路 || || 간체자 ||<-2> || || 가타카나 ||<-2> ハングル•ビソク路 || ||<-3> '''{{{#fff 기점}}}''' || ||<-3> [[서울특별시]] [[노원구]] [[하계동]] 월계1교 || ||<-3> '''{{{#fff 종점}}}''' || ||<-3> [[서울특별시]] [[노원구]] [[상계동]] 의정부 방향 [[동부간선도로]] || ||<-3> '''{{{#fff 연장}}}''' || ||<-3> 5.9km || ||<-3> '''{{{#fff 개통}}}''' || ||<-3> || ||<-3> '''{{{#fff 관리}}}''' || ||<-3> [[서울시설공단|[[파일:서울시설공단 CI.svg|height=30]]]] || ||<-3> '''{{{#fff 왕복 차로 수}}}''' || ||<-3> 6~7차선[* 월계1교~대진고등학교], 6차선[* 대진고등학교~삿갓봉 근린공원], 4차선[* 삿갓봉 근린공원~[[상계역]]], 3~4차선[* [[상계역]]~[[동부간선도로]] 의정부 방향 직결 종점] || ||<-3> '''{{{#fff 주요 경유지}}}''' || ||<-3> [[월계로]] 직결 ↔️ [[하계역]]교차로([[동일로]], [[3번 국도]]) ↔️ 대진고등학교([[노원로(서울)|노원로]]) ↔️ 서라벌고등학교 ↔️ 양지근린공원 ↔️ 은행사거리(중계로) ↔️ 삿갓봉근린공원 ↔️ [[상계역]]교차로(상계로) ↔️ 온곡초교입구[* 보람사거리로 주변 사람들은 더 잘 알고 있다.] ↔️ [[마들역]]교차로([[동일로]]([[3번 국도]])) ↔️ [[동부간선도로]] 의정부 방향 직결 || [목차] [clearfix] == 개요 == [[서울특별시]] [[노원구]] [[하계동#s-3.2|하계2동]]에서 시작하여 [[중계동]] [[은행사거리]]를 경유하여 [[노원구]] [[상계동#s-3.6|상계8동]]으로 이어지는 [[도로]]. 총 거리는 약 5.9km이다. [[중랑천]]의 월계1교 동단 [[동부간선도로]] 위에서 [[월계로]]와 직결되어 있고[* 2010년 도로명 개정 전 월계1교 - 하계역4거리 구간은 월계로였다.], 종점은 [[동부간선도로]] 의정부 방향과 연결되어 있다. [[은행사거리]]~[[하계역]] 사이 하계동 산12번지에 이윤탁 한글 영비(보물 제1524호)가 있어 한글비석로로 지정되었다. [[파일:external/www.dojung.net/3077225046_f0UkxDn7_200812051406110.jpg]] >'''靈碑''' >'''"녕ᄒᆞᆫ 비라 거운 사ᄅᆞᄆᆞᆫ ᄌᆡ화ᄅᆞᆯ 니브리라 이ᄂᆞᆫ 글모ᄅᆞᄂᆞᆫ 사ᄅᆞᆷᄃᆞ려 알위노라”''' 길 이름의 유래가 된 이 비석은 조선 [[중종(조선)|중종]] 때 이문건(1494~1567)[* 이른바 '조선시대 선비의 육아일기'라고 매체에서 다뤄진 바 있는 [[양아록]]의 저자이기도 하다. 이문건이 손자 이수봉을 16년간 양육하면서 기록한 기록물. 그 외에도 [[묵재일기]], [[설공찬전]] 한글 필사본 등을 남겼다.]이 자기 아버지인 이윤탁의 묘를 오늘날 위치로 옮기면서 1536년 세운 비석이다. 오늘날 남은 한글이 새겨진 비석 중 가장 오래된 비석이며, [[조선시대]] 묘비에 한글이 새겨진 유일한 비석이라서 가치가 높은 자료이다. 여기에 새겨진 한글을 현대 [[한글]]로 풀이하면 "'''신령한 비다. 건드리는[* 원문이 '거운' 인데, '거우다'는 "집적거려 성나게 하다"는 뜻이다. 조선시대의 [[월인천강지곡]]이나 [[염상섭]]의 소설 <택일하던 날>, 나도향의 소설 <행랑자식>에도 나오는 표현이다.] 사람은 재화[* 災禍: 재앙(災殃)과 화난(禍難)을 아울러 이르는 말.]를 입을 것이다. 이를 글(한문)을 모르는 사람들에게 알리노라'''"라고 쓰여 있다. 이 한글은 비석 왼편에 쓰여진 글이다. 한편 비석 오른편에는 한자로 '불인갈(不忍碣: 건드릴 수 없는 묘비)'이라고 쓰여 있는데 밑에는 한자로 된 아래와 같은 글이 새겨져 있다. >爲父母立此 誰無父母 何忍毁之 石不忍犯 則墓不忍凌 明矣 萬世之下可知 免夫 >부모를 위하여 이를 세우니, 누군들 부모가 없겠으며 어찌 차마 이를 훼손하겠는가. 차마 비석을 건드리지 못한다면 묘도 차마 능멸하지 못할 게 분명하다. 만세의 후인들은 이를 알아야 함이니 힘쓸지어다. 참고로 이 비석은 [[하계동]] 산12번지, 이 한글비석과 똑같은 복제품[* 진짜 이윤탁 한글비석은 산속 안에 있어서 [[접근성]]이 불편한데 비해, [[1997년]]에 제작한 이윤탁 한글비석 복제품은 하계동 한글비근린공원 안에 있다. 하계동 한글비근린공원은 아파트 단지 근처에 있어서 접근성이 무척이나 편하다.]은 하계동 한글비근린공원에 있다. 사실 이 비석 진품은 도로 개발 과정에서 본래 위치에서 약간 옮겨진 건데 도로를 개발할 당시 저 비문의 내용 때문에 도로 공사 일을 맡았던 공무원들이나 건설회사 직원들도 뭔가 꺼림직한 게 있었는지 비석을 옮기는 것을 주저했다고 한다. 그래서 이문건의 본관인 성주 이씨 문중에서 예를 갖춰 제사를 지낸 후에 비석을 옮기고 도로를 개발했다는 후문이 있다.[* 사실 이때 정작 성주 이씨 문중에서 이 묘의 이장을 고려했지만 문화재청에서 사료적 가치가 큰 문화재는 본래의 자리에 있어야 한다는 원칙을 들고 나오며 반대했다고 한다.] 중계동 은행사거리에서 서라벌고등학교 방향으로 넓은 도로가 한글비석로 이며, 학원이 시작하거나 끝마칠 때 쯤에는, 셔틀버스 및 승용차들로 도로가 꽤 혼잡하다. 또한 차선이 참으로 아스트랄한데, 월계1교 ~ 대진고교 구간은 6~7차선, 대진고교 ~ 삿갓봉근린공원 구간은 6차선[* [[2023년]] 현재 [[서울 경전철 동북선|동북선]] 공사로 인해 [[은행사거리]] 일대, [[서울시립과학관]](대진고교앞사거리) 일대는 왕복 4차로이다.], 삿갓봉근린공원 ~ 상계역 구간은 4차선인데...[* 이마저도 현재 [[서울 경전철 동북선|동북선]] 공사로 인해 '''왕복 2차로 규모이다.'''] 남은 상계역 ~ 상계8동 구간이 '''2~3차선'''규모이다.[* 과거에는 4차선이었으나 자전거도로를 도로 양옆으로 만들면서 차선을 칼질당했다.][* 사실 이 도로가 이렇게 된 것은 상/중/하계동의 개발이 따로 이뤄졌기 때문이다. 상계동 일대는 80년대에 상계주공아파트, 보람아파트 등이 개발될 때에 동일로 - 상계역 일대를 이으려고 지어진 도로이며, 하계동 일대는 비슷한 시기에 하계동 일대의 개발이 이뤄지면서 지어진 도로이다. 중계동 일대는 90년대 초반에 아파트 단지가 개발되면서 지어진 도로이다. 지어진 시기와 목적이 모두 다르니 규모도 다 다른 것.] == 구간 == [[월계로]] 직결 ~ [[하계역]]교차로([[동일로]]([[3번 국도]])) ~ 대진고등학교([[노원로(서울)|노원로]]) ~ 서라벌고등학교 ~ 양지근린공원 ~ 은행사거리(중계로) ~ 삿갓봉근린공원 ~ [[상계역]]교차로([[상계로]]) ~ 온곡초교입구[* 보람아파트의 영향 때문에 보람사거리로 주변 사람들은 더 잘 알고 있다.] ~ [[마들역]]교차로([[동일로]]([[3번 국도]])) ~ [[동부간선도로]] 의정부 방향 == 대중교통 == === 전철 === [[서울 경전철 동북선]]이 [[월계로]] 직결되는 곳 부터 [[상계역]]까지 지나갈 예정이다. [* [[하계역]],가칭 골마을역, 은행사거리역, [[상계역]]까지 4역이 생김. ~~고로 [[서울 버스 1141]]은 털릴예정.~~] [[서울 지하철 7호선]] [[하계역]], [[마들역]]이 [[동일로]]와 만나는 지점에 있으며, [[서울 지하철 4호선]] [[상계역]]도 위치해 있다. === 버스 === [[하계역]] 동쪽의 이 도로 인근에 [[한성여객]] 차고가 위치해 있다. 월계동에서 출발하는 [[서울 버스 1017]]을 제외한 모든 한성여객 소속노선의 종점이다. [[하계역]]과 은행사거리를 잇는 버스는 [[서울 버스 1131]], [[서울 버스 1141]], [[서울 버스 1224]]가 있지만 1141번이 한글비석로만 경유한다면, 1131번은 노원로-노원로17길-동일로206길을, 1224는 노원로를 경유하여 노원경찰서를 지나간다. 은행사거리와 [[상계역]]을 잇는 버스는 [[서울 버스 1140|1140번]], [[서울 버스 1142|1142번]], [[서울 버스 1224|1224번]]이 있다. 엄청난 수의 승객을 자랑하는 버스.[* 특히 [[서울 버스 1142|1142번]]은 [[빗자루질(교통)|빗자루질]] 노선으로 유명하다.] [[상계역]]과 [[마들역]] 사이에는 보람사거리 주변으로 많은 버스 정류소들이 위치해 있으며, [[서울 버스 1137]], [[서울 버스 1143]] 및 [[서울 버스 노원02]], [[서울 버스 노원11]] 등이 경유한다. 그리고 [[마들역]] 서쪽으로는 [[서울 버스 노원08]]이 이 도로를 경유하여 회차한다. 특징으로, '''[[서울 버스 1137]]''','''[[서울 버스 1224]]''','''[[서울 버스 1142]]'''등 노원에서 사람 많이 태우는 버스들은 많이 경유하는 도로다. [각주] [[분류:노원구의 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