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from=HCF, rd1=무한 루프, other1=컴퓨터 명령 Halt and Catch Fire)] [include(틀:옛한글 자모)] [목차] ||‘ᅟ’|| (작은따옴표 안의 문자이다.) U+115F, [[한글|HANGUL]] [[초성|CHOSEONG]] FILLER ('''HCF''') == 개요 == 말 그대로 한글 초성을 채우는 문자. [[한글 채움 문자]](U+3164)와는 전혀 다르다. 한글 채움 문자와 다르게 [[iOS]]에서는 [HFC]로 표시된다. == 예시 == 첫가끝 조합 한글에서 초성이 없는 문자를 입력할 때에 사용한다. 예를 들어 '초성 없음 + 중성 ㅏ + 종성 ㄴ' 구조의 한글 완성자는 'ᅟᅡᆫ'(U+115F U+1161 U+11AB)으로 표현된다. 이렇게 쓰이지 않더라도 실수로 입력되는 경우도 있다. [[세벌식]] 자판은 초성 → 중성 → 종성의 순서를 글씨를 입력하지 않아도 자동으로 그 글자가 완성되기 때문에 [[ㅇ벗다|ㅇ벗어]] 같은 오타가 나오지 않는다. 하지만 굉장히 드문 경우지만 몇몇 입력기에서 때때로 초성이 먼저 들어오지 않을 경우, 초성이 없는 자리에 HCF를 넣어 버려서 띄어쓰기를 하지 않았는데 강제로 띄어쓰기가 된 것처럼 보이는 경우가 생긴다. 이 경우 '미ᅟ정'처럼 컴퓨터에서는 두 글자로 인식되지만 눈으로 볼 때에는 '미'하고 '정' 사이에 띄어쓰기가 있는 것처럼 보이게 된다. Windows용 [[한컴오피스 한글|한/글]] 워드프로세서에서 사용되는 '한컴 다국어 입력기'에서는 모음 이후 자음이 입력될 경우 HCF를 이용해 합자(合字) 형태로 조합한다. 예를 들어 ㅏ → ㄴ 순서의 키 입력은 'ᅟᅡᆫ'으로 조합된다. 2016년에는 [[정유라]]가 자신의 대학 과제에 이 초성 채움 문자("ᅟᅮᆼ요하고")를 쓴 적이 있다는 것이 확인됐다. [[이화여자대학교 정유라 특혜 논란#s-3.1.3]] 문서 참고. == 한글 중성 채움 문자 == 이와 비슷한 문자로는 유니코드에서 U+1160 자리에 있는 중성 채움 문자(HJF)가 있다(예: ᄲᅠᇖ, ᄉᅠᆷ). 참고로 종성 채움 문자는 존재하지 않으며, 종성이 없는 경우 종성 자리에 그냥 아무것도 넣지 않는다(예: ᄀᆞ U+1100 U+119E). 나무위키에선 컴퓨터 환경에선 합쳐진 걸로 보이나 일부 폰 환경은 중성ᅟ종성으로 보인다. == 기타 용도 == 한글이고 뭐고 쓸 일 없는 서구권에선, [[아스키 아트]]와 달리 공백이 허용되지 않는 유니코드 아트에서 공백 대용으로 꽤 유용하게 쓰이는 듯하다(...). [[https://thp.im/his-majesty-hangul-the-filler/|#]] == 옛한글에서의 용법 == 특정 자음자의 음가와는 다른 음가를 나타내기 위해 병서(가로로 나란히 씀)나 연서(세로로 이어서 씀) 등의 방법으로 해당 자음자에 덧붙인 글자 역시 채움 문자의 일종으로 여길 수 있다. 대표적인 사례로는 [[이영보래]]가 있는데, 이는 이상적 한자음에 가까운 [[동국정운]]식 한자음을 나타내기 위해 ㄹ 옆에 ㆆ을 더해 ㅭ 종성을 만들어 입성(入聲)의 효과를 낸 것이다. 예: 八(바ᇙ), 戌(슈ᇙ). 혹은 'ㅂ' 아래에 'ㅇ'을 더함으로써 순경음(입술 가벼운 소리, 양순 마찰음)을 나타내기도 했다. 예: 非(ᄫᅵ). 다음은 [[훈민정음의 순경음]]의 예이다. |||| 36자모상의 전통적 오음[* 아·설·순·치·후음(牙·舌·脣·齒·喉音)을 이른다. 설음은 설두음(舌頭音)과 설상음(舌上音), 순음은 중순음(重脣音)과 경순음(輕脣音), 치음은 치두음(齒頭音)과 정치음(正齒音)으로 세분하였다.]에 기반한 분류 || 현대 음성학에서의 조음 위치에 기반한 분류 || 전청(무성무기음) || 차청(무성유기음) || 전탁(유성무기음)[* 이 열에서의 각자 병서(같은 자음을 옆으로 나란히 쓴 자모)는 한국어의 된소리가 아니라 중국 중고음의 유성무기음을 나타낸 것으로 보아야 한다.] || 차탁([[공명음]]) || ||<|2> 순음(脣音) || 중순음(重脣音) || 양순파열음 || 幫(방)[br]ㅂ[br]/p/ || 滂(방)[br]ㅍ[br]/pʰ/ || 竝(병)[br]ㅃ[br]/b/ || 明(명)[br]ㅁ[br]/m/ || || 경순음(輕脣音) || 순치음[br]or[br]양순마찰음 || 非(비)[br]ㅸ[br]/f/ || 敷(부)[br]ㆄ[br]/fʰ/ || 奉(봉)[br]ㅹ[br]/v/ || 微(미)[br]ㅱ[br]/ɱ/ || 위 표는 광운과 운회(韻會)를 바탕으로 한 자모표의 일부이다. 이를 현대적으로 적용하면 우리말에 없는 [f] 등의 마찰음이 있는 외래어를 표기하기 위한 ㆄ 등의 자모를 상정할 수 있다. 예: coffee 커ᅗᅵ. 다만 실험적 표기이며 널리 쓰이지는 않는다. 한글로 된 [[찌아찌아어]] 교과서의 한 구절에서 사용된 한글 초성 채움 문자의 예 >아디 세링 빨리 노논또 뗄레ᄫᅵ시. 아마노 노뽀옴바에 이아 나누몬또 뗄레ᄫᅵ시 꼴리에 노몰렝오. >adi sering pali nononto televisi. amano nopo'ombae ia nanumonto televisi kolie nomolengo. == 관련 문서 == [[나무위키]]에 등록된 문서 중 이 문서처럼 문자가 보이지 않는 문서들이다. * [[한글 채움 문자]] * [[RLO]] * [[Soft Hyphen]] [[분류:한글 전산 처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