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파일:P&G 로고.svg|width=200&align=center]] || || {{{#FFFFFF '''정식 명칭'''}}} ||한국피앤지판매유한회사 || || {{{#FFFFFF '''영문 명칭'''}}} ||Procter & Gamble Korea Sales Limited Company || || {{{#FFFFFF '''국가'''}}} ||[[대한민국|[[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2]] 대한민국]] || || {{{#FFFFFF '''설립일'''}}} ||[[2001년]] [[7월 1일]] || || {{{#FFFFFF '''대표이사'''}}} ||이지영 || || {{{#FFFFFF '''기업 규모'''}}} ||[[중소기업]] || || {{{#FFFFFF '''상장 유무'''}}} ||비상장기업 || || {{{#FFFFFF '''법인 형태'''}}} ||외부감사법인 || || {{{#FFFFFF '''본사'''}}}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국제금융로 10 || || {{{#FFFFFF '''링크'''}}} ||[[http://pg.co.kr|[[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5]]]] || [목차] [clearfix] == 개요 == 미국 [[P&G]]의 한국 현지법인. == 역사 == 1989년에 [[서통그룹]][* 2003년 부도로 해체됨.]과 합작해 '서통P&G(주)'를 세운 게 기원이다. 창립 시점엔 이미 국내 시장에는 럭키, 태평양화학, 애경산업, 무궁화, 동산유지[* [[부산광역시]]를 거점으로 하는 비누제조회사. '다이알'과 '아내의 향기', '인삼비누'로 유명하다. 현재는 [[크리오]]에 인수.] 같은 토종 업체나 합작 투자로 진출한 [[유한킴벌리]] 등이 시장을 선점해오고 있었는데, 1992년 [[충청남도]] [[천안시/역사|천안군]] [[성거읍]](현 [[천안시]] [[서북구]] [[성거읍]])[* 1995년 도농통합시로 출범하였으며 2008년에 [[서북구]]와 [[동남구]]로 분구되었다.]에 천안공장을 세워 국내생산을 개시했으나, 얼마 못가 서통측이 지분을 매각한 후 완전자회사가 됐다. 같은 해 한국P&G제조가 세워진 후 얼마 뒤 '한국피앤지산업'이 됐다가, 자회사 '피앤지에프앤디'가 설립되었다. 1993년 여성용 샴푸 브랜드 팬틴을 한국에 런칭하였다[* 1968년에 제삼화학으로부터 수입판매를 한 전력이 있다.]. 1995년 그 회사에 합쳐져 이듬해부터 '한국피앤지(주)'가 됐고, 2001년 [[유한회사]]로 전환하여 일부 사업부를 한국P&G판매 및 한국P&G수출입으로 각각 분사시켰다. 한국P&G판매는 2007년 질레트코리아를 비롯해 2009년 향수업체 CC코리아, 2010년 웰라코리아를 각각 합병했으나, 한국P&G수출입은 2015년 청산됐다. 사업 초반에는 국내 업체들이 상대적으로 취약한 고급 샴푸에 눈을 돌려 팬틴과 비달사순 등을 내세워 시장을 공략하여 성공하는 듯 했으나, [[LG생활건강]]이나 [[아모레퍼시픽]], [[애경산업]] 등 국내 업체들도 다른 프리미엄 제품으로 반격하면서 시들해졌다. 치약에선 '브렌닥스 안티 프라그'가 부광약품 '안티프라그'의 인지도를 넘지 못했고, [[기저귀]]의 경우도 세계 시장에서 히트한 팸퍼스를 내세웠으나, [[유한킴벌리]]의 하기스나 [[대한펄프]](현 깨끗한나라)의 보솜이, [[LG생활건강]]의 젬제미 등 경쟁 브랜드에 밀리는 등 악재가 있었다.[* 팸퍼스는 현재 소량만 수입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튀르키예]]에서 팸퍼스가 현지 브랜드로 생산되면서 킴벌리클라크가 시장에서 밀려 결국 [[하기스]]를 소량 수입하는 것과는 대조적.] 1997년에는 타개책으로 [[쌍용그룹]]으로부터 [[쌍용제지]]를 인수해서 '코디'와 '큐티' 브랜드까지 끌어안아가며 역전했지만 2005년에 화장지부문을 '[[쌍용C&B]]'로 떼어내 모나리자로 팔았고, 쌍용제지 역시 2006년 소프트뱅크벤처스 컨소시엄으로 팔았다. 이 때문에 피앤지의 유명한 비누, 치약, 세제는 미국이나 세계 시장에 비해서 한국 시장에서는 부진한 편이지만, 대신 섬유에 직접 뿌리는 분무기식 방향제 [[페브리즈]]나 섬유유연제 [[다우니(섬유유연제)|다우니]] 등의 마케팅에 주력하고 있다. 그리고 2005년 질레트 인수로 면도기나 건전지 시장에서 우위를 확보하고 있다. 스낵 [[프링글스]]로도 유명한데, 본사에서 프링글스 브랜드가 [[켈로그]]로 넘어간 후 한국에서도 국내 유통권은 [[농심켈로그]]에 넘겼다. 반면 웰라 한국사업권은 2013년 에스피더불유코리아(유)로 넘겼다. 이후 2018년 [[생리대 유해물질 파동]] 사태 여파로 위스퍼를 단종시켰고, 최근에는 야뇨증 기저귀인 닌자마스 수입에도 집중하고 있는 상황이다. == 역대 로고 == || [[파일:동해생명 로고(1976~1980).svg|width=200px]] || [[파일:한국피앤지.png|width=200px]] || [[파일:P&G_logo_2003.png|width=200px]] || [[파일:P&G 로고.svg|width=200px]] || || [[1989년]] || [[1992년]] || [[2003년]] || [[2013년]] ~ 현재 || == 역대 대표이사 == * 구 서통피앤지 * 최우진, 로버트 에이샤 (1989~1992) * 구 한국피앤지 * 마틴 라이언트 (1992~1995) * 신 한국피앤지/한국피앤지판매 * 마틴 라이언트 (1995~1997) * 브래들리 어윈 (1997~1998) * 차석용 (1998~2001[* 이후 [[해태제과]], [[LG생활건강]] 사장으로 영전.]) * 앨 라즈와니 (2001~2003) * 김상현 (2003~2008) * 오쿠야마 신지 (2008~2012) * 이수경 (2012~2015) * 김주연 (2015~2018) * 발라카 니야지 (2018~2022) * 이지영 (2022~)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P&G, version=207, paragraph=3)] [[분류:P&G]][[분류:2001년 기업]][[분류:대한민국의 생활용품 제조사]][[분류:서울국제금융센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