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대한민국의 대외관계)] [include(틀:온두라스의 대외관계)]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100%]] || [[파일:온두라스 국기.svg|width=100%]] || || [[대한민국|{{{#ffffff '''대한민국'''}}}]][br]''{{{#fff República de Corea}}}'' || [[온두라스|{{{#fff '''온두라스'''}}}]][br]''{{{#fff Honduras}}}'' || || [[파일:한국-온두라스.jpg|width=100%]] || || {{{#fff 대한민국 - 온두라스 관계}}} || [목차] == 개요 == [[대한민국]]과 [[온두라스]]의 관계. 온두라스와 한국은 20세기에 수교한 뒤, 21세기에 들어서면서 교류가 활발해지고 있다. == 역사적 관계 == === 20세기 === 양국은 1962년에 수교하였다.[* 온두라스는 남한 단독 수교국이다.] 20세기에 일부 [[한국인]]들이 온두라스에 정착하기도 했다. === 21세기 === 온두라스와 한국은 21세기에 들어서면서 교류와 협력이 많아지고 있다. 이미 한국 기업들이 온두라스에 진출하면서 경제교류와 협력을 하고 있다보니 양국의 관계는 깊어지고 있다. ==== 2020년대 ==== 국제 [[NGO]]인 [[국제청소년연합]]은 2020년 2월 7일에 온두라스의 오를란도 에르난데스 대통령이 자국 청소년 육성을 위해 국제청소년연합에 인성 교육을 요청했다고 밝혔다.[[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2D&mid=shm&sid1=104&sid2=232&oid=001&aid=0011385909|#]] 6월 12일에 [[문재인]] 대통령과 온두라스의 후안 오를란도 에르난데스 알바라도 대통령은 전화통화를 했고 전화로 한국은 성공적으로 전자정부를 구축한 선도국이기 때문에 온두라스로 초청했고 동시에 한국 기업의 온두라스 투자 요청 및 온두라스 내 한국인들의 귀국도 협력한다고 밝혔다.[[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2D&mid=shm&sid1=104&sid2=232&oid=421&aid=0004692492|#]] 6월 22일에 NGO 단체 [[굿뉴스월드]]는 온두라스에 [[코로나19]] 방역물품을 지원했다.[[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0&oid=001&aid=0011694993|#]] 9월 28일에 주 온두라스 한국 대사관은 온두라스문화예술청과 양국 문화교류 협력 강화를 위한 양해각서를 체결했다고 밝혔다.[[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2D&mid=shm&sid1=104&sid2=232&oid=001&aid=0011913623|#]] 2021년 3월 9일에 주 온두라스 한국대사관은 온두라스 국기위기대응처와 한국어 긴급 서비스 협약을 맺었다고 밝혔다.[[https://n.news.naver.com/article/001/0012250160|#]] 8월 19일에 [[경찰청]]은 온두라스 국가경찰청·국가위기대응청을 대상으로 112 긴급신고시스템 통합 교육을 했다고 밝혔다.[[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S2D&mid=shm&sid1=104&sid2=232&oid=001&aid=0012608222|#]] 11월 25일에 주온두라스 한국 대사관은 국내업체들이 개발한 최소 잔여형 주사기가 온두라스에서 [[코로나19]] 백신 접종에 쓰인다고 밝혔다.[[https://www.yna.co.kr/view/AKR20211126004400087?section=international/centralsouth-america|#]] 2022년에 여승배 [[외교부]] 차관보가 [[멕시코]], 온두라스, [[코스타리카]] 등 중미 3개국을 방문해 공급망과 디지털 분야 등에서 협력 강화를 모색했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13210983?sid=104|#]] == 문화 교류 == 한국과 온두라스는 문화교류가 적은 편이지만, 온두라스내에도 소수의 [[한류]]팬들이 존재한다. 그리고 온두라스가 [[스페인어]]를 공용어로 지정했기 때문에 한국에선 중남미식 스페인어를 배우는 경우가 늘어나고 있다.[* 일반적으로 한국에서 배우는 스페인어는 한국쪽 한림원이 스페인 본토쪽을 기준으로 삼았다.] 다만, 온두라스의 치안이 매우 불안하다보니 관광객들이 많지 않은 편이다. == 경제 교류 == 온두라스는 한국과의 경제교류가 활발한 편이다. 온두라스내에도 한국 기업들이 많이 진출했다. 그리고 온두라스는 [[니카라과]], [[코스타리카]], [[파나마]], [[엘살바도르]], [[과테말라]]와 함께 한국이 중미에서 [[FTA]]를 체결한 나라중 하나이다.[[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hm&sid1=101&oid=052&aid=0000932663|#]] 한국-중미 FTA가 니카라과와 온두라스를 시작으로 2019년 10월 1일부터 발효되고 코스타리카, 엘살바도르, 파나마도 발효될 예정이라고 산업통상자원부가 밝혔다.[[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2D&mid=shm&sid1=104&sid2=233&oid=001&aid=0011110859|#]] == 교통 교류 == 한국에서 온두라스로 가려면 [[미국]] 등 제3국에서 비행기를 한 번 갈아타야 한다. == 온두라스 교민 == 2020년 현재 온두라스에 거주하는 한국인 교민은 약 300명이다. 85%는 상공업 중심지인 산페드로술라에 거주한다. == 대사관 == 대한민국은 [[테구시갈파]]에, 온두라스는 [[서울특별시|서울]]에 대사관을 두고 있다. [[KOTRA]] 및 [[KOICA]]는 존재하지 않으나, 과테말라 무역관 및 KOICA 사무소가 온두라스를 관장하고 있다. == 관련 문서 == * [[대한민국/외교]] * [[온두라스/외교]] * [[대국관계일람/아시아 국가/동아시아 국가]] * [[대국관계일람/아메리카 국가/중앙아메리카 국가]] [각주]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온두라스, version=335, paragraph=9.1)] [[분류:대한민국의 대국관계]][[분류:온두라스의 대국관계]][[분류:나무위키 외교 프로젝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