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산하기관)] [include(틀:국가과학기술연구회 소관)]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90deg, #f1471d -10%, #f89c0e 10% 63%, transparent 70%), radial-gradient(circle at 65% 70%, #f89c0e 0%, #f68712 13%, #f03b25 22%, #ffffff 22.3%, #f89c0e 28%, #f1471d)" '''{{{#fff {{{+1 한국핵융합에너지연구원}}}[br]韓國核融合에너지開發院[br]Korea institute of Fusion Energy (KFE)}}}'''}}} || ||<-2> [[파일:한국핵융합에너지연구원 로고.svg|width=100%]] || || '''설립일''' ||[[2005년]] [[10월 1일]] || || '''원장''' ||유석재 || || '''주소''' ||[include(틀:지도, 장소=한국핵융합에너지연구원, 너비=100%)] ---- [[대전광역시]] [[유성구]] 과학로 169-148 (어은동) || || '''주무기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 '''형태''' ||기타공공기관(정부출연연구기관) || ||<-2> [[https://www.kfe.re.kr/|[[파일:한국핵융합에너지연구원 로고.svg|width=50]]]] || [목차] [clearfix] == 개요 == || [[파일:KFE본관.jpg|width=100%]] || || 한국핵융합에너지연구원 본관 || [[파일:국가핵융합연구소 로고.svg|width=200]] 국가핵융합연구소 시절 로고 [[파일:한국핵융합에너지연구원 워드마크 로고.svg|width=200]] 현재의 [[워드마크]].[* 심볼마크를 사용하는 버전과 워드마크를 사용하는 버전의 두 가지 로고가 있다. 둘 다 비슷한 빈도로 사용하는 중이다.] Korea institute of Fusion Energy (KFE), 한국핵융합에너지연구원은 [[대한민국]]의 [[핵융합]] 에너지 및 [[플라즈마]] 기술 연구를 담당하는 [[과학기술분야 정부출연연구기관]]이다. [[1996년]] 1월 핵융합연구개발사업단으로 출범하였고, [[2005년]] 10월 핵융합연구센터가 되었으며, [[2007년]]에 국가핵융합연구소로 승격된 뒤, [[2020년]] 한국핵융합에너지연구원으로 승격되었다. 위치는 [[대전광역시]] [[유성구]] [[대덕연구단지]] 내에 자리잡고 있다. == 연혁 == ||1995.12||국가핵융합연구개발기본계획 확정 및 사업착수 || ||1996.01||핵융합연구개발사업단 출범 || ||2002.09||핵융합특수실험동 건물 준공 || ||2003.06||한국 [[ITER]] 참여당사국 만장일치 승인을 통한 공식 가입 || ||2004.01||KSTAR 주장치 조립 및 설치 착수 || ||2005.09||부설 핵융합연구센터 기초기술연구회 이사회 승인 || ||2005.10||부설 핵융합연구센터 출범 [br] 핵융합연구센터 초대 신재인 소장 취임 || ||2005.12||국가핵융합에너지개발 기본계획 확정 || ||2006.11||ITER 공동이행협정 서명 || ||2006.12||핵융합에너지개발진흥법 공포 (법률 제8079호) || ||2007.09||국가핵융합연구소로 명칭 변경 [br] KSTAR 완공식 개최 및 ITER 한국사업단 출범 || ||2008.07||KSTAR 최초 플라즈마 발생 공식 선언 || ||2008.09||국가핵융합연구소 제2대 [[이경수(정치인)|이경수]] 소장 취임 || ||2010.10||제23차 국제핵융합컨퍼런스(FEC) 개최 || ||2010.11||세계 최초 KSTAR 고성능 H-모드 달성 || ||2011.09||국가핵융합연구소 제3대 권면 소장 취임 || ||2011.11||KSTAR 핵융합 플라즈마 불안정 현상(ELM) 억제 성공 || ||2011.12||제2차 핵융합에너지개발 진흥기본계획 수립 || ||2012.11||군산 플라즈마기술연구센터 개소 || ||2013.10||국가핵융합연구소 신축 본관 준공 || ||2014.07||핵융합가속기기술진흥협회(KAFAT) 출범 || ||2014.11||국가핵융합연구소 제4대 김기만 소장 취임 || ||2014.12||참여국중 최초로 국제핵융합실험로(ITER) 초전도 도체 성공적 조달 완료 || ||2017.04||제3차 핵융합에너지개발 진흥기본계획 수립 || ||2018.02||국가핵융합연구소 제5대 유석재 소장 취임 || ||2020.11||한국핵융합에너지연구원으로 승격|| == 연구 분야 == === [[KSTAR]]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KSTAR)] KFE에서 독자개발에 성공한 [[토카막]] 핵융합 실험로로 연구소 내에 위치하고있다. === [[ITER]]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ITER)] 국제공동 핵융합실험로 건설운영 사업으로 미국, 러시아, 유럽 연합(28개국), 중국, 인도, 일본, 대한민국 등 총 34개국이 참여중에 있다. === 선행기술 === KSTAR와 ITER를 통해 얻은 기술력으로 실험로를 넘어선 실증로 건설을 위한 연구개발을 수행중에 있다. KFE에서 실행하고있는 선행기술연구는 핵융합 에너지 상용화를 위한 실증 플랜트 설계 및 핵심 기술 개발, 핵융합 장치/공학 분야의 기초기술 개발, KSTAR 핵침기술의 기술이전을 통한 핵융합 생태계 조성등의 목적을 지니고있다. 2020년까지 실증로의 설계 및 건설 기술 연구를 완료하고 2021년부터 2035년까지 실증로의 설계, 건설 그리고 운영을 진행할 예정이다. 이후 2036년부터 핵융합에너지를 이용한 전기 생산 실증을 진행한다. === 플라즈마 응용기술 === >플라즈마는 그 발생 방식에 따라 각기 다른 특징을 지녀 반도체, 조명, 디스플레이, 의료장비 분야 뿐 아니라 오염된 공기, 물, 토양의 정화와 같은 환경개선 분야와 태양전지, 석탄가스화와 같은 신에너지 개발 분야 등 다양한 방식으로 NT, ET, BT, IT 분야에 융복합적으로 적용이 가능하다. >----- >한국핵융합에너지연구원 플라즈마 응용기술 개요 세간에 알려진 핵융합 에너지 연구 뿐만 아니라 플라즈마 원천기술 확보를 위한 연구 또한 진행되고있다. 기반기술 개발, 원천기술 개발, 응용기술 개발 세분야로 나뉘어서 진행되고 있다. === [[RAON(중이온가속기)]] 활용 === 독일의 중이온 연구소장은 [[RAON(중이온가속기)|라온]]이 최근 원자력 발전 확대를 추진하고 있는 한국의 정책적 방향에도 도움이 될 것이라 전망했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584/0000022861?sid=105|#]] 그는 “중이온가속기의 가장 중요한 역할 중 하나가 핵 데이터 생산”이라며 “현재와 미래의 원전 개발 그리고 핵융합에 있어 중이온가속기가 생산하는 핵 데이터들은 모두 그 기반이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 여담 == * 블로그에서 [[2014년]]부터 [[2016년]]까지 'Fusion Lab Story'라는 제목의 [[웹툰]]을 연재했었다. [[https://fusionnow.nfri.re.kr/post/webtoon|웹툰 링크]] 연구원들의 일상을 주 소재로 하였다. == 관련 문서 == * [[핵융합]] * [[KSTAR]] * [[ITER]] * [[RAON(중이온가속기)]] [[분류:기술]][[분류:물리학]][[분류:과학기술분야 정부출연연구기관]][[분류:2005년 설립]] [[분류:연구개발목적기관]][[분류:과학기술정보통신부]][[분류:대덕연구개발특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