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한국프로야구)] [include(틀:한국프로야구 역대 포스트시즌 목록)] [include(틀:2010년 한국프로야구 포스트시즌)] || [[파일:2010 CJ 마구마구 포스트시즌 엠블럼.svg|width=240]] || [목차] == 개요 == [[한국프로야구/2010년|2010년 프로야구]]에서 가을잔치에 초대받은 팀은 1위 SK, 2위 삼성, 3위 두산, 4위 롯데이다.~~동군팀들만의 두번째 시즌~~[* 첫번째는 [[한국프로야구/2008년 포스트시즌|2008년]]. 그리고 [[한국프로야구/2012년 포스트시즌|2012년]]에도 '''또''' 동군팀들만 4강에 안착했다.] 5전 3선승제의 준플레이오프는 9/29~10/5(10/1, 10/4 이동일), 5전 3선승제의 플레이오프는 10/7~10/13(10/9, 10/12 이동일), 7전 4선승제인 한국시리즈는 10/15~10/19(10/17 이동일~~[[일요일]] [[크리]]~~)까지 열렸다. 준플레이오프와 플레이오프가 전부 5차전까지 갔고, 한국시리즈에서는 '''SK 와이번스가 4연승으로 [[스윕]]을 하면서 한국시리즈 우승''' 준플과 플옵 모두 명승부로 평가받지만 한국시리즈는 역대급으로 일방적이었던 아이러니했던 포스트시즌이었다. == [[KBO 준플레이오프/2010년|준플레이오프]]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KBO 준플레이오프/2010년)] == [[KBO 플레이오프/2010년|플레이오프]]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KBO 플레이오프/2010년)] == [[2010년 한국시리즈|한국시리즈]]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2010년 한국시리즈)] == 여담 == * 2010시즌 1위 SK의 김성근 감독, 2위 삼성의 선동열 감독, 3위 두산의 김경문 감독, 4위 롯데의 제리 로이스터 감독 '''모두''' 이듬해 시즌이 끝나기 전에 모두 자신의 소속팀에서 떠났다. (순서대로 제리 로이스터 감독 경질(2010/10/21), 선동열 감독 자진사퇴(2010/12/30),[* 하지만 사실상 경질] 김경문 감독 자진사퇴(2011/06/13), 김성근 감독 경질(2011/08/18), 그런데 5~8위 팀의 감독들은 2011년 시즌을 끝까지 마쳤다. * 포스트시즌의 모든 단계에서 상위 승률 팀이 하위 승률 팀을 상대로 시리즈를 가져가면서[* 준플레이오프 3위 두산 베어스 승리, 플레이오프 2위 삼성 라이온즈 승리, 한국시리즈 1위 SK 와이번스 승리.] 이른바 업셋이 일어나지 않게 된 마지막 시즌이다. 2011년 이후로는 매 시즌마다 최소 한번은 업셋이 발생했었다.[* 2011년 PO, 2012년 준PO, 2013년 준PO 및 PO, 2014년 준PO, 2015년 PO 및 KS, 2016년 준PO, 2017년 준PO, 2018년 준PO 및 KS, 2019년 PO, 2020년 PO, 2021년 준PO 및 PO, 2022년 PO, 2023년 준PO에서 업셋이 발생하였다.] == 관련 문서 == * [[한국프로야구/2010년]] * [[KBO 준플레이오프]] * [[KBO 플레이오프]] * [[KBO 한국시리즈]] * [[KBO 포스트시즌]] * [[싸대기 매치]] [[분류:KBO 포스트시즌]][[분류:한국프로야구/2010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