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역대 KBO 신인 드래프트)] [목차] == 개요 == 사실상 '''KBO 최초의 신인 드래프트'''[* 1982년 드래프트도 있지만, 이 드래프트는 전력 불균형 해소를 위해 시즌 직전에 일부 팀들만 참여하여 진행되었다.]로 이 해부터 본격적으로 1차 지명과 2차 지명이 시작되었다. == 1차 지명 == 1차 지명은 각 팀에서 팀 별 연고지 내 고교 출신 선수를 뽑았다. 지명 수에 제한은 없었다. OB는 임시로 대전을 연고지로 쓰고 있었지만 원 연고지는 서울로 MBC와 겹치기에, 대전 및 충청 지역 선수 외에 서울 지역 선수들을 상대로 MBC와 지명을 했다. 양팀 지명 선수들 중 10명의 선수가 겹쳐,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82111100209208006&editNo=2&printCount=1&publishDate=1982-11-11&officeId=00020&pageNo=8&printNo=18802&publishType=00020|10명을 대상으로 드래프트를 했다]]. 이후로 두 팀은 1차 지명을 앞두고 동전 던지기나 주사위 굴리기 등으로 지명 순번을 정했다. 10명의 선수는 지명 순번대로고 그외에는 가나다 순이다. ※표시가 붙은 선수는 지명권 포기 등으로 지명팀에 입단하지 않았다. ||<:>
'''팀''' ||<:> '''1차 지명자 ''' || ||<:> [[MBC 청룡|[[파일:MBC 청룡 엠블럼(1982~1985).png|width=70px]]]] ||<|2> '''[[오영일]]'''(배명고-인하대, 투수)[br]'''[[김용수]]'''(동대문상고-중앙대, 투수)※[* 지명된 후 [[한일은행 야구단]]에 입단하지만, 이 때 지명 때문에 [[한국프로야구/1985년/신인 드래프트|1985년 신인지명]] 때 MBC에 그대로 지명됐다.][br]기세봉(충암고-포철-경리단, 투수)※[* 1년 뒤, [[한국프로야구/1984년/신인 드래프트|1984년 신인 드래프트]] 때 OB에 지명되어 프로에 입단했다.][br][[신계석]](경기고-경희대, 투수)[br][[김정수(1960)|김정수]](신일고-고려대, 외야수)[br][[박철영]](배명고-연세대, 포수)[br]김문영(선린상고-연세대, 외야수)[br]유성용(경기고-중앙대, 내야수)[br]이성수(충암고-동아대, 외야수)[br]'''이승희'''(서울고-한양대, 내야수)※[* 2년 뒤 1985년 신인 드래프트 때 OB 베어스에 지명되어 프로에 입단했다.][br][[최홍석(야구)|최홍석]](신일고-고려대, 외야수)[*삼미 지명권 양도 계약으로 [[삼미 슈퍼스타즈]]에 입단하였다.][br]편기철(부산고-건국대-농협-성무, 투수) || ||<:> [[MBC 청룡|{{{#ffff00 '''MBC 청룡'''}}}]] || ||<:> [[OB 베어스|[[파일:OB 베어스 엠블럼.svg|height=70]]]] ||<|2> '''(서울)'''[br]'''[[장호연]]'''(충암고-동국대, 투수)[br]정선두(장충고-실업롯데-경리단, 투수)[br]'''[[박종훈(1959)|박종훈]]'''(신일고-고려대-상업은행, 외야수)[br]'''[[이선웅]]'''(선린상고-인하대, 내야수)[*삼미] ---- '''(대전·충청)'''[br]'''[[송일섭]]'''(청주고-농협,성무, 외야수)[* 지명권 양도 계약으로 [[해태 타이거즈]]에 입단하였다.][br]'''[[정구선]]'''(대전고-동국대-한국화장품-경리단, 내야수)[*삼미][br]'''[[한대화]]'''(대전고-동국대, 내야수) || ||<:> [[OB 베어스|{{{#fff '''OB 베어스'''}}}]] || || [[롯데 자이언츠|[[파일:롯데 자이언츠 엠블럼(1975~1992).png|height=60px]]]] ||<|2> '''[[김석일]]'''(경남고-중앙대, 외야수)[br][[김성호(1960)|김성호]](부산고-건국대, 내야수)[br]김종근(경남고-중앙대, 내야수)[br]'''[[김호근]]'''(부산고-고려대, 포수)[br][[박영태]](마산상고-동아대, 내야수)[br][[박정후]](경남고-동아대, 투수)[br]'''[[배경환]]'''(경남고-연세대-포철-경리단, 투수)[br][[심재원(야구선수)|심재원]](부산고-성균관대-한국화장품, 포수)[br]'''[[양상문]]'''(부산고-고려대, 투수)※[* 지명된 후 [[한국화장품 야구단]]에 입단하고 2년 뒤 다시 지명받았다.][br][[우경하]](경남고-고려대-실업롯데-경리단, 외야수)[br]'''[[유두열]]'''(마산상고-한국전력, 외야수)[br]장상철(부산고-고려대, 내야수)※[br]'''[[최동원]]'''(경남고-연세대-실업롯데-한국전력, 투수)[br]'''[[한문연]]'''(마산상고-동아대, 포수) || ||<:> [[롯데 자이언츠|{{{#ec1c24 '''롯데 자이언츠'''}}}]] || || [[삼미 슈퍼스타즈|[[파일:삼미 슈퍼스타즈 엠블럼.png|width=80px]]]] ||<|2> [[김상기(야구)|김상기]](인천고-인하대, 투수)[br]'''[[김진우(1958)|김진우]]'''(인천고-인하대, 포수)[br]박명운(인천고-중앙대, 포수)[br]유응삼(동산고-농협, 외야수)※[br]'''[[임호균]]'''(인천고-철도청-동아대-한국전력, 투수)[br]최광묵(인천고-인하대, 외야수)※ || ||<:> [[삼미 슈퍼스타즈|{{{#b21528 '''삼미 슈퍼스타즈'''}}}]] || || [[삼성 라이온즈|[[파일:삼성 라이온즈 엠블럼(1982~1988).svg|height=70px]]]] ||<|2> '''[[김근석]]'''(경북고-고려대, 내야수)[br]'''[[김동재]]'''(경북고-연세대, 내야수)[br]'''[[김시진]]'''(대구상고-한양대-경리단, 투수)[br]'''[[박승호(야구)|박승호]]'''(대건고-건국대-실업롯데-성무, 내야수)[br]'''[[양일환]]'''(대구상고-건국대, 투수)[br]'''[[장효조]]'''(대구상고-한양대-포철-경리단, 외야수)[br][[정진호(1956)|정진호]](경북고-연세대-한국전력-경리단, 내야수)[br]'''[[홍승규]]'''(대구상고-성균관대, 외야수)[br][[황병일]](경북고-건국대, 외야수) || ||<:> [[삼성 라이온즈|{{{#fff '''삼성 라이온즈'''}}}]] || || [[해태 타이거즈|[[파일:해태 타이거즈 엠블럼(1982~1995).svg|height=70px]]]] ||<|2> [[장진범]](진흥고-영남대, 내야수)[br][[조종규]](군산상고-건국대-한국화장품-경리단, 포수) || || [[해태 타이거즈|{{{#f01e23 '''해태 타이거즈'''}}}]] || == 2차 지명 == 2차 지명은 롯데, 삼미, 삼성, 해태 4팀만 했다. ※표시가 붙은 선수는 지명권 포기 등으로 지명팀에 입단하지 않았다. ||<|2>
'''RD''' || [[롯데 자이언츠|[[파일:롯데 자이언츠 엠블럼(1975~1992).png|height=30px]]]] || [[삼미 슈퍼스타즈|[[파일:삼미 슈퍼스타즈 엠블럼.png|width=50px]]]] || [[삼성 라이온즈|[[파일:삼성 라이온즈 엠블럼(1982~1988).svg|height=40px]]]] || [[해태 타이거즈|[[파일:해태 타이거즈 엠블럼(1982~1995).svg|height=40px]]]] || ||<:> [[롯데 자이언츠|{{{#ec1c24 '''롯데'''}}}]] ||<:> [[삼미 슈퍼스타즈|{{{#b21528 '''삼미'''}}}]] ||<:> [[삼성 라이온즈|{{{#fff '''삼성'''}}}]] || [[해태 타이거즈|{{{#f01e23 '''해태'''}}}]] || || 1[br] → || 이석규[br](마산상고-동아대-한일은행,[br]내야수)[br]※ || [[김대진(야구)|김대진]][br](경북고-연세대-포철-경리단,[br]외야수) || 구영석[br](경북고-상업은행,[br]내야수)[br]※[* 1년 뒤 롯데에 재지명되어 프로 생활을 시작했다.] || 김현재[br](휘문고-제일은행-고려대-경리단,[br]투수) || || 2[br] ← || 정윤돈[br](경남고-경희대-한일은행,[br]내야수)[br]※ || [[유종천(야구)|유종천]][br](배문고-성균관대-포철-성무,[br]투수) || 조규식[br](대구상고-영남대-제일은행-상무,[br]투수)[br]※ || 박동경[br](서울고-상업은행,[br]투수)[* 지명권 양도 계약으로 [[삼성 라이온즈]]에 입단하였다.] || || 3[br] → || 패스 || '''[[이광길]]'''[br](대전고-인하대,[br]내야수) || 패스 || ~~[[양승호]]~~[br](신일고-고려대-상업은행,[br]내야수) || || 4[br] ← || - || 패스 || - || 이원일[br](청주고-제일은행,[br]포수)[br]※ || == 이모저모 == * 이 해 드래프트에서 가장 큰 수확을 거둔 팀은 롯데 자이언츠와 삼성 라이온즈로, 롯데는 1984년 리그 MVP를 수상한 최동원과 최동원의 전담 포수 한문연, 1984년 한국시리즈 MVP 유두열을 모두 이 해 뽑아 그 다음 해 한국시리즈에서 첫 우승을 차지한다. 삼성은 에이스 김시진과 타격의 달인 장효조를 지명했고, 나머지 선수들도 대부분 나쁘지 않은 성적을 기록하며 드래프트의 승자로 남았다. 그 외에도 장호연과 박종훈을 지명한 OB, 김진우와 임호균을 지명하고 이선웅과 정구선을 얻은 삼미도 쏠쏠한 이득을 얻었다. MBC는 오영일이 좋은 성적을 기록했지만 나머지 선수는 영 시원찮았고, 가능성을 보여주던 차에 요절한 김정수나 기대만큼 성장하지 못한 박철영은 아쉽게 됐다. 반면, 해태는 뽑은 선수 자체가 적어 큰 성과를 얻지 못했다. 그나마 트레이드로 OB에서 영입한 한대화가 주전 3루수 자리에서 활약한 것이 위안거리. * 박동경과 [[양승호]]는 1982년 실업야구에서 각각 최우수 신인투수상과 최우수 신인타격상을 수상했는데, 그런 둘을 해태가 지명하면서 대한야구협회는 프로야구에서 실업야구의 유망주들을 빼간다며 불만을 토로하기도 했다. 그러나 정작 이 둘은 프로 야구에서 기대만큼 활약을 보이지는 못했다. * 해태에 1차 지명된 [[조종규]]는 선수 생활 동안 큰 활약을 보이지 못하고 은퇴한 후 심판위원으로 전향해 심판위원장과 경기감독관을 지냈다. * 해태에서 1차 지명된 또다른 선수인 [[장진범]] 역시 프로에서 크게 이름을 날리지 못하고 은퇴한후 심판위원으로 전향했다. [[분류:KBO 신인 드래프트]][[분류:한국프로야구/1983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