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하위 문서, top1=한국철도공사 31x000호대 전동차/현황)] [include(틀:한국철도공사의 전동차)] ||<-3> [[한국철도공사|[[파일:코레일_기본_로고.svg|height=15]]]] {{{#!wiki style="margin: -10px -10px" || {{{#0052a4,#55b1ff '''한국철도공사 {{{+1 31x000호대 전동차}}}'''[br]{{{-1 KORAIL}}} Series 31x000 EMU }}} || }}}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한국철도공사 311x26편성(자석 도색).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IMG_4690.png|width=100%]]}}}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Resized_IMG_4298.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코레일311083.jpg|width=100%]]}}}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line1_311999.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1582875469294-4.jpg|width=100%]]}}}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1신주둥이.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IMG_2797.jpg|width=100%]]}}}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팡셔31902.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319000주둥이재보.jpg|width=100%]]}}} || ||<-3> {{{#0052a4,#55b1ff 외부}}}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1607071100613.jpg|width=9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Wide area railway_2.jpg|width=100%]]}}}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4세대실내.jpg|width=8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1주댕이.jpg|width=100%]]}}} || ||<-3> {{{#0052a4,#55b1ff 내부}}} || ||<-3> {{{#white '''차량 정보'''}}} || || '''차량형식''' ||<-2> 도시, 광역철도 입선용 통근형 전동차 || || '''구동방식''' ||<-2> 전기 [[동력분산식]] || || '''편성량수''' ||<-2> 10량(311000~312000) / 6량, 4량(319000) || || '''생산량수''' ||<-2> 1228량[* 311x01~18편성 [[폐차]], 휴차 밎 {{{#0052a4 311B91편성}}} 경춘선 환원으로 현재 1002량 운행 중이다.] || || '''운행노선''' ||<-2> [[파일:Seoulmetro1_icon.svg|width=16]] [[수도권 전철 1호선|{{{#0052a4,#55b1ff 수도권 전철 1호선}}}]] [br] [[파일:SBLine_icon.svg|width=16]]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fabe00,#e38705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 319000호대, 오이도~인천 구간만 운행] [br] [[파일:GJLine_icon.svg|width=16]]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77c4a3,#77c4a3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A 경의선 구간 한정] || ||<|12> '''도입년월일''' ||<|3> 1세대 || --1996.03.04~10.13(1차분)-- || || 1997.01.08~08.01(2차분) || || 1998.02.10~08.15(3차분) || ||<|3> 2세대 || 2002.01.07~06.01(4차분) || || 2002.07.02~2003.04.08(5차분) || || 2004.07.14~08.01(6차분) || ||<|5> 3세대 || '''[[2005년|2005.]][[7월 4일|07.04~]][[11월 27일|11.27]](7차분)''' || || '''[[2006년|2006.]][[1월 12일|01.12~]][[4월 8일|04.08]](8차분)''' || || 2011.01.20~2012.04.01(9차분) || || 2013.02.04~04.10(10차분) || || 2015.07.06~2016.02.09(11차분) || || 4세대 || 2019 / 2021~2022 || || '''제작사''' ||<-2> [[현대정공|[[파일:현대정공 로고.png|width=120]]]][br][[대우중공업|[[파일:대우중공업 로고.svg|width=120]]]][br][[현대로템|[[파일:현대로템 CI.svg|width=120]]]][br][[우진산전|[[파일:우진산전 CI.svg|width=120]]]] || || '''소유기관''' ||<|2><-2> [[한국철도공사|[[파일:코레일_기본_로고.svg|width=120]]]] || || '''운영기관''' || || '''차량배속''' ||<-2> [[구로차량사업소|구로차량기지]], [[이문차량사업소|이문차량기지]], [[병점차량사업소]] || || '''편성번호''' ||<-2> {{{#0052a4 311B01~312B56}}}(10량)[br]311G01~07(4량)[* 절대 319G가 아니다. 자세한 내용은 [[한국철도공사/편성번호]] 참조][br]319F08~10(6량) || ||<-3> {{{#white '''차량 제원'''}}} || ||<-3> {{{#!wiki style="margin: 0 -10px -6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전장''' ||<-2> 19,500㎜ || || '''전폭''' ||<-2> 3,120㎜ || || '''전고''' ||<-2> 3,750㎜ || || '''궤간''' ||<-2> 1,435㎜ || || '''급전방식''' ||<-2> 교류 25,000V 60㎐ / 직류 1,500V[* 319000호대 차량은 교류전용으로 직류장비가 없다.] || || '''차상신호장치''' ||<-2> [[열차자동정지장치|ATS]] || || '''제어방식''' ||<-2> [[도시바]] [[VVVF]]-[[GTO(반도체)|GTO]][br][[도시바]] [[VVVF]]-[[IGBT]][br][[현대로템]] [[VVVF]]-[[IGBT]](IPM)[* 미쓰비시 소자 기반이다.] || || '''동력 장치''' ||<-2> [[교류(전기)|교류]] [[삼상|3상]] [[교류전동기#s-3.2.1|농형 유도전동기]] || || '''기어비''' ||<-2> 14 : 99 (1:7.07) || || '''제동 방식''' ||<-2> 공기제동, 회생제동 || ||<|2> '''최고속도''' || 영업 || 110 ㎞/h || || 설계 || 110 ㎞/h [br] 120 ㎞/h[* {{{#0052a4 311B95~312B15편성}}}] || || '''기동 가속도''' ||<-2> 3.0 ㎞/h/s || ||<|2> '''감속도''' || 상용 || 3.5 ㎞/h/s || || 비상 || 4.5 ㎞/h/s || || '''전동차 비''' ||<-2> 5M 5T / 2M 2T / 3M 3T ||}}}}}}}}} || [목차] [clearfix] == 개요 == '''[[수도권 전철 1호선]] 위주로 운행된 통근형 전동차. 10량 1편성의 311000호대 및 312000호대와 4량 1편성 혹은 6량 1편성인 319000호대가 존재한다.''' 1호선 구간의 노선 연장과 복복선화에 따른 차량 증비와, 내구 연한이 가까워진 [[한국철도공사 1000호대 전동차]]들을 교체하기 위한 목적으로 도입되었다. 현재 125개 편성이 재적되어 있다.[* 등록되어 있는 편성 수는 125개 편성이나 [[수도권 전철 경춘선|경춘선]] 이적분이었던 {{{#0052a4 311B91편성}}}은 경춘선으로 돌아갔고 {{{#0052a4 311B01~02편성}}}이 [[수도권 전철 4호선|4호선]]의 부수 객차로 차출된 상태여서 사실상 122개 편성이 재적되어 있다.] 초기에 10량 1편성으로 도입된 차량은 도입 당시엔 5000호대를 부여받았으나, 현재는 개번을 거쳐 311000호대, 312000호대를 부여받았다. 이후 [[2008년]]부터 4량 1편성 및 6량 1편성 등 단편성화된 차량들도 등장하고 있으며, 이들은 319000호대를 부여받았다. '''한국 전동차 중 단일 계열 차종으로는 최다 편성수를 자랑한다.''' 이 차량들은 [[시흥차량사업소|시흥차량기지]] 또는 [[문산차량사업소|문산차량기지]] 등에서 중정비를 받는다.[* '''수도권 전동차의 중정비는 각 차량사업소의 여건에 따라(정비일정 등) 작업협의 등을 거쳐 배속 외 차량기지에서도 시행할 수 있다.'''] == 편성 == === 311000호대·312000호대 === ||<-2> ↑ '''[[인천역|{{{#0052a4,#55b1ff 인천}}}]]·[[서동탄역|{{{#0052a4,#55b1ff 서동탄}}}]]·[[신창역|{{{#0052a4,#55b1ff 신창}}}]] 방면''' || || '''31#0## (구 50##) (1)''' || Tc(SIV, 공기압축기, 축전지) || || '''31#1## (구 52##) (2)''' || M(주변환장치) || || '''31#2## (구 53##) (3)''' || M'(팬터그래프, 주변압기, 주변환장치) || || '''31#3## (구 58##) (4) ''' || T(부수차) || || '''31#4## (구 55##) (5)''' || M'(팬터그래프, 주변압기, 주변환장치) || || '''31#5## (구 54##) (6)''' || T1(SIV, 공기압축기, 축전지) || || '''31#6## (구 59##) (7)''' || T(부수차) || || '''31#7## (구 56##) (8)''' || M(주변환장치) || || '''31#8## (구 57##) (9)''' || M'(팬터그래프, 주변압기, 주변환장치) || || '''31#9## (구 51##) (10)''' || Tc(SIV, 공기압축기, 축전지) || ||<-2> ↓ '''[[청량리역|{{{#0052a4,#55b1ff 청량리}}}]]·[[광운대역|{{{#0052a4,#55b1ff 광운대}}}]]·[[양주역|{{{#0052a4,#55b1ff 양주}}}]]·[[소요산역|{{{#0052a4,#55b1ff 소요산}}}]] 방면''' || === 319000호대 === ||<-2> ↑ '''[[광명역|{{{#0052a4,#55b1ff KTX광명역}}}]] 방면''' || || '''3190XX (1)''' || Tc(SIV, 공기압축기, 축전지 || || '''3191XX (2)''' || M'(팬터그래프, 주변압기, 주변환장치) || || '''3192XX (3)''' || M'(팬터그래프, 주변압기, 주변환장치) || || '''3199XX (4)''' || Tc(SIV, 공기압축기, 축전지 || ||<-2> ↓ '''[[영등포역|{{{#0052a4,#55b1ff 영등포}}}]] 방면''' || == 차호별 상세설명 == === [[한국철도공사 31x000호대 전동차/차호별 상세설명|311000호대·312000호대]]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한국철도공사 31x000호대 전동차/차호별 상세설명)] [[2011년]]부터 전동차 차대번호가 5000번대에서 311000호대로 변경이 완료되었다. 차호 변경을 하면서 [[수도권 전철 중앙선|중앙선]]과 [[광명역|광명]]행 셔틀용으로 차출된 차량과 사고로 [[폐차]]된 5x19편성이 쓰던 번호는 뒷 번호의 차가 쓴 방식으로 번호 배정을 하였다.[* 5X20→311B19, 5X81→311B78] '''[[한국철도공사 2030호대 전동차|한국철도공사 2030호대(현.341000호대/351000호대) 전동차]]가 [[한국철도공사]] 사내 최초의 [[VVVF]] 전동차라면, 이후 운행과 정비 도중 축적된 노하우는 이 5000호대(현.311000호대) 전동차에 그대로 반영되었다.''' '''현재 모든 편성은 2008~[[2013년]] 사이에 객실 간 연결문이 투명 자동문으로 교체되었다. [[2012년]]부터 도입된 신차는 모두 자동문이 기본으로 장착되어 나온다.'''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경의·중앙선]]과 함께 열차 도색이 [[자석도색]]인데, 경의·중앙선을 운행한 열차와는 달리 [[도시바]] [[VVVF]]-[[GTO(반도체)|GTO]] [[구동음]]을 가지고 있는 열차 편성이 존재한다.''' [[한국철도공사 1000호대 전동차|저항 차량]]은 병점 이북 구간만을 운행하고, [[경부선]] 병점 ~[[신창역]] 및 [[부성역]] 구간은 전부 이 [[VVVF]] 차량으로 운행했다.[* 간혹 사상 사고나 차량 고장 등 다이아가 꼬인 상황에서 저항 차량이 신창행의 행선을 달고 운행하기도 하지만 구로나 병점에서 [[VVVF]] 차량으로 대부분 교체되었다. 다만 [[2005년]]까진 저항 차량이 가끔 천안 급행으로도 운행하었으나, 후술할 사건으로 인해서 중단되었다. 또한 저항 차량이 [[경부선]] [[성북역|성북]]~[[병점역|병점]] 계통에도 투입되기도 했으나, [[2013년]]부턴 완전히 퇴출되었다.] [[천안역]]까지 수도권 전철 1호선이 연장되자 기존 [[한국철도공사 1000호대 전동차|저항 차량]]을 [[천안역]]까지 투입시킨 적이 있는데 운행 다음 날 [[서울역]] 구내에서 제어기가 퍼져 버려 정상 운행에 차질을 빚은 적이 있기 때문이다.[* 문제의 1x42편성은 구로기지 소속이었지만 전 날 병점기지에서 출고되어 [[청량리역|청량리]]~[[천안역|천안]] 구간을 2번 왕복한 등 장다이어로 운행하다가 [[서울역]] 구내에서 사달이 나고 말았다. (병점기지 출고, [[병점역|병점]]→ 청량리, 청량리 → 천안, 천안 → 청량리, 청량리 → 천안, 천안 → 청량리, 청량리 → 인천, [[인천역]] 주박, 인천 → 의정부북부, 의정부북부 → 인천) 게다가 이 차량은 내장재를 불연재로 교체하기 이전이었기 때문에 초동 진압을 잘못 했다간 대형사고로 이어질 뻔했다.] 게다가 [[경부선]]은 긴 직선으로 이루어져 있고 타 노선 대비 역 간 거리도 장난이 아닌지라 주행 시엔 속도를 쭉쭉 뽑아내는데, 저항차는 직류 전동기를 채용하여 고속 주행 시 전동기 내에 있는 브러쉬[* 직류 전동기에만 있는 전동기의 코일에 직접 접촉하여 전류가 흐르게 한 장치. 참고로 교류 전동기는 코일과의 직접적인 마찰이 없이 순전히 전자기력으로만 구동되어, 직류 전동기보다 속도나 정비 시 든 비용 측면에선 더 효율적이다.] '''마모가 엄청나게 일어나며 정비 측면에서의 상당한 비용 낭비를 초래하게 된다.''' '''신호장비는 ATS-S2와 Kyosan Signal 일본제 ATS-P에 대응한다.''' === 319000호대 === 상대적으로 수요가 적은 노선에서 운행하기 위해 단편성화된 호대며, [[영등포역]]~[[광명역]] 셔틀 열차,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경의·중앙선]][* [[경의선]] 구간.] [[서울역]]행 열차, [[문산역]]~[[임진강역]]([[도라산역]]) 셔틀 등으로 운행하고 있다. [[영등포역]]~[[병점역]] 출퇴근 급행 열차로 운행한 적도 있다.[* [[2014년]] [[8월 25일]]~[[2016년]] [[12월 8일]] 운행] '''[[한국철도공사]] 최초로 원핸들 주간제어기를 채용한 차량이기도 하다.''' '''광명 셔틀 운행 구간 중에 [[경부고속선]]을 경유하여 [[KTX]]의 운행 시간표 변경 시 같이 영향을 받는다.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의 [[문산역|문산]]~[[서울역]], [[대곡역|대곡]]~[[서울역]] 구간의 셔틀 열차와 같이 [[KTX]] 운행 등으로 인해 자주 운행되지 않는다. 서로 운행한 노선만 다를 뿐, 특성이나 다른 부분이 비슷한 경우가 많다. 이러한 특성 때문에 광명 셔틀이 감편된 시절에 일부가 경의·중앙선 서울역행에 투입된 이력이 있다.''' || [[파일:external/www.2427junction.com/61a-1gm10.jpg|width=100%]] || || '''319x07편성'''의 운행 모습. 전두부가 [[2005년|2005]]~[[2008년]]까지 생산된 열차의 형태로 개조되어 있다. || '''[[1998년]]에 제작된 319X06~07편성은 [[2023년]]까지 운행될 예정이었으나, [[2036년]]까지 사용 가능 판정을 받았다. 그러나 불용열차로 분류되며 [[2020년]]부터 구로차량기지에 2편성 같이 유치되어 움직이지 조차 않고 있다. 사실상 "퇴역"한 모양이다.''' '''319X08~10편성은 6량 편성의 4세대 전동차로, [[2022년]] 말에 개통된 [[연천역|연천]]~[[광운대역]] 간 셔틀열차로 운행할 예정이며, [[2020년 8월]] 말에 연천 셔틀 3편성이 모두 [[시흥차량사업소|시흥차량기지]]로 내려왔다. 연천 연장 개통 전까지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수인·분당선]][* [[수인선]] 구간.] [[오이도역|오이도]]~[[인천역|인천]] 구간 셔틀열차로 운행된다.'''[* 수인·분당선 개통 이후에도 오이도~인천 간 운행계통은 존치되며 수인·분당선 중 수인선 구간의 배차를 채우기 위해 상당히 많은 횟수가 다닌다. 다만 이 차량은 [[열차자동제어장치|ATC]] 장치가 없기 때문에 [[고색역]]~[[왕십리역]] 구간은 운행할 수 없다. 수인·분당선 중 분당선 구간 운행을 위한 ATC 개조는 안하기로 정해졌다.] '''{{{#0052a4 319x01~05편성}}}의 차내 모니터가 천장형 LCD로 교체되었다.''' '''319x01~05편성은 개조당시엔 구형 [[열차자동정지장치|ATS]] 속도계(아날로그 게이지)를 사용했지만 지금은 신형 ATS 속도계(디지털)가 장착되었다.''' ==== 4량화 및 병결 시도 ==== [[광명역]]행 셔틀 열차는 [[2006년 12월]]부터 운행하기 시작하였으나, [[광명역]]의 이용객이 워낙 저조하여 수요가 거의 없고, [[공기수송(교통)|10량 열차 전체가 거의 텅텅 빈 채로 다닌 지경이었다]]. 이를 보다 못한 [[한국철도공사]]가 기존 5x79~80, 5x86~92, 6x01~07편성과[* 5x79~80편성은 팬터그래프가 있는 칸과 운전실 없는 공기압축기가 장착된 객차만 광명셔틀로 개조하고 나머지는 중앙선으로 개조 목적으로 떼어냈으며, 319x01~05편성은 5x79~80, 5x86~92, 6x01~07편성의 차량 중 55xy,54xy 65xy, 64xy차량 중 일부를 조합해서 만들어 낸 편성이다.] 추돌 사고로 파손된 5x19편성의 잔여 차량[* 5019-5319-5519-5419가 319x06편성으로, 5819-5219-5619-5919가 319x07편성으로 개조되었다.]을 개조, 직류 기기를 떼어내고 4량짜리 셔틀 열차로 만들어 투입했다. '''개조 작업이 [[현대로템]]에서 이루어졌는데, 기존 차량의 천장에 붙어 있던 LED 전광판을 [[철거]]하고 문 위에 LCD 모니터를 박아넣은 걸 제외하면 내장재는 거의 변화가 없다. 특히 5x19편성을 개조한 319x06~07편성의 경우, 전두부는 3세대 전동차 초기형의 그것이지만 측면과 내장재는 당시 5x19편성과 거의 똑같다. 전두부의 경우는 굳이 번거롭게 설계를 바꿔서 구형차 형태를 다시 찍어낼 필요 없이, 당시부터 쓰이기 시작한 형태 그대로 만들어 내다 보니 짬뽕이 된 것이다. 인버터 소자도 당초 5x19편성의 [[GTO(반도체)|GTO]] 그대로 쓰였으나 현재는 319x06~07편성도 319x01~05편성과 동일한 [[IGBT]] 인버터로 교체되었다.''' '''당초 광명 셔틀의 4량화를 할 때, 기존의 [[용산역|용산]]~[[광명역|광명]] 구간을 그대로 운행하기 위해서 7개 편성으로 개조한 뒤 투입하려 했다. 하지만 개조 작업 도중 출발역이 변경되어 전체 운행 구간이 짧아지면서 전체 7개 편성 중 2개 편성이 남게 되자, 남은 2개 편성을 병결시켜서 4+4량인 1개 편성을 만든 후 당시 진행 중이던 중앙선의 8량화 작업에 활용할 계획을 세웠다. 하지만 2편성끼리 병결할 경우 선두부 차량의 길이와 중간 차량의 길이가 같지 않은 열차의 특성상 스크린도어/승강장 문 위치와 열차 문의 위치가 맞지 않는 문제가 발생하여 없던 일이 되었다.''' ==== 경의선 운행 / [[대불선]] 시험 운행 ==== * '''319x03편성과 319x05편성은 [[경의선]]의 문산 ~[[서울역]], [[대곡역|대곡~]][[서울역]] 구간에 투입되어 운행한 적이 있다. 기지 입·출고를 하거나 첫차, 출퇴근, 막차 시간대일 때만 문산까지 연장 운행을 하고 다른 시간대엔 [[대곡역|대곡~]][[서울역]] 구간만 운행했다.'''[* 후에 [[대곡역|대곡~]][[공덕역|공덕]] 급행 열차가 생겼을 때 319x03편성이 다시 경의선으로 가서 운행했다.] *''' 319x04편성은 자동운전 시험 열차로 차출되어 [[대불선]] 구간을 시험 운행한 적이 있다. [[2014년 9월]]에 [[문산차량사업소|문산기지]]로 다시 돌아온 것이 확인되었다고 한다.''' * '''319x05편성이 [[일로역]]으로 내려간 적이 있다. [[2016년]] [[7월 31일]], [[갑종회송]]으로 통해 다시 [[병점차량사업소|병점차량기지]]로 올라왔다. 당시에 차량 상태가 영 좋지 않아 보였는데, 올라올 때 [[병점차량사업소|병점차량기지]]로 내려가지 못하고 [[오봉역]]에서 타절되었는데, 그 이유가 차량에 이상이 생겨서 그렇다고 한다. [[8월 8일]], 10시경에 다시 일로로 [[갑종회송]] 될 예정이었으나, 차량에 문제가 발견되어 약 4시간 가량 지연된 후 [[갑종회송]]되었다. 차량도 2년 동안 세차하지 않아 많이 더러운 상태다. 이후 [[영등포역|영등포]]~[[광명역|광명]] 셔틀로 정상 운행되었다가, [[2017년 12월]] 다시 경의중앙선 [[문산역|문산~]][[서울역]] 구간에 차출되어 운행되었다가... 언제부턴가 계속 나오지 않고 있어 [[문산차량사업소|문산차량기지]]에서 휴차된 상태로 가끔씩 입환용으로만 사용하고 있다가 [[2021년]] [[3월 28일]]에 K2602 다이아로 [[문산역|문산~]][[임진강역|임진강]] 구간에 투입되었고, 현재는 주로 [[문산역|문산~]][[임진강역|인진강]] 구간 셔틀 열차로 간혹 운행되고 있다.''' ==== 수인선 운행 ==== * '''[[2020년]] [[12월 15일]], K6803 인천급행으로 319x08편성이 수인선에서 운행을 시작했다.'''[[https://blog.naver.com/lsam8410/222185948388|#]] * '''[[2020년]] [[12월 23일]], K6803 인천급행으로 319x10편성이 수인선에서 운행을 시작했다.''' * '''[[2021년]] [[2월 10일]], K6803 인천급행으로 319x09편성이 수인선에서 운행을 시작했다.''' == 사건사고 == === [[2001년]] 5x16편성(현.{{{#0052a4 311B16편성}}}) [[주안역]] 탈선 사고 === '''[[2001년]] [[11월 18일]], 인천발 성북행 K14 열차로 운행 중이던 5x16편성(현.{{{#0052a4 311B16편성}}})이 당시 복복선 공사 중이던 [[주안역]]을 출발하던 중 탈선하여, [[경인선]] 부평-인천 간 운행이 4시간가량 중단되었다. 사고 편성은 수도권철도차량정비단으로 옯겨져 약 한 달 동안 수리 후 복귀하였다.''' === [[2007년]] 5x19편성 [[영등포역]] 추돌 사고 === === [[2010년]] 5x75편성(현.{{{#0052a4 311B74편성}}}) 구로차량기지 추돌 사고 === === [[2011년]] {{{#0052a4 311B54편성}}} 병점차량기지 침수 사고 === === [[2012년]] {{{#0052a4 311B58편성}}} [[종로5가역]] 탈선 사고 === '''[[2012년]] [[3월 2일]], {{{#0052a4 311B58편성}}}이 [[서울역]]에서 출입문 고장으로 멈춰서 뒤 후속열차와 연결해 기지로 이송하던 상황에서 바퀴 일부분이 탈선한 사고가 발생했다.''' '''현재 {{{#0052a4 311B58편성}}}은 수리를 마치고 정상 운행 중이다.''' === [[2013년]] {{{#0052a4 311B47편성}}} [[천안역]] 탈선사고 === === [[2015년]] {{{#0052a4 311B26편성}}} [[인천역]] 탈선 사고 === === [[2016년]] {{{#0052a4 311B63편성}}} 출입문 유리 빠짐 사고 === === [[2018년]] {{{#0052a4 311B02편성}}} [[노량진역]] 탈선 사고 === '''[[2018년]] [[6월 19일]]에 구로차량기지발 용산행 회송 열차로 운행되던 {{{#0052a4 311B02편성}}}이 [[노량진역]]에서 탈선한 사고가 발생했다. 해당 편성은 사고 직후 구로기지를 거쳐 [[시흥차량사업소|시흥차량기지]]에 유치됐고, 이후 1년 가까이 방치됐다.''' '''[[2018년 8월]] 311202, 311402, 311802호만 4호선 도색으로 바뀌었다. 당초엔 무슨 의도인진 알 길이 없으나 341000호대 차량 일부가 판정을 받아서 해당 차량들을 대체할 목적으로 차출되어, {{{#00bfff 341B07, 341B12~13편성}}} 모두 9호차(3418XX호)에 각각 {{{#0052a4 311B02편성}}}의 311802, 311412, 311202호가 연결되어 운행하고 있다. 1993년산 객차는 문제가 없지만 2년 늦게 생산된 1995년산 객차에서 문제가 발생했다.''' '''[[2018년 10월]] 기준, {{{#0052a4 311B01편성}}}도 중간차 8량이 전부 4호선으로 차출되어 {{{#00bfff 341B04편성}}}의 중간차 8량과 조성이 맞바뀐 상태로 휴차됐고, [[2019년 2월]], {{{#0052a4 311B40편성}}}의 저항차량 무동력 객차가 노후화되면서 이를 대신해 311602, 311302호가 들어가고 이로써 최종적으로 {{{#0052a4 311B01~02편성}}}은 각각 2량(311B01(311001, 311901)), 5량(311B02(311002, 311102, 311502, 311702, 311902))이 되어 운행을 중지했다. {{{#00bfff 341B04편성}}}의 341804호부터 341104호까지 모두 {{{#0052a4 311B01편성}}}의 311801~311201호로 교체됐지만 내부 및 외부 편성 번호는변경되 않았다.''' '''[[2018년 9월]] 기준 두 편성은 방치 중이었다. {{{#0052a4 311B02편성}}}은 {{{#0052a4 311B01편성}}}과 같이 [[2022년 8월]]에 폐차매각되어 차적에서 완전히 삭제됐다. [[2022년]]부터 1호선의 {{{#0052a4 311B03~41편성}}} 차량이 퇴역하기 시작했고 신형 전동차로 교체되고 있기 때문이다.''' === [[2020년]] {{{#0052a4 312B04편성}}} 운행 중단 사고 === === [[2021년]] {{{#0052a4 311B38편성}}} [[외대앞역]] 고장 사고 === === [[2021년]] {{{#0052a4 311B83편성}}} [[신도림역]] 단전 사고 === === [[2021년]] {{{#0052a4 311B69편성}}} [[노량진역]] 고장 사고 === === [[2022년]] {{{#0052a4 312B03편성}}} [[남영역]] 고장 사고 === === [[2022년]] {{{#0052a4 312B01편성}}} 한강철교 고장 사고 === === [[2023년]] {{{#0052a4 319x01편성}}} [[광명역]] 할출 사고 === === [[2023년]] {{{#0052a4 311B59편성}}} [[금정역]] 고장 사고 === == 문제점 == == 개조 이력 == === 4량화 (319x01~07편성) === '''[[2008년]], 311000호대 7차분인 5x79~80편성의 중간차와 5x86~92편성과 6x01~07편성 부수차 일부 그리고 사고로 인해 선두부쪽 2량이 [[폐차]]된 5x19편성, 총합 28량에 대해, 일부 중간차에 대하여 선두차화 개조를 실시하였다.'''[* 다만 5x79~80편성의 선두차는 321000호대 전동차의 321C15~16편성의 선두차로 편성되었다.] 이를 통해 8량 3편성과 2량 2편성은 4량 7편성으로 적절히 개조되었다. 이렇게 개조된 편성들은 319000호대로 개번되어 운행되고 있다. 이 과정에서 5x79~80편성이 결번되었으며, 5000호대가 311000호대로 개정될 때 구 5x81편성부터 구 5x85편성까지는 3씩 앞당겨, 5x81편성은 {{{#0052a4 311B78편성}}}부터 5x85편성은 {{{#0052a4 311B82편성}}}으로 개정되었다. === 내장재 불연재화 개조 === '''[[2003년]] [[11월]]말부터 객실 내장재가 불연재 대응이 되어 있지 않은 {{{#0052a4 311B01~63편성}}}(구.5x01~18, 20~64편성)에 대해 내장재의 불연재화 개조공사를 시행하여, [[2006년]]에 완료되었다.''' '''{{{#0052a4 311B01~29편성}}}이 1차로 로윈, {{{#0052a4 311B30~41편성}}}이 2차로 로윈, {{{#0052a4 311B42~63편성}}}이 3차로 [[SLS중공업]]에서 실시.''' '''특히 {{{#0052a4 311B39편성}}}의 7호차 T칸, {{{#0052a4 311B41편성}}}의 4, 7호차 T칸의 경우 좌석이 한 자리씩 분리돼 있고 의자 맨 끝 부분이 적절하게 파여 있어서 창틀에 기대어 자기가 매우 편하게 되어 있다.'''[* 해당 차량이 4호선 출신 341602호, 341304호와 341604호기 때문이다. 93년산 4호선 초기형 차량들의 의자는 모두 이렇게 되어있다. {{{#00bfff 341B01~08편성}}}이 해당 차량이다. {{{#00bfff 341B04}}}는 1호선 {{{#00bfff 311B01}}}의 부수객차 8량이 들어가 TC칸 한정이다.] '''여담으로 2차 개조분들의 경우 바닥이 [[회색]]으로 되어 있어 바닥에 커피 등이 묻었을 때 자국이 많이 남는 편이다.''' '''{{{#0052a4 311B07~10편성}}}은 [[2003년 12월]]에 개조되었다.''' === 외부 행선안내기 [[LED]] 개조 === '''[[2003년]]부터 내장재 불연재화 개조와 함께 외부 행선안내기가 기존의 회전 스크린식(흔히 말한 롤지)인 {{{#0052a4 311B01~63편성}}}에 대하여 외부 행선안내기를 LED로 변경한 개조를 실시하였다. 불연재화 개조와 함께 [[2005년]]에 완료.''' === [[한국철도공사]] 신 CI 도색 변경 === '''도입 당시 구 CI로 도입된 {{{#0052a4 311B01~52편성}}}에 한해, [[2005년]]부터 한국철도공사가 신CI의 코레일 블루(남색)+[[빨간색]]으로의 도장 변경에 나섰다. 2005~[[2006년]]에 내장재교체 사업과 함께 도장 변경사업 완료.''' === 객실간 통로문 자동식 개조 === '''[[2008년]]부터, 한 편성씩 객실 간 연결문이 자동문으로 모두 교체되었다.''' === 교류 전용화 (321000호대 일부) === '''5X86~92편성을 대상으로 한다. 이들은 본래 [[수도권 전철 1호선]]의 모든 구간에서 운행이 가능했으나, [[2007년]]에 [[수도권 전철 중앙선]] [[한국철도공사 321000호대 전동차|전동차]]로 편입되면서 8량으로 감차됨과 동시에, 직류-교류 컨버터와 필터리액터 등 직류 관련 기기를 [[철거]]하여 교류 전용 전동차가 되었다. 직류구간 뛰지도 않으면서 직류기계 달려있으면 정비효율만 저하시킬 뿐이기 때문. 이와 동시에 중앙선'''[* 현재는 경의선과 직결, 통합되어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경의중앙선]]이 되었다.]'''에서만 운용할 수 있게 되어, 차량번호도 {{{#72c7a7 321C01~07}}}로 변경되었으며 8량화 작업으로 인해 남은 중간차는 새로 신조 투입된 {{{#72c7a7 321C15~18편성}}}이나 {{{#0052a4 319x01~05편성}}}의 중간 객차로 들어갔다. 이 과정에서 내부 행선 안내기를 {{{#72c7a7 321C15~18편성}}}에 맞춰 LED에서 LCD로 변경한 개조도 실시.''' === [[IGBT]] 개조 === * '''[[2012년]] [[6월]] 2세대 5차분인 {{{#0052a4 311B63편성}}}''' * '''[[2013년]] [[8월]] 1세대 3차분인 {{{#0052a4 311B35편성}}}''' * '''[[2015년]] [[9월]] 1세대 2차분인 {{{#0052a4 311B16편성}}}''' * '''[[2015년]] [[12월]] 2세대 5차분인 {{{#0052a4 311B48편성}}}''' * '''[[2016년]] [[5월]] 1세대 3차분인 {{{#0052a4 311B37~41편성}}}''' ({{{#0052a4 311B39~41편성}}}은 중저항 T칸 부수차 포함) * '''[[2017년]] [[8월]] 2세대 5차분인 {{{#0052a4 311B54~56, 311B59편성}}}''' * '''[[2018년]] [[7월]] 2세대 4차분인 {{{#0052a4 311B42~44편성}}}''' * '''[[2019년]] [[6월]] 2세대 4차분인 {{{#0052a4 311B45편성}}}''' '''[[2013년]]부터 일부 차량의 추진제어장치(C/I)가 [[IGBT]] 방식으로 교체되었다. [[도시바]] 기반 [[우진산전]]제 2레벨 [[IGBT]]를 채용했다.''' '''1세대 차량은 추진제어장치가 [[IGBT]]로 교체되었지만, 고속주행은 여전히 [[GTO(반도체)|GTO]] 소자 그대로다.''' === 전부 표지등 [[LED]] 교체 === '''[[2015년]] 즈음부터 기존 실드빔 방식의 [[전조등]]이 [[흰색]] [[LED]]로 변경되기 시작했다.''' === 출입문 전동화 개조 === '''{{{#0052a4 311B47, 51~54, 58~60편성}}}은 출입문이 기존 공기식에서 전동 스크류모터 방식으로 개조되었다. 개조를 실시함에 따라 출입문 개폐 시 공기 빠진 소음이 사라졌다. 추가로 {{{#0052a4 311B55~57편성}}}도 전기식으로 개조되었는데 [[2013년]]부터 생산된 신차에 적용된 저소음 도어가 적용되었다. 해당 차량들은 열릴때 경고음이 나왔고 닫힐 땐 안 나오다가 아예 출입문 경고음이 나지 않았지만 지금은 안내방송 기기 교체로 경고음이 난다.'''[* 하지만 문이 닫히고 약 1~2초 후에 경고음이 나온다.]노선도 부분에 큰 장치(수동레버)가 붙어서 튀어나와 있는지의 여부로 구분할 수 있다. 이는 비상콕크가 좌석 밑에 설치된 종전의 공기식 모터와 달리 출입문 옆에 설치된 전기식 스크류모터를 설치할만한 공간을 고려하지 않은 구형 전동차의 구조상 어쩔 수 없기 때문이다. === 조성 변경 === '''[[2017년]]부터 1호선도 일부 전동차의 객차 노후화로 조성을 변경하게 되었다.''' '''현재까지는 {{{#0052a4 311B39~41편성}}}까지 총 3개 편성만이 1호선에서 유일하게 조성을 변경하였다.''' '''편성제외된 객차들은 현재 모두 매각되었다.''' '''{{{#0052a4 311B53~54편성}}} 중 311753, 311853호와 311754, 311854호와 [[2014년]]도에 바꿔치기했으나 [[2015년]]도에 다시 원상복구되었다.'''[* [[2011년]]도에 일어난 {{{#0052a4 311B54편성}}} 병점차 침수사고와는 관계가 없다. {{{#0052a4 311B54편성}}} 침수사고 이후에도 [[2014년]]도에 1년 가까이 운휴된 적이 있으며 이와 관계가 있던 것으로 추정된다.] || 편성 || '''교체투입된 차량''' || '''편성제외된 차량''' || || {{{#0052a4 311B39}}} (구.5x40) || 341602(7)[* 이 차량이 {{{#0052a4 311B39편성}}}에 편입되면서 {{{#00bfff 341B02편성}}}은 운행이 중지되었다.] || 311639(7) || || {{{#0052a4 311B40}}} (구.5x41) || 341313(4), 341613(7)[* [[2017년]] 말에 311302, 311602호로 교체되었으나, 내구연한 만료로 [[2022년 2월]]에 재교체되었다.] || 311340(4), 311640(7) || || {{{#0052a4 311B41}}} (구.5x42) || 341304(4), 341604(7) || 311341(4), 311641(7) || == 관련 문서 == * '''[[수도권 전철 1호선]]''' * '''[[VVVF]]''' * '''[[한국철도공사 321000호대 전동차]]''': [[수도권 전철 중앙선]]용 전동차[*A 현재는 경의·중앙선용 전동차다.][* 1000호대의 옛 번호인 5000호대 시절에 존재했던 5x86~92편성이 [[교류(전기)|교류]] 전용화 개조를 받고 중앙선에서 운행 중이다. 5x85편성까지는 현 311000호대로 개편되었다.] * '''[[한국철도공사 331000호대 전동차]]''': [[수도권 전철 경의선]]용 전동차[*A 현재는 경의·중앙선용 전동차다.] * '''[[한국철도공사 341000호대 전동차]]''': [[수도권 전철 4호선]]용 전동차[* [[납작이|1기형]], [[동글이|2기형]] 열차의 기초가 되었다.] * '''[[한국철도공사 351000호대 전동차]]''':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용 전동차[* [[납작이|1기형]] 열차의 기초가 되었다.] * '''[[한국철도공사 361000호대 전동차]]''': [[수도권 전철 경춘선]]용 전동차[* 361C14~15편성이 1호선으로 이적되면서 직교류 겸용 및 10량화 개조를 받고 {{{#0052a4 311x90~91편성}}}으로 바뀌었다. 하지만 91편성은 [[2017년]]에 8량으로 환원되어 경춘선으로 돌아갔다.] [각주]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코레일 312000호대 전동차, version=45)]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코레일 319000호대 전동차, version=118)] [[분류:대한민국의 철도차량]][[분류:전동차]][[분류:수도권 전철 1호선]][[분류:1996년 출시]] [include(틀:포크됨2, title=한국철도공사 31x000호대 전동차, d=2022-07-09 16:26: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