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한국철도공사가 1호선에서 운행했던 저항제어 전동차, rd1=한국철도공사 1000호대 전동차, other2=서울교통공사가 1호선에서 운행 중인 VVVF 전동차, rd2=서울교통공사 1000호대 VVVF 전동차)] [include(틀:하위 문서, top1=한국철도공사 31x000호대 전동차/현황)] [include(틀:관련 문서, top1=한국철도공사 5000호대 전동차/현황)] [include(틀:한국철도공사의 전동차)] ||<-3> {{{#!wiki style="margin: -10px -10px" || {{{#0052a4 '''한국철도공사 {{{+1 31x000호대 전동차}}}'''[br]{{{-1 KORAIL}}} Series 31x000 EMU }}} || }}}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한국철도공사 311x26편성(자석 도색).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IMG_4690.jpg|width=100%]]}}}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Resized_IMG_4298.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코레일311083.jpg|width=100%]]}}}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line1_311999.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1582875469294-4.jpg|width=100%]]}}}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1신주둥이.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IMG_2797.jpg|width=100%]]}}}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팡셔31902.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319000주둥이재보.jpg|width=100%]]}}} || ||<-3> {{{#0052a4,#55b1ff 외부}}}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1607071100613.jpg|width=9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Wide area railway_2.jpg|width=100%]]}}}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4세대실내.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1주댕이.jpg|width=150%]]}}}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_MG_0091.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 || ||<-3> {{{#0052a4 내부}}} || ||<-3> {{{#white '''차량 정보'''}}} || || '''차량형식''' ||<-2> 도시, 광역철도 입선용 통근형 전동차 || || '''구동방식''' ||<-2> 전기 [[동력분산식]] || || '''편성량수''' ||<-2> 10량 1개 편성 / 6량 1개 편성 / 4량 1개 편성 || || '''생산량수''' ||<-2> 1585량 (예정)[* 311B01~18, 20~23, 28~29, 319G06~07편성 [[폐차]], 19, 25~27, 30~31, 33~34, 39~41편성 휴차 및 311B91편성의 [[수도권 전철 경춘선|경춘선]] 환원, 312B41~56편성 시운전 및 미도입 상태이므로 현재 1060량이 운행 중이다. 또한 5X19편성 중 5719, 5119호는 개번 전 조기폐차, 311B39~41편성 중 311639, 311340, 311640, 311341, 311641호 T(무동력)칸 5량은 [[한국철도공사 1000호대 전동차]] 출신, 311B90~91편성 중 16량은 [[한국철도공사 361000호대 전동차]] 출신이므로 생산 량수에서 제외된다.] || || '''운행노선''' ||<-2> [[파일:Seoulmetro1_icon.svg|width=16]] [[수도권 전철 1호선|{{{#0052a4 수도권 전철 1호선}}}]][br][[파일:GJLine_icon.svg|width=16]]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77c4a3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5 (319G05편성)}}}[br][[파일:SBLine_icon.svg|width=16]]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fabe00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5 (319F08~10편성)}}} || ||<|20> '''도입년도''' ||<|3> 1세대 || {{{#gray 1996.03.01~11.01(1차분)}}} || || 1997년 (2차분) || || 1998년 (3차분) || ||<|3> 2세대 || 2002년 (4차분) || || 2003년 (5차분) || || 2004년 (6차분) || ||<|6> 3세대 || 2005 ~ 2006년 (7차분) || || [[2006년]] (8차분) || || 2012 , [[2014년]] (9차분) || || 2010 , [[2014년]] ([[한국철도공사 361000호대 전동차|{{{#178C72 361000호대 전동차 이적분}}}]]) || || [[2013년]] (10차분) || || [[2016년]] (11차분) || ||<|2> 4세대 || 2019 ~[[2020년]] (12차분) || || 202 ~[[2022년]] (13차분) || ||<|2> 5세대 || 2022~[[2023년]] (14차분) || || 2023~[[2024년]] (15차분) || ||<|4> 미정 ||<-2> [[2027년]] 예정 (16차분) || ||<-2> [[2028년]] 예정 (17차분) || ||<-2> 2029~[[2030년]] 예정 (18차분) || ||<-2> [[2031년]] 예정 (19차분) || ||<|4> '''제작사''' ||<-2> [[현대로템|현대정공]] (--1~--2차분) || ||<-2> [[대우중공업]] (3차분) || ||<-2> [[현대로템]] (4~13차분, [[한국철도공사 361000호대 전동차|{{{#178C72 361000호대 전동차 이적분}}}]]) || ||<-2> [[우진산전]] (14~15차분) || || '''소유기관''' ||<|2><-2> [[한국철도공사]] || || '''운영기관''' || || '''차량기지''' ||<-2> [[구로차량사업소]][* 311B32편성, 311B35~38편성, 311B42~46편성, 311B48~53편성, 311B57~58편성, 311B66~69편성, 311B83~90편성, 311B92~312B15편성, 312B34~36편성, 312B41~43편성, 319G01~319G04편성][br][[이문차량사업소]][* 311B24편성, 311B81~82편성, 312B16~33편성, 312B37~40편성][br][[병점차량사업소]][* 311B47편성, 311B54~56편성, 311B59~65편성, 311B70~80편성][br][[시흥차량사업소]][* 319F08~10편성][br][[문산차량사업소]][* 319G05편성] || || '''차량번호''' ||<-2> 311B01~312B56 (10량)[br]319G01~07 (4량)[br]319F08~10 (6량) || ||<-3> {{{#white '''차량 제원'''}}} || ||<-3> {{{#!wiki style="margin: 0 -10px -6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전장''' ||<-2> 19,500㎜ || || '''전폭''' ||<-2> 3,120㎜ || || '''전고''' ||<-2> 3,750㎜ || || '''궤간''' ||<-2> 1,435㎜ || || '''재질''' ||<-2> 스테인리스 스틸{{{-3 (1~13차분)}}}[br]알루미늄{{{-3 ([[한국철도공사 361000호대 전동차|{{{#178C72 361000호대 전동차 이적분}}}]], 14~15차분)}}} || || '''급전방식''' ||<-2> 단상 교류 25,000V 60㎐ / 직류 1,500V[* 319000호대 차량은 교류 전용으로 직류 장비는 없다.] || || '''신호장비''' ||<-2> [[열차자동정지장치#s-2.2|ATS-S1]][br][[열차자동정지장치#s-2.3|ATS-S2]] || || '''제어방식''' ||<-2> [[도시바]] [[VVVF]]-[[GTO(반도체)|GTO]][br][[도시바]] [[VVVF]]-[[IGBT]][br][[현대로템]] [[VVVF]]-[[IGBT]](IPM)[* [[미쓰비시전기|미쓰비시]] 소자 기반이다.][br][[우진산전]] [[가변 전압 가변 주파수 제어|VVVF]]-[[IGBT]][* [[미쓰비시전기|미쓰비시]] 소자 기반이다.] || || '''동력장치''' ||<-2> [[교류(전기)|교류]] [[삼상|3상]] [[교류전동기#s-3.2.1|농형 유도전동기]] || || '''기어비''' ||<-2> 14 : 99 (1:7.07) || || '''제동방식''' ||<-2> [[회생제동]] 병용 전기지령식 [[공기제동]] || ||<|2> '''최고속도''' || 영업 || 110㎞/h || || 설계 || 110㎞/h{{{-3 (1~10차분)}}}[br]120㎞/h{{{-3 (11차분~)}}} || || '''가속도''' ||<-2> 3.0㎞/h/s || ||<|2> '''감속도''' || 상용 || 3.5㎞/h/s || || 비상 || 4.5㎞/h/s || || '''MT 비''' ||<-2> 5M 5T{{{-3 (본선용 차량)}}}[br](Tc-M-M'-T-M'-T1-T-M-M'-Tc)[br]2M 2T{{{-3 (광명셔틀)}}}[br](Tc-M'-M'-Tc)[br]3M 3T{{{-3 (연천셔틀)}}}[br](Tc-M-M'-T-M'-Tc) ||}}}}}}}}} || [목차] [clearfix] == 개요 == '''한국철도공사 31x000호대 전동차'''는 [[수도권 전철 1호선]] 위주로 운행되는 통근형 전동차로, [[대한민국|한국]] 전동차 중 단일 계열 차종으로는 최다 편성 수를 보유하고 있다. 이 차량들은 주로 [[시흥차량사업소]] 또는 [[문산차량사업소]]에서 중정비를 받는다. 수도권 전동차의 중정비는 각 [[차량사업소]]의 여건에 따라(정비 일정 등) 작업 협의 등을 거쳐 배속 외 차량사업소에서도 시행할 수 있다. == 편성 == * 10량 1편성의 311000호대 및 312000호대와 4량 1편성 혹은 6량 1편성인 319000호대가 존재한다. * 1호선 구간의 노선 연장과 경인선 복복선화, 경부선 용산~구로 3복선화, 급행 전동차 운행 등에 따른 차량 증비와 당시 내구 연한이 가까워진 [[한국철도공사 1000호대 전동차]]들을 교체하기 위한 목적으로 도입되었다. 현재 125개 편성이 재적되어 있다. 등록되어 있는 편성 수는 총 125개 편성이나 [[수도권 전철 경춘선|경춘선]] 이적분이었던 311B91편성은 경춘선으로 반환되었고 311B01~02편성이 [[수도권 전철 4호선|4호선]]의 부수 객차로 차출된 상태여서 사실상 122개 편성이 재적되어 있다. * 초기에 10량 1편성으로 도입된 차량은 도입 당시에는 [[한국철도공사 5000호대 전동차|5000호대]]를 부여받았으나, 현재는 개번을 거쳐 311000호대를 부여받고 이후 차량 재적이 포화되면서 312000호대가 생겼다. 이후 2008년부터 4량 1편성 및 6량 1편성 등 단편성화된 차량들도 등장하고 있으며, 이들은 319000호대를 부여받았다. === 311000호대·312000호대 === ||<-2> ↑ '''[[인천역|{{{#0052a4 인천}}}]]·[[서동탄역|{{{#0052a4 서동탄}}}]]·[[천안역|{{{#0052a4 천안}}}]]·[[신창역|{{{#0052a4 신창}}}]] 방면''' || || '''31#0## (구 50##) (1)''' || Tc(SIV, 공기압축기, 축전지) || || '''31#1## (구 52##) (2)''' || M(주변환장치) || || '''31#2## (구 53##) (3)''' || M'(팬터그래프, 주변압기, 주변환장치) || || '''31#3## (구 58##) (4) ''' || T(무동력객차, 약냉방차) || || '''31#4## (구 55##) (5)''' || M'(팬터그래프, 주변압기, 주변환장치) || || '''31#5## (구 54##) (6)''' || T1(SIV, 공기압축기, 축전지) || || '''31#6## (구 59##) (7)''' || T(무동력객차, 약냉방차) || || '''31#7## (구 56##) (8)''' || M(주변환장치) || || '''31#8## (구 57##) (9)''' || M'(팬터그래프, 주변압기, 주변환장치) || || '''31#9## (구 51##) (10)''' || Tc(SIV, 공기압축기, 축전지) || ||<-2> ↓ '''[[청량리역|{{{#0052a4 청량리}}}]]·[[광운대역|{{{#0052a4 광운대}}}]]·[[의정부역|{{{#0052a4 의정부}}}]]·[[양주역|{{{#0052a4 양주}}}]]·[[동두천역|{{{#0052a4 동두천}}}]]·[[소요산역|{{{#0052a4 소요산}}}]]·[[연천역|{{{#0052a4 연천}}}]] 방면''' || === 319000호대 === ==== 4량 편성 ([[수도권 전철 1호선/광명셔틀|광명셔틀]]) ==== ||<-2> ↑ '''[[광명역|{{{#0052a4 KTX광명역}}}]], {{{#77c4a3 [[도라산역|{{{#77c4a3 도라산}}}]]·[[임진강역|{{{#77c4a3 임진강}}}]]}}} 방면''' || || '''3190XX (1)''' || Tc(SIV, 공기압축기, 축전지) || || '''3191XX (2)''' || M'(팬터그래프, 주변압기, 주변환장치) || || '''3192XX (3)''' || M'(팬터그래프, 주변압기, 주변환장치) || || '''3199XX (4)''' || Tc(SIV, 공기압축기, 축전지) || ||<-2> ↓ '''[[영등포역|{{{#0052a4 영등포}}}]], {{{#77c4a3 [[용산역|{{{#77c4a3 용산}}}]]·[[서울역|{{{#77c4a3 서울역}}}]]}}} 방면''' || ==== 6량 편성 --(연천셔틀)-- ==== ||<-2> ↑ '''[[인천역|{{{#fabe00 인천}}}]] 방면''' || || '''3190XX (1)''' || Tc(SIV, 공기압축기, 축전지) || || '''3191XX (2)''' || M(주변환장치) || || '''3192XX (3)''' || M'(팬터그래프, 주변압기, 주변환장치) || || '''3193XX (4)''' || T(무동력객차, 약냉방차) || || '''3194XX (5)''' || M'(팬터그래프, 주변압기, 주변환장치) || || '''3199XX (6)''' || Tc(SIV, 공기압축기, 축전지) || ||<-2> ↓ '''[[오이도역|{{{#fabe00 오이도}}}]] 방면''' || == [[한국철도공사 31x000호대 전동차/차호별 상세설명|분류]] == 도입 연식에 따라 15차로 분류된다. ||<-2> 분류 || 제어방식 || 도입 || ||<-4> 311000호대·312000호대 || ||<|5> 1세대 || 1차분 || {{{#gray '''VVVF[br]GTO'''[br]{{{-1 도시바}}}}}} || [[1996년]] 3~[[11월]](6편성)[br]{{{-2 전량 퇴역}}} || ||<|2> 2차분 ||<#81f7f3> '''[[VVVF]][br]GTO'''[br]{{{-1 도시바}}} || [[1997년]](19편성, 현재 1편성 운용) || || {{{#gray '''VVVF[br]IGBT'''[br]{{{-1 도시바}}}}}} || [[1997년]] [[4월 7일]](1편성)[br]{{{-1 전량 퇴역}}} || ||<|2> 3차분 ||<#81f7f3> '''VVVF[br]GTO'''[br]{{{-1 도시바}}} || [[1998년]](8편성, 현재 2편성 운용) || || '''VVVF[br]IGBT'''[br]{{{-1 도시바}}} || [[1998년]](6편성, 현재 3편성 운용) || ||<|5> 2세대 ||<|2> 4차분 ||<#81f7f3> '''VVVF[br]GTO'''[br]{{{-1 도시바}}} || [[2002년]]에 도입된 차량 (2편성) || || '''[[VVVF]][br]IGBT'''[br]{{{-1 도시바}}} || [[2002년]]에 도입된 차량 (4편성) || ||<|2> 5차분 ||<#81f7f3> '''[[VVVF]][br]GTO'''[br]{{{-1 [[도시바]]}}} || [[2003년]]에 도입된 차량 (7편성) || ||<|8><#58acfa> '''[[VVVF]][br][[IGBT]]'''[br]{{{-1 [[도시바]]}}} || [[2003년]]에 도입된 차량 (9편성) || || 6차분 || [[2004년 7월]] 병점~천안 및 부성 구간 개통 시 도입된 차량 (2편성) || ||<|6> 3세대 ||<#0052a4> {{{#fff 7차분}}} || 2005~[[2006년]]에 도입된 차량 (12편성) || || 8차분 || [[2006년]](5편성) || || 9차분 || 2012, [[2014년]](7편성) || || [[한국철도공사 361000호대 전동차|{{{#white 361000호대 전동차 이적분}}}]] || 2010, [[2014년]](2편성, 현재 1편성 운용) || || 10차분 || [[2013년]] 2~[[4월]](3편성) || || 11차분 || 2015~[[2016년]](9편성) || ||<|2> 4세대 || 12차분 ||<|2><#81f781> '''[[VVVF]][br]{{{#Black IPM}}}'''[br]{{{-1 '''[[현대로템]]'''}}} || 2019~[[2020년]](4편성) || || 13차분 || 2021~[[2022년]]에 도입된 차량 (8개 편성) || ||<|2> 5세대 || 14차분 ||<|2><#58acfa> '''[[VVVF]][br][[IGBT]]'''[br]{{{-1 '''[[우진산전]]'''}}} || 2022~[[2023년]](8편성) || || 15차분 || 2023~[[2024년]](33편성) || ||<-4> 319000호대 || || 3세대 || 8차분 ||<#58acfa> '''[[VVVF]][br][[IGBT]]'''[br]{{{-1 '''[[도시바]]'''}}} || [[2006년]](5편성) || ||<#Gray> 1세대 || 2차분 ||<#58acfa> {{{#Gray '''VVVF[br]IGBT'''[br]{{{-1 '''도시바'''}}}}}} || [[1997년 5월]](2편성)[br]{{{-2 전량 퇴역}}} || || 4세대 || 12차분 ||<#81f781> '''[[VVVF]][br]{{{#Black IPM}}}'''[br]{{{-1 '''[[현대로템]]'''}}} || [[2019년]](3편성) || === 311000호대·312000호대 === * [[/차호별 상세설명|해당 문서 참조.]] [[2011년]]부터 전동차 차대번호가 구 5000번대에서 현 311000호대로 변경이 완료되었다. 차호 변경을 하면서 [[수도권 전철 중앙선|중앙선]]과 [[광명역|광명]]행 셔틀용으로 차출된 차량과 사고로 [[폐차]]된 5x19편성이 쓰던 번호는 뒤 번호의 차가 쓰는 방식으로 번호(예: 5X20→311B19, 5X81→311B78)를 배정받았다. [[한국철도공사 2030호대 전동차|구 한국철도공사 2030호대(현 341000호대/351000호대) 전동차]]가 한국철도공사 사내 최초의 [[VVVF]] 전동차라면, 이후 운행과 정비 도중 축적된 노하우는 이 5000호대(현 311000호대) 전동차에 그대로 반영되었다. 현재 모든 편성은 2008~2013년 사이에 객실 간 연결문이 투명 자동문으로 교체되었다. [[2012년]]부터 도입되는 신차는 모두 자동문이 기본으로 장착되어 나온다. 도색이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경의·중앙선]]과 똑같은 [[자석도색]]인데, 이는 경의·중앙선을 운행한 열차와는 달리 도시바 [[VVVF]]-[[GTO(반도체)|GTO]] [[구동음]]을 가지고 있는 열차 편성이 존재한다. 도입 초반은 5X01~42편성의 경우 열번표시기가 9000번대로 표시된 적이 있으며, [[경인선]] 용산급행은 용산행을 달고(예: 인천행 K113 열차 → K9113 열차) 다니기도 하였다. === 319000호대 === 상대적으로 수요가 적은 노선에서 운행하기 위해 단편성화된 호대이며, [[영등포역]] ↔ [[광명역]] 셔틀 열차,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경의·중앙선]]([[경의선]] 구간) [[서울역]]행 열차, [[문산역]] ↔ [[임진강역]]([[도라산역]]) 셔틀 등으로 운행하고 있다. [[영등포역]] ↔ [[병점역]] 출퇴근급행 열차로 [[2014년]] [[8월 25일]]부터 [[2016년]] [[12월 8일]]까지 운행한 적도 있다. [[한국철도공사]] 최초로 원핸들 주간제어기를 채용한 차량이기도 하다. 광명셔틀 운행구간 중에 [[경부고속선]]을 경유하여 [[KTX]]의 운행 시간표 변경 시 같이 영향을 받는다.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의 문산 ↔ 서울역, 대곡 ↔ 서울역 구간의 셔틀 열차와 같이 [[KTX]] 운행 등으로 인해 자주 운행되지 않는다. 서로 운행한 노선만 다를 뿐, 특성이나 다른 부분이 비슷한 경우가 많다. 이러한 특성 때문에 광명 셔틀이 감편된 시절에 일부가 경의·중앙선 서울역행에 투입된 이력이 있다. 311G01~05편성의 차내 모니터가 천장형 LCD로 교체되었다. || [[파일:external/www.2427junction.com/61a-1gm10.jpg|width=100%]] || || 319X07편성의 운행([[2020년]] [[7월 16일]] 운행 중단) 모습. 전두부가 2005~2008년까지 생산된 열차의 형태로 개조되어 있다. || [[1998년 6월]] 제작된 311G06~07편성은 일부 철도 동호인 사이에서 '뱀작이'라는 별명으로 불리고 있다. 뱀작이는 '뱀눈이'(7~11차분)의 전두부와 '납작이'(1~3차분)의 차체가 합쳐졌단 의미의 은어다. 원래는 [[2023년]]까지 운행될 예정이었으나 불용열차로 분류되고 [[2020년 7월]]부터 구로차량기지에 2편성이 같이 유치되어 움직이지 않고 있다. 확인된 기록상으로 해당 열차들의 마지막 운행 기록은 [[2020년]] [[7월 16일]] K7040 영등포행 열차로 운행한 319X07편성을 끝으로 운행하지 않았다. 319F08~10편성은 6량 편성의 4세대 전동차로, 본래 [[연천역]] ↔ [[광운대역]] 간 셔틀열차로 운행하기 위해 도입한 열차다. [[2020년 8월]] 말에 연천 셔틀 3편성이 모두 [[시흥차량사업소]]로 내려왔다. 연천 연장 개통 전까지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수인·분당선]]([[수인선]] 구간) [[오이도역|오이도]] ↔ [[인천역|인천]] 구간 셔틀열차로 운행된다. 수인·분당선 개통 이후에도 오이도 ↔ 인천 간 운행계통은 존치되며 수인·분당선 중 수인선 구간의 배차를 채우기 위해 상당히 많은 횟수로 다닌다. 다만 이 차량은 [[열차자동제어장치|ATC]] 장치가 없어 [[고색역]] ↔ [[왕십리역]] 구간은 운행할 수 없다. 수인·분당선 중 분당선 구간 운행을 위한 ATC 개조는 하지 않는 것으로 정해졌다. 다만 연천 연장 구간에 10량 열차가 투입됨에 따라 해당 편성 차량의 사용 여부는 아직 미정이다. ==== 4량화 및 병결 시도 ==== [[광명역]]행 셔틀 열차는 [[2006년 12월]]부터 운행하기 시작했으나, 광명역의 이용객이 워낙 저조하여 수요가 거의 없고, 10량 열차 전체가 거의 빈 채로 다녔다. 결국 [[한국철도공사]]가 기존 5X79~80, 5X86~92, 6X01~07편성과 추돌 사고로 파손된 5X19편성의 잔여 차량[* 5019-5319-5519-5419가 311G06(319X06)편성으로, 5819-5219-5619-5919가 311G07(319X07)편성으로 개조되었다.]을 개조, 직류 기기를 떼어내고 4량짜리 셔틀 열차로 만들어 투입하였다. 5X79~80편성은 팬터그래프가 있는 칸과 운전실 없는 공기압축기가 장착된 객차만 광명셔틀로 개조하고 나머지는 중앙선으로 개조할 목적으로 떼어냈으며, 319X01~05편성은 5X79~80, 5X86~92, 6X01~07편성의 차량 중 55xy, 54xy, 65xy, 64xy차량 중 일부를 조합해서 만들어 낸 편성이다. 편성별로 개조 전의 차호는 다음과 같다. ||<-8> '''319000호대 조성'''[br]번호 개번하기 전 기준이며, {{{#ff0000 빨간색}}}은 운전실로 개조한 차량임을 알린다. || || '''편성 / 호차''' || '''1호차[br](Tc)''' || '''2호차[br](M')''' || '''3호차[br](M')''' || '''4호차[br](Tc)''' ||<-2> '''반입년도''' || '''소속''' || ||<#0052a4> {{{#White '''311G01편성'''}}} || {{{#ff0000 6402 }}} || 5379 || 5779 || {{{#ff0000 5489 }}} ||<|5> '''8차분''' ||<|5> '''[[2006년 10월]]'''[br]([[현대로템]]) ||<|4> '''[[구로차량사업소|구로]]''' || ||<#0052a4> {{{#White '''311G02편성'''}}} || {{{#ff0000 6406 }}} || 5380 || 5780 || {{{#ff0000 6404 }}} || ||<#0052a4> {{{#White '''311G03편성'''}}} || {{{#ff0000 5492 }}} || 5579 || 6506 || {{{#ff0000 5480 }}} || ||<#0052a4> {{{#White '''311G04편성'''}}} || {{{#ff0000 5486 }}} || 6504 || 6502 || {{{#ff0000 5479 }}} || ||<#77c4a3> {{{#White '''311G05편성'''}}} || {{{#ff0000 6405 }}} || 5580 || 6507 || {{{#ff0000 6401 }}} || '''[[문산차량사업소|문산]]''' || ||<#gray> {{{#White '''311G06편성'''}}}[*A 2020년 7월 16일 운행 중단] || {{{#ff0000 5019 }}} || 5319 || 5519 || {{{#ff0000 5419 }}} ||<|2> '''2차분''' ||<|2> '''[[1997년 6월]]'''[br]([[현대모비스|현대정공]]) ||<|2> [[구로차량사업소|{{{#gray --구로--}}}]] || ||<#gray> {{{#White '''311G07편성'''}}}[*A] || {{{#ff0000 5819 }}} || 5219 || 5619 || {{{#ff0000 5919 }}} || 개조 작업이 [[현대로템]]에서 이루어졌는데, 이는 기존 차량의 천장에 붙어 있던 LED 전광판을 [[철거]]하고 문 위에 LCD 모니터를 박아넣은 걸 제외하면 내장재는 거의 변화가 없다. 하지만 문 위에 LCD 모니터는 잦은 고장으로 인해 철거되고 대신 천장에 붙어 있는 LCD 모니터를 설치하였다. 특히 5X19편성을 개조한 311G06~07편성의 경우, 전두부는 3세대 전동차 초기형의 그것이지만 측면과 내장재는 당시 5X19편성과 거의 똑같다. 전두부의 경우는 굳이 번거롭게 설계를 바꿔서 구형 차 형태를 다시 찍어낼 필요 없이, 당시부터 쓰이기 시작한 형태 그대로 만들어 내다 보니 짬뽕이 된 것이다. 인버터 소자도 당초 5X19편성의 GTO 그대로 쓰였으나 [[2013년]]에 311G06~07편성도 311G01~05편성과 동일한 [[IGBT]] 인버터로 교체되었다. 5019호는 사고 전에는 투핸들이었다. 당초 광명 셔틀의 4량화를 할 때, 기존의 용산~광명 구간을 그대로 운행하기 위해서 7개 편성으로 개조한 뒤 투입하려 했다. 하지만 개조 작업 도중 출발역이 변경되어 전체 운행 구간이 짧아지면서 전체 7개 편성 중 2개 편성이 남게 되자, 남은 2개 편성을 병결시켜서 4+4량인 1개 편성을 만든 후 당시 진행 중이던 중앙선의 8량화 작업에 활용할 계획을 세웠다. 하지만 두 편성끼리 병결할 경우 선두부 차량의 길이와 중간 차량의 길이가 같지 않은 열차의 특성상 스크린도어/승강장 문 위치와 열차 문의 위치가 맞지 않는 문제가 발생하여 없던 일이 되었다. ==== 경의선 운행 / 대불선 시험 운행 ==== * 311B03편성과 311B05편성은 [[경의선]]의 문산~[[서울역]], 대곡~[[서울역]] 구간에 투입되어 운행한 적이 있다. 기지 입·출고를 하거나 첫차, 출퇴근, 막차 시간대일 때만 문산까지 연장 운행을 하고 다른 시간대엔 대곡~[[서울역]] 구간만 운행하였다. 후에 대곡 ~ 공덕 급행 열차가 생겼을 때 311B03편성이 다시 경의선으로 가서 운행했다. * 311G04편성은 자동운전 시험 열차로 차출되어 [[대불선]] 구간을 시험 운행한 적이 있다. [[2014년 9월]]에 [[문산차량사업소|문산기지]]로 다시 돌아온 것이 확인되었다고 한다. * 311G05편성이 [[일로역]]으로 내려간 적이 있다. [[2016년]] [[7월 31일]], [[갑종회송]]으로 통해 다시 [[병점차량사업소]]로 올라왔다. 당시에 차량 상태가 좋지 않아 보였는데, 올라올 때 [[병점차량사업소]]로 내려가지 못하고 [[오봉역]]에서 타절되었었다. 그 이유는 차량에 이상이 생겨서 그렇다고 한다. [[8월 8일]], 10시경에 다시 일로로 갑종회송될 예정이었으나, 차량에 문제가 발견되어 약 4시간가량 지연된 후 갑종회송됐다. 차량도 2년 동안 세차하지 않아 많이 더러운 상태였다. 이후 영등포 ~ 광명 셔틀로 정상 운행되었다가, [[2017년 12월]] 다시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경의·중앙선]] 문산 [[서울역]] 구간에 차출되어 운행됐다. 이후 [[문산차량사업소]]에서 휴차된 상태로 가끔씩 입환용으로만 사용하고 있다가 [[2021년]] [[3월 28일]]에 K2602 다이아로 문산 ~ 임진강 구간에 투입되었고, 현재는 주로 문산 ~ 임진강 구간 셔틀 열차로 간혹 운행되고 있다. ==== 수인선 운행 ==== * [[2020년]] 12월 15일, K6803 인천급행으로 319F08편성이 수인선에서 운행을 시작했다.[* [[https://blog.naver.com/lsam8410/222185948388|관련 게시글]], 출처: 네이버 블로그] * [[2020년]] 12월 23일, K6803 인천급행으로 319F10편성이 수인선에서 운행을 시작했다. * [[2021년]] 2월 10일, K6803 인천급행으로 319F09편성이 수인선에서 운행을 시작했다. == 사건사고 == === [[2001년]] 5X16편성(현.311B16편성) 주안역 탈선 사고 === [[2001년]] [[11월 18일]], 인천발 성북행 K14 열차로 운행 중이던 5X16편성(현.311B16편성)이 당시 복복선 공사 중이던 [[주안역]]을 출발하던 중 탈선하여, [[경인선]] 부평-인천 간 운행이 4시간가량 중단되었다. 사고 편성은 수도권철도차량정비단으로 옮겨져 약 한 달 동안 수리 후 복귀하였다. === [[2007년]] 5X19편성 [[영등포역]] 추돌 사고 === [[2007년]] [[5월 12일]], 제L6108 단행 열차로 운행 중이던 4404호 디젤기관차가 용산발 동인천급행 K1057 열차로 운행하던 5X19편성을 들이받는 사고가 발생했다. 이 사고로 4명의 승객이 부상을 입었으며, 반파된 선두부쪽 2량(5119호, 5719호)는 [[폐차]]되고, 8량의 잔여 객차는 이후 319000호대 전동차의 319X06~07편성으로 개조되었다. 이 과정에서 5X19편성이 결번되었으며, 5000호대가 311000호대로 개정될 때 구 5X20편성부터 구 5X78편성까지는 -1씩 앞당겨 각각 311B19편성부터 311B77편성까지로 개정됐다. === [[2010년]] 5X75편성(현.311B74편성) 구로차량기지 추돌 사고 === [[2010년]] [[5월 1일]], [[구로차량사업소]]에서 [[한국철도공사 1000호대 전동차]] 1X58편성이 진행 선로를 잘못 타서 5X75편성(현.311B74편성)에 들이받는 추돌 사고를 일으켰다. 그러나 선두부에 충격 완화 장치가 마련된 5X75편성은 중대한 손상은 없다. 자력회송이 가능한 수준이었으나, 만일을 대비해 기동한 채로 기관차에 끌려 회송하였다. 곧 수리를 마치고 [[2011년 10월]]부터 311B74편성으로 복귀하여 정상 운행 중이다. 그러나 1X58편성의 선두부 쪽 2량은 크게 파손되어 10량이 모조리 [[폐차]]되었다. === [[2011년]] 311B54편성 병점차량기지 침수 사고 === [[2011년 7월]], 수도권 지역에 몰아닥친 집중 호우로 인하여 [[병점차량사업소]]에서 출고 준비 중이던 311B54편성의 하부 주요 부품이 침수됐다. 이 사고로 운행이 불가능해진 311B54편성은 [[시흥차량사업소]]에서 수리되어 [[2012년 3월]]부로 운행이 재개됐다. 침수된 당시 311B54편성은 차량 상태가 심각하게 나빠져서(하부기기 전멸 수리) 비용이 열차 한 편성을 새로 사는 것만큼 많이 나왔다고 한다. === [[2012년]] 311B58편성 [[종로5가역]] 탈선 사고 === [[2012년]] [[2월 2일]], 311B58편성이 [[서울역]]에서 출입문 고장으로 멈춰선 뒤 후속열차와 연결해 기지로 이송하던 상황에서 바퀴 일부분이 탈선한 사고가 발생했다.[* [[https://n.news.naver.com/article/047/0001993752|「탈선사고 1호선, 상행선 운행 여전히 지연」]], 오마이뉴스, 2012-02-02] 현재 311B58편성은 수리를 마치고 정상 운행 중이다. === [[2013년]] 311B47편성 [[천안역]] 탈선 사고 === [[2013년]] [[6월 3일]]에 [[천안역]]에서 회차 중이던 311B47편성이 분기기 아래 지반 침하로 탈선했다. 이 사고로 2번째 객차와 3번째 객차 사이가 침하와 함께 접히면서 차체가 심하게 찌그러졌다.[* [[https://www.facebook.com/photo.php?fbid=362891697099054&set=o.127811313969133|출처: 페이스북]]] 사고 편성은 [[병점차량사업소]]에서 수리를 받았다. === [[2015년]] 311B26편성 [[인천역]] 탈선 사고 === [[2015년]] [[5월 18일]], 의정부발 인천행 K45 열차로 운행 중이던 311B26편성이 [[인천역]]에 진입 중 탈선한 사고가 있다.[* [[http://www.incheonilbo.com/news/articleView.html?idxno=584397|「인천역 진입 전동차 탈선 '아찔'」]], 인천일보, 2015-05-18][* [[http://araib.molit.go.kr/LCMS/DWN.jsp?fold=/araib0306/&fileName=%ED%95%9C%EA%B5%AD%EC%B2%A0%EB%8F%84%EA%B3%B5%EC%82%AC+%EA%B2%BD%EC%9D%B8%EC%84%A0+%EC%9D%B8%EC%B2%9C%EC%97%AD%EA%B5%AC%EB%82%B4+%EC%A0%84%EB%8F%99%EC%97%B4%EC%B0%A8+%ED%83%88%EC%84%A0%EC%82%AC%EA%B3%A0+%EC%A1%B0%EC%82%AC%EB%B3%B4%EA%B3%A0%EC%84%9C%28%2715.05.18%29.pdf|철도 사고 조사 보고서 (PDF)]], 국토교통부] 사고 편성은 수리 후 9월경에 영업 운행에 잠시 복귀하였다가 10월 13일에 [[신창원역]]의 [[현대로템]] 공장으로 갑종회송되었다. 당시 견인기는 7419호였다.[* [[http://gall.dcinside.com/board/view/?id=train&no=649834|관련 게시글]], 출처: 디시인사이드 철도(지하철) 갤러리] 이후 10월 16일에 [[의왕역]]에 갑종회송으로 도착하였다. 견인기는 7538호 디젤기관차였다. 그 이후 다른 차량들에 비해 상태가 좋지 않아서 폐차되는 저항제어 전동차의 대체용으로 약 1년간 경인선 급행에 고정 배차되었다가 2017년 3월부로 완행 운행이 재개되어 전 구간에 투입되었다가 2023년 내구연한 만료로 인해 영구 휴차되었다. === [[2016년]] 311B63편성 출입문 유리 빠짐 사고 === [[2016년]] [[4월 13일]]에 [[신창역|신창]]발 [[청량리역|청량리]]행 K684 열차로 운행되던 311B63편성 10호차의 한쪽 출입문 유리창이 깨지면서 빠진 사고가 발생하여, 임시로 깨진 창문 부분에 X자로 테이핑했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08330775?sid=001|「운행중 통째로 빠진 열차 유리창」]], 연합뉴스, 2016-04-13] 이후 이 차량은 병점차량사업소로 입고된 후 311B59편성으로 기교체되었다. === [[2018년]] 311B02편성 노량진역 탈선 사고 === [[2018년]] [[6월 9일]]에 [[구로차량기지]]발 [[용산역|용산]]행 회송 열차로 운행되던 311B02편성이 [[노량진역]]에서 탈선한 사고가 발생했다. 해당 편성은 사고 직후 구로기지를 거쳐 [[시흥차량사업소]]에 유치되었고, 이후 1년 가까이 방치되었다. [[2017년 6월]] 311202, 311402, 311802호만 4호선 도색으로 바뀌었다. 당초엔 무슨 의도인지는 알 길이 없으나 341000호대 차량 일부가 노후화로 운행 불가 판정을 받아서 해당 차량들을 대체할 목적으로 차출되어, 341B07, 341B12~13편성 모두 9호차(3418XX호)에 각각 311B02편성의 311802, 311402, 311202호가 연결되어 운행했다.[* [[https://gall.dcinside.com/board/view/?id=train&no=870951|관련 게시글]], 출처: 디시인사이드 철도(지하철) 갤러리] 1993년산 객차는 문제가 없지만 2년 늦게 생산된 1995년산 객차에서 문제가 발생했다. [[2017년 9월]] 기준, 311B01편성도 중간차 8량이 전부 4호선으로 차출되어 341B04편성의 중간차 8량과 조성이 맞바뀐 상태로 휴차되었고, [[2018년 7월]], 311B40편성의 저항차량 무동력 객차가 노후화되면서 이를 대신해 311602, 311302호가 들어가고 이로써 최종적으로 311B01~02편성은 각각 2량(311B01(311001, 311901)), 5량(311B02(311002, 311102, 311502, 311702, 311902))이 되어 운행을 중지했다. 341B04편성의 341804호부터 341104호까지 모두 311B01편성의 311801호~311101호로 교체되었지만 내부 밎 외부 편성 번호는 변경되지 않았다. [[2018년 7월]] 기준 두 편성은 방치 중이었다.[* [[http://gall.dcinside.com/board/view/?id=train&no=1017032|관련 게시글]], 출처: 디시인사이드 철도(지하철) 갤러리] 311B02편성은 311B01편성과 같이 [[2022년 8월]]에 폐차매각되어 차적에서 완전히 삭제됐다. [[2022년]]부터 1호선의 311B03~41편성 차량이 퇴역하기 시작했고 신형 전동차로 교체되고 있기 때문이다. === [[2020년]] 312B04편성 운행 중단 사고 === [[2020년]] [[9월 16일]]에 [[오류동역]]에서 [[용산역|용산]]급행 K1084 열차로 운행 중이던 312B04편성이 무게 20kg의 철제 구조물과 충돌해 운행이 중단된 일이 발생했다.[* [[https://www.youtube.com/watch?v=u84jQFvM8TA|관련 유튜브 영상]]] 조사 결과 이 철제 구조물의 정체는 화물열차용 발판이었고, 화물열차가 역으로 진입하면서 옆에 쌓여 있던 역 침목에 발판이 걸려 차례로 튕겨 나온 것이었다. 선로안전법에 따라 선로 위 35cm 이상을 이격하도록 되어 있지만 새 발판은 이격 거리가 겨우 26cm밖에 되지 않았던 것이다. 원인은 [[한국철도공사]]가 제작업체에 '지붕형 화물열차'의 도면이 아닌 '일반형 유개화차'의 도면을 제공하면서 벌어진 것으로 확인되었다. 결국 이 발판이 부착된 화물열차 177량은 모두 운행이 중단되었다. 지붕형 화물열차의 전체 70%에 달하는 댓수다. 그런데도 이를 두고 제작업체와 책임 공방을 벌이느라 한 달을 넘게 허비한 탓에 운송 수입만 수억 원의 손해를 보게 되었다. === [[2021년]] 311B38편성 [[외대앞역]] 고장 사고 === [[2021년]] [[1월 7일]] K6 열차로 운행 중이던 311B38편성이 고장으로 멈춰서는 사고가 발생했다.[* [[http://www.kyeongin.com/main/view.php?key=20210107010001091|「수도권 전철 1호선 외대앞역서 고장4호선도 운행 차질」]], 경인일보, 2021-01-07] 당시 폭설로 인하여 열차가 지연 운행되고 있는 상황에서 이 사고의 여파까지 겹쳐 후속열차들에게 약 60분의 지연이 발생했다. 현재 311B38편성은 수리를 마치고 정상 운행 중이다. === [[2021년]] 311B83편성 신도림역 단전 사고 === [[2021년]] [[6월 20일]]에 동인천발 용산 급행 열차로 운행 중이던 311B83편성이 [[신도림역]]에서 전차선 장애가 발생하여 운행이 중단된 일이 발생했다. 이 사고가 발생하면서 [[오류동역|오류동~]][[용산역]] 간 급행 열차 운행이 모두 중단됐다. [[한국철도공사]] 측은 사고 원인은 아직 조사 중이며 복구 작업을 하기 위해서는 인근 선로까지 단전을 해야 해서 야간에 복구하기로 했고, 현재는 모두 복구되어 정상 운행 중이다. 사고를 당한 311B83편성은 수리를 거쳐 운행에 복귀했고, [[2021년 7월]] 기준 정상 운행 중이다. === [[2021년]] 311B69편성 노량진역 고장 사고 === [[2021년]] [[7월 24일]]에 [[노량진역]]에서 [[한강철교]] 진입 직전 311B69편성이 고장으로 멈춰서는 일이 발생했다. 이 사고로 대부분의 하행 열차들이 서울역에서 타절했으며, 상행 열차들은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선로를 이용했다. 현재 311B69편성은 수리를 마치고 정상 운행 중이다. === [[2021년]] 312B03편성 남영역 고장 사고 === [[2021년]] [[10월 2일]] 오전 9시 59분께 [[남영역]]에서 출발한 천안발 청량리급행 열차가 고장으로 멈춰서는 사고가 발생했다.[* [[https://www.yonhapnewstv.co.kr/news/MYH20211002007200038|「1호선 남영역서 열차 고장한때 운행 지연」]], 연합뉴스TV, 2021-10-02] 이 사고의 여파로 후속열차들에게 약 30분의 지연이 발생했다. [[2021년]] [[10월 10일]], 312B03편성은 수리가 완료되어 운행 중이다. === [[2022년]] 312B01편성 한강철교 고장 사고 === [[2022년]] [[12월 15일]] 19시 58분경 지하청량리발 천안급행 열차가 차량 고장으로 [[한강철교]] 위에서 운행이 약 2시간가량 중단되었다. 멈추기 전부터 출입문이 열리지 않고 출입문 위치가 맞지 않으며 급정거 및 급가속을 여러 번 한 등 이상 징후가 있었는데 별도 점검 없이 계속 운행한 것으로 드러났다. 이로 인해 탑승객 500여 명이 한파 속에 갇혔으며 퇴근길 1호선 충남 천안, 인천 방면 후속 전동차 50대의 운행이 10~50분 지연됐다. 작업자가 현장까지 걸어가는 등 견인 작업이 지체된 탓에 21시 50분에서야 견인이 시작되어 22시 5분에 [[노량진역]]으로 돌아왔다. 승객들은 동일 승강장에서 대기하고 있던 임시 전동열차로 갈아탄 후에야 원래 목적지인 천안 방면으로 향하였다. 일부 승객은 이상 증세를 호소해 병원으로 옮겨졌다. [[한국철도공사]] 측은 열차 전원 공급엔 문제가 없다고 설명했으나 승객들은 [[SNS]] 등을 통해 전기 공급이 원활하지 않고 히터도 나오지 않았다며 추위와 배고픔, 소변 등 생리 현상 등으로 고통을 호소하였다. 한국철도공사는 정확한 보상 조치나 안전 문자 발송은 하지 않은 것에 항의하기도 하였다. 한국철도공사 측은 열차의 전력 공급 장치가 고장 나 사고가 난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으며 이번 지연으로 피해를 본 승객들에게 교통비 등을 규정에 따라 배상한다는 계획이다.[* [[https://www.news1.kr/articles/?4896313|「한강철교서 지하철 1호선 멈춰500명 한파 속 2시간 갇혀(종합)」]], 뉴스1, 2022-12-15][* [[https://www.seoul.co.kr/news/newsView.php?id=20221215500268|「[포착] 한강철교 위 멈춘 1호선이 추위에 500명 2시간 갇혀」]], 서울신문, 2022-12-15][* [[https://www.khan.co.kr/local/Seoul/article/202212152240001|「지하철 1호선 고장 한강철교서 승객 500여명 2시간 갇혀...후속열차도 10~50분 지연」]], 경향신문, 2022-12-15] [[2023년]] [[3월 15일]], 312B01편성은 수리가 완료되어 시운전 후 정상 운행 중이다. === [[2023년]] 311G01편성 [[광명역]] 할출 사고 === [[2023년]] [[2월 20일]] 15시 19분경 [[광명역]]을 출발한 광명발 영등포행 셔틀열차가 경부고속선 하행 방향 본선에 잘못 진입하여 할출(割出)하였고 이로 인해 운행이 약 1시간가량 중단됐다.[* [[https://news.kbs.co.kr/news/view.do?ncd=7609383|「광명역 셔틀전동열차 선로전환기 장애로 90분 간 운행 중지」]], KBS, 2023-02-20] 분기기가 합쳐지는 배향 방향에서 진행 방향으로 진로가 형성되기 전에 열차가 강제로 진입하면서 차륜이 텅레일을 밀고 나간 것이다. 이 사고의 여파로 광명셔틀 전동열차가 운행이 일시 중지됐다. 319X01편성은 수리가 완료되어 정상 운행 중이다. === [[2023년]] 311B59편성 [[금정역]] 고장 사고 === [[2023년]] [[9월 11일]] 오후 3시 28분께 [[금정역]]에 도착한 청량리발 천안급행 열차가 주 퓨즈 전력 장치 고장으로 멈춰서며 연기가 나고 승객 200여 명이 대피한 사고가 발생했다.[* [[https://www.edaily.co.kr//news/read?mediaCodeNo=257&newsId=03345606635739136|「1호선 금정역 열차 상단서 연기승객 200여명 대피」]], 이데일리, 2023-09-11] 이 사고의 여파로 후속열차들의 지연이 발생했다. === [[2024년]] 311B32편성 [[역곡역]] 화재 사고 === [[2024년]] [[1월 3일]] 오후 5시 54분쯤 [[온수역]]에서 [[역곡역]]으로 통과 중이던 동인천급행 열차가 폭발음과 함께 불꽃을 일으켰다. 이 사고로 열차에 타고 있던 승객 500여 명이 10여 분 동안 정차한 채 대기했으며, [[역곡역]]에서 환승한 소동이 일어났다. 현재 311B32편성은 수리를 마치고 정상 운행 중이다. == 개조 이력 == * 4량화 (311G01~07편성) [[2008년]], 311000호대 7차분인 5X79~80편성의 중간차와 5X86~92편성과 6X01~07편성 부수차 일부 그리고 사고로 인해 선두부쪽 2량이 [[폐차]]된 5X19편성, 총합 28량에 대해, 일부 중간차에 대하여 선두차화 개조를 실시하였다. 다만 5X79~80편성의 선두차는 321000호대 전동차의 321C16~17편성의 선두차로 편성되었다. 이를 통해 8량 3편성과 2량 2편성은 4량 7편성으로 적절히 개조되었다. 이렇게 개조된 편성들은 319000호대로 개번되어 운행되고 있다. 이 과정에서 5X79~80편성이 결번되었으며, 5000호대가 311000호대로 개정될 때 구 5X81편성부터 구 5X85편성까지는 3씩 앞당긴 후 오름차순으로 대응시켜 311B78~82편성으로 개정되었다. * 외부 행선안내기 [[LED]] 개조 [[2003년]]부터 내장재 불연재화 개조와 함께 외부 행선안내기가 기존의 회전 스크린식(흔히 말하는 롤지)인 311B01~63편성에 대하여 외부 행선안내기를 LED로 변경하는 개조를 실시하였다. 불연재화 개조와 함께 [[2005년]]에 완료되었다. * 한국철도공사 신 CI 도색 변경 도입 당시 구 CI로 도입된 311B01~52편성에 한해, [[2005년]]부터 [[한국철도공사]]가 신CI의 코레일 블루([[남색]])+[[빨간색]]으로의 도장 변경에 나섰다. 2005~[[2006년]]에 내장재 교체 사업과 함께 도장 변경 사업이 모두 완료되었다. * 객실 간 통로문 자동식 개조 [[2008년]]부터 [[2013년]]까지 한 편성씩 객실 간 연결문이 자동문으로 모두 교체되었다. * 1차: 311B01~30, 54~56, 58~60, 62~63편성 * 2차: 311B31~53, 57, 61, 64~82, 311G01~07편성 * 교류 전용화 (321000호대 일부) 5X86~92편성을 대상으로 한다. 이들은 본래 [[수도권 전철 1호선]]의 모든 구간에서 운행이 가능하였으나, [[2007년]]에 [[수도권 전철 중앙선]] [[한국철도공사 321000호대 전동차|전동차]]로 편입되면서 8량으로 감차됨과 동시에, 직류-교류 컨버터와 필터리액터 등 직류 관련 기기를 철거하여 교류 전용 전동차가 되었다. 직류구간 뛰지도 않으면서 직류 관련 기기가 달려있으면 정비효율만 저하시킬 뿐이기 때문이다. 이와 동시에 중앙선(現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경의·중앙선]])에서만 운용할 수 있게 되어, 차량번호도 321C01~07로 변경되었으며 8량화 작업으로 인해 남은 중간차는 새로 신조 투입된 321C15~18편성이나 311G01~05편성의 중간 객차로 들어갔다. 이 과정에서 내부 행선 안내기를 321C15~18편성에 맞춰 LED에서 LCD로 변경하는 개조도 실시하였다. * 전부 표지등 [[LED]] 교체 [[2015년]] 즈음부터 기존 실드빔 방식의 [[전조등]]이 흰색 [[LED]]로 변경되기 시작하였다. * 출입문 전동화 개조 311B47, 311B51~54, 311B58~60편성은 출입문이 기존 공기식에서 전동 스크류모터 방식으로 개조되었다. 개조를 실시함에 따라 출입문 개폐 시 공기 빠지는 소음이 사라졌다. 추가로 311B55~57편성도 전기식으로 개조되었는데 [[2013년]]부터 생산되는 신차에 적용되는 저소음 도어가 적용되었다. 해당 차량들은 열릴 때 경고음이 나왔고 닫힐 때는 안 나오다가 아예 출입문 경고음이 나지 않았지만 지금은 안내방송 기기 교체로 경고음이 난다. 노선도 부분에 큰 장치(수동레버)가 붙어서 튀어나와 있는지의 여부로 구분할 수 있다. 이는 비상콕크가 좌석 밑에 설치되는 종전의 공기식 모터와 달리 출입문 옆에 설치되는 전기식 스크류모터를 설치할 만한 공간을 고려하지 않은 구형 전동차의 구조상 어쩔 수 없기 때문이다. * 운전실 배전반 교체 [[2019년]] 전후로 311B01~82편성 (1~8차분) 운전실의 [[청록색]]의 밀폐형 창을 가진 구형 배전반들이 311B83~312B03편성 (9~11차분)에 적용된 흰색의 투명 유리창을 가진 신형 배전반들로 교체되었다. * 차내 CCTV 설치 [[2022년]]쯤부터 311B42~94, 99~312B03편성 (4~10차분 및 11차분 일부 편성)에 기존 311B95~98, 312B04~최신 편성에 미리 적용된 차내 CCTV 및 CCTV를 위한 운전실 모니터가 설치되었다. * 측면 행선기 개조 12차분 전동차가 운행을 개시한 시점부터 Tc칸을 제외한 모든 객차의 측면 행선기를 꺼 놓았다. 12차분 이후 차량부터는 기본적으로 측면 행선기가 Tc칸에만 달려서 나온다. === 내장재 불연재화 개조 === [[2003년 11월]] 말부터 객실 내장재가 불연재 대응이 되어 있지 않은 5X01~64편성에 대해 내장재의 불연재화 개조공사를 시행하여, [[2006년]]에 완료되었다. 1~3차분 열차의 내장재 개조 시기에 따른 특징은 다음과 같다. * [[다원시스|로윈]](1차): 5X01~30편성(개번 후 311B01~18, 311G06~07[* 5719, 5119호는 개번 전 [[폐차]]], 311B20~29편성) * 바닥 장판이 [[파란색]]이다. * TC칸의 비상통화장치가 운전실 벽 중앙에 위치하고 돌출형이다. * TC칸의 통로문 측 비상통화장치는 좌측 상단에 있고 뚜껑이 두껍다. * 중간 객차의 한쪽 비상통화장치는 매립형이고 뚜껑이 두껍다. * 반대쪽 비상통화장치는 돌출형이고 뚜껑이 얇다. * 좌석 양 끝의 차단막에 있는 코레일 로고 마크가 크다. * [[다원시스|로윈]](2차)[* 조성이 변경되며 대신 연결된 일부 객차는 제외]: 5X31~42편성(개번 후 311B30~41편성) * 바닥 장판이 [[회색]]이다. * TC칸의 비상통화장치가 운전실 벽 좌측에 위치하고 돌출형이다. * TC칸의 통로문 측 비상통화장치는 통로문 우측에 있고 뚜껑이 얇으며 매립형이다. * 중간 객차의 비상통화장치는 모두 매립형이고 뚜껑이 얇다. * 좌석 양 끝의 차단막에 있는 코레일 로고 마크가 작다. 4~5차분 열차의 내장재 개조 시기에 따른 특징은 다음과 같다. 단, 4~5차분인 경우 바닥재, 좌석 시트, 손잡이만 개조했다. * [[SLS 중공업]](3차): 5X43~64편성(개번 후 311B42~63편성) * 바닥 장판이 [[파란색]]이다. * 바상통화장치를 추가로 설치했다. * TC칸의 비상통화장치가 운전실 벽 중앙에 위치하고 돌출형이다. * TC칸의 통로문 측 비상통화장치는 통로문 우측에 있고 돌출형이다. * 중간 객차의 비상통화장치는 양쪽 모두 돌출형이다. * 좌석 양 끝의 차단막에 있는 코레일 영문 마크가 크다. '''1, 3차 개조분들의 경우 바닥이 [[파란색]]으로 되어 있는데 2차 개조분들의 경우 바닥이 [[회색]]으로 되어 있어 바닥에 커피 등이 묻었을 때 자국이 많이 남는 편이다.''' 5X07~10편성(개번 후 311B07~10편성)은 내장재 첫 개조 시범 대상으로 [[2003년 11월]]에 개조되었다. 역시 [[2003년 12월]]~[[2004년 1월]]에 개조하였던 2X30~37, 2X47~48, 2X50, 2X55~59편성(개번 후 341B01~08, 351F01~08편성)과 동일하게 분리형 좌석이 달린 전동차는 1호선에 3량이 있는데 현재 311X39, 41편성의 일부 무동력 객차에 해당한다. 311B39편성의 7호차는 4호선 출신 341602호, 311B41편성의 4호차는 4호선 출신 341304호, 7호차는 4호선 출신 341604호이기 때문에 좌석이 한 자리씩 분리되어 있고 의자 맨 끝 부분이 파여 있어 창틀에 기대어 자기 매우 편하게 되어 있다.[* 1993년산 4호선과 1993~1994년산 수인·분당선 초기형 차량들의 의자는 모두 이렇게 구성되어 있다. 현 341B01~08, 351F01~08편성이 해당 차량이다. 341B04편성은 1호선 311B01의 부수객차 8량이 들어가 TC칸만 해당되고 341B07편성은 4호선 341B13펀성의 부수객차 2량이 들어가 10량 중 8량만 해당된다.] 하지만 현재는 모두 운행중지되어 더 이상 볼 수 없게 됐다. === 추진제어장치 교체 === * [[2008년]] 2세대 5차분인 311B63편성 (당시 5X64편성)의 311763, 311863호[* 2세대 5차분 중 유일한 GTO/[[IGBT]] 짬뽕이었던 311B63편성 (구 5X64편성)이 나머지 객차도 교체되면서 모든 객차가 통일되었다.] * 2012년 1세대 3차분인 311B35편성 * 2014년 1세대 2차분인 319G06~07편성 * 2015년 1세대 2차분인 311B16편성 * 2015년 2세대 5차분인 311B48편성 * 2016년 1세대 3차분인 311B37~41편성 (311B39~41편성은 중저항 T칸 부수차 포함) * 2017년 2세대 5차분인 311B54~56편성 * 2018년 2세대 5차분인 311B59편성 * [[2019년]] [[5월 29일]] 2세대 4차분인 311B42~45편성 [[2003년]]부터 일부 차량의 추진제어장치(C/I)가 [[IGBT]] 방식으로 교체됐다. [[도시바]] 기반 [[우진산전]]제 2레벨 [[IGBT]]를 채용했다. ==== 오해 ==== * 311B60~63편성(당시 5X61~64편성)이 도입 당시엔 추진제어장치(C/I)가 [[도시바]] [[GTO(반도체)|GTO]] 소자였으나 시운전 과정에서 [[IGBT]] 소자로 교체했다? 처음부터 [[도시바]] [[IGBT]] 소자였고 311B63편성 중 311763, 311863호(당시 5X64편성 중 5664, 5764호)만 [[도시바]] GTO 소자였습니다. * 그러면 311B63편성은 왜 [[도시바]] [[IGBT]], [[GTO(반도체)|GTO]] 소자로 혼합되어 반입되었을까요? 원래계획대로라면 [[2003년]]도에 1호선 311B48~63편성(당시 5X49~64편성)을 우선 [[도시바]] GTO 소자(80량)로 반입하고 그 다음 분당선 351F23~28편성(2X82~87편성)을 [[도시바]] [[IGBT]] 소자(18량)로 반입할 계획이었습니다. 당시 추진제어장치(C/I) 관련해서도 계약이 그렇게 되어있고요. 하지만 열차 도입은 계속 늦어지고 분당선 선릉~[[수서역]] 연장 개통은 다가오고 있고 [[도시바]] [[IGBT]] 소자 공급도 늦어진 등 여러가지 요인이 발생했습니다. 그래서 결국은 급수정하여 351F23~28편성(당시 2X82~87편성)을 그냥 [[도시바]] GTO 소자로 반입하고 311B60~63편성(당시 5X61~64편성)을 [[IGBT]] 소자로 반입하기로 결정을 했습니다. 이 과정에서 311B63편성(당시 5X64편성)만 [[도시바]] [[IGBT]] 소자 3량, [[도시바]] GTO 소자 2량이 혼합을 이루게 된겁니다. === 조성 변경 === [[2010년 1월]], 모종의 사유로 1호선 일부 편성의 조성이 1달간 변경된 적이 있다. ||<:> {{{#!folding 2010년 1월 기준 운행 중인 차량 조성 ▼ ||<-12> '''2010년 1월 기존 운행 중인 차량 조성''' || ||<-12> 변경된 부수객차는 '''볼드체''' 및 색깔 표시하였다. || || '''편성 / 호차''' || '''1호차[br](Tc)''' || '''2호차[br](M)''' || '''3호차[br](M')''' || '''4호차[br](T)''' || '''5호차[br](M')''' || '''6호차[br](T1)''' || '''7호차[br](T)''' || '''8호차[br](M)''' || '''9호차[br](M')''' || '''10호차[br](Tc)''' || '''비고''' || || '''5X14''' || 5014 || 5214 || 5314 || 5814 || 5514 || 5414 || 5914 || {{{#ff0000 '''5623'''}}} || {{{#ff0000 '''5723'''}}} || {{{#ff0000 '''5123'''}}} || || || '''5X23''' || 5023 || 5223 || 5323 || 5823 || 5523 || 5423 || 5923 || {{{#ff0000 '''5614'''}}} || {{{#ff0000 '''5714'''}}} || {{{#ff0000 '''5125'''}}} || || || '''5X25''' || 5025 || 5225 || 5325 || 5825 || 5525 || 5425 || 5925 || 5625 || 5725 || {{{#ff0000 '''5114'''}}} || || }}}|| [[2012년]] 하반기부터 [[2013년]] [[12월 8일]]까지 311B86~87편성은 중앙선 전동차의 객실과 혼용하여 운행했다. ||<:> {{{#!folding 2012년 하반기 기준 운행 중인 차량 조성 ▼ ||<-12> '''2012년 하반기 기준 운행 중인 차량 조성''' || ||<-12> 변경된 부수객차는 '''볼드체''' 및 색깔 표시하였다. || || '''편성 / 호차''' || '''1호차[br](Tc)''' || '''2호차[br](M)''' || '''3호차[br](M')''' || '''4호차[br](T)''' || '''5호차[br](M')''' || '''6호차[br](T1)''' || '''7호차[br](T)''' || '''8호차[br](M)''' || '''9호차[br](M')''' || '''10호차[br](Tc)''' || '''비고''' || || '''311B86''' || 311086 || {{{#77c4a3 '''321508'''}}} || 311286 || {{{#77c4a3 '''321408'''}}} || 311486 || 311586 || {{{#77c4a3 '''321412'''}}} || {{{#77c4a3 '''321512'''}}} || 311886 || 311986 || || || '''311B87''' || 311087 || {{{#77c4a3 '''321513'''}}} || 311287 || {{{#77c4a3 '''321413'''}}} || 311487 || 311587 || {{{#77c4a3 '''321414'''}}} || {{{#77c4a3 '''321514'''}}} || 311887|| 311987 || || }}}|| [[2014년]] 하반기에 311B90~91편성이 경춘선 361C14~15편성하고 신규객차 각각 2량씩 재조성하여 운행하였지만 311B91편성은 361C14편성으로 바뀌어서 경춘선으로 복귀되었다. ||<:> {{{#!folding 2014년 하반기 기준 운행 중인 차량 조성 ▼ ||<-12> '''2014년 상반기 기준 운행 중인 차량 조성''' || ||<-12> 변경된 부수객차는 '''볼드체''' 및 색깔 표시하였다. || || '''편성 / 호차''' || '''1호차[br](Tc)''' || '''2호차[br](M)''' || '''3호차[br](M')''' || '''4호차[br](T)''' || '''5호차[br](M')''' || '''6호차[br](T1)''' || '''7호차[br](T)''' || '''8호차[br](M)''' || '''9호차[br](M')''' || '''10호차[br](Tc)''' || '''비고''' || || '''311B90''' || {{{#178c72 '''361014'''}}} || {{{#178c72 '''361114'''}}} || {{{#178c72 '''361214'''}}} || {{{#178c72 '''361314'''}}} || 311490 || 311590 || {{{#178c72 '''361414'''}}} || {{{#178c72 '''361514'''}}} || {{{#178c72 '''361614'''}}} || {{{#178c72 '''361914'''}}} || || || --311B91-- || {{{#178c72 '''361015'''}}} || {{{#178c72 '''361115'''}}} || {{{#178c72 '''361215'''}}} || {{{#178c72 '''361315'''}}} || 311491 || 311591 || {{{#178c72 '''361415'''}}} || {{{#178c72 '''361515'''}}} || {{{#178c72 '''361615'''}}} || {{{#178c72 '''361915'''}}} || || }}}|| 2014년 상반기에 311B53, 54편성의 객차가 서로 바뀌었으나 2015년 초에 다시 원상복구되었다. ||<:> {{{#!folding 2014년 상반기 기준 운행 중인 차량 조성 ▼ ||<-12> '''2014년 상반기 기준 운행 중인 차량 조성''' || ||<-12> 변경된 부수객차는 '''볼드체''' 및 색깔 표시하였다. || || '''편성 / 호차''' || '''1호차[br](Tc)''' || '''2호차[br](M)''' || '''3호차[br](M')''' || '''4호차[br](T)''' || '''5호차[br](M')''' || '''6호차[br](T1)''' || '''7호차[br](T)''' || '''8호차[br](M)''' || '''9호차[br](M')''' || '''10호차[br](Tc)''' || '''비고''' || || '''311B53''' || 311053 || 311153 || 311253 || 311353 || 311453 || 311553 || 311653 || {{{#ff0000 '''311754'''}}} || {{{#ff0000 '''311854'''}}} || 311953 || || || '''311B54''' || 311054 || 311154 || 311254 || 311354 || 311454 || 311554 || 311654 || {{{#ff0000 '''311753'''}}} || {{{#ff0000 '''311853'''}}} || 311954 || || }}}|| 2017년부터 일부 전동차의 객차 노후화로 조성을 변경하게 되었으며, 현재까지는 311B39~41편성까지 총 3개 편성만이 1호선에서 유일하게 조성이 변경되어있다. ||<:> {{{#!folding 2019년 기준 운행 중인 차량 조성 ▼ || '''편성''' || '''교체투입된 차량''' || '''편성제외된 차량''' || || '''311B39''' || {{{#00a4e3 341602}}} || {{{#ff0000 311639}}} || || '''311B40''' || {{{#ff0000 311302}}}, {{{#ff0000 311602}}} || {{{#ff0000 311340}}}, {{{#ff0000 311640}}} || || '''311B41''' || {{{#00a4e3 341304}}}, {{{#00a4e3 341604}}} || {{{#ff0000 311341}}}, {{{#ff0000 311641}}} || ||<-12> '''2019년 기준 운행 중인 차량 조성''' || ||<-12> 변경된 부수객차는 '''볼드체''' 및 색깔 표시하였다. || || '''편성 / 호차''' || '''1호차[br](Tc)''' || '''2호차[br](M)''' || '''3호차[br](M')''' || '''4호차[br](T)''' || '''5호차[br](M')''' || '''6호차[br](T1)''' || '''7호차[br](T)''' || '''8호차[br](M)''' || '''9호차[br](M')''' || '''10호차[br](Tc)''' || '''비고''' || || '''311B39''' || 311039 || 311139 || 311239 || 311339 || 311439 || 311539 || {{{#00a4e3 '''341602'''}}} || 311739 || 311839 || 311939 || || || '''311B40''' || 311040 || 311140 || 311240 || {{{#ff0000 '''311302'''}}} || 311440 || 311540 || {{{#ff0000 '''311602'''}}} || 311740 || 311840 || 311940 || || || '''311B41''' || 311041 || 311141 || 311241 || {{{#00a4e3 '''341304'''}}} || 311441 || 311541 || {{{#00a4e3 '''341604'''}}} || 311741 || 311841 || 311941 || || }}}|| ||<:> {{{#!folding 2022년 기준 운행 중인 차량 조성 ▼ || '''편성''' || '''교체투입된 차량''' || '''편성제외된 차량''' || || '''311B39''' || {{{#00a4e3 341602}}} || {{{#ff0000 311639}}} || || '''311B40''' || {{{#00a4e3 341313}}}, {{{#00a4e3 341613}}} || {{{#ff0000 311302}}}, {{{#ff0000 311602}}} || || '''311B41''' || {{{#00a4e3 341304}}}, {{{#00a4e3 341604}}} || {{{#ff0000 311341}}}, {{{#ff0000 311641}}} || ||<-12> '''2022년 기준 운행 중인 차량 조성''' || ||<-12> 변경된 부수객차는 '''볼드체''' 및 색깔 표시하였다. || || '''편성 / 호차''' || '''1호차[br](Tc)''' || '''2호차[br](M)''' || '''3호차[br](M')''' || '''4호차[br](T)''' || '''5호차[br](M')''' || '''6호차[br](T1)''' || '''7호차[br](T)''' || '''8호차[br](M)''' || '''9호차[br](M')''' || '''10호차[br](Tc)''' || '''비고''' || || '''311B39''' || 311039 || 311139 || 311239 || 311339 || 311439 || 311539 || {{{#00a4e3 '''341602'''}}} || 311739 || 311839 || 311939 || || || '''311B40''' || 311040 || 311140 || 311240 || {{{#00a4e3 '''341313'''}}} || 311440 || 311540 || {{{#00a4e3 '''341613'''}}} || 311740 || 311840 || 311940 || [* 2022년 1호선 차량 내구연한 만료로 조성이 변경되었다.] || || '''311B41''' || 311041 || 311141 || 311241 || {{{#00a4e3 '''341304'''}}} || 311441 || 311541 || {{{#00a4e3 '''341604'''}}} || 311741 || 311841 || 311941 || || }}}|| 편성 제외된 객차들은 현재 모두 매각되었다. == 관련 문서 == * [[수도권 전철 1호선]] * [[VVVF]] * [[한국철도공사 321000호대 전동차]]: [[수도권 전철 중앙선]]용 전동차[* 현재는 경의·중앙선용 전동차다.] - 311000호대의 옛 번호인 5000호대 시절에 존재하였던 5X86~92편성이 [[교류(전기)|교류]] 전용화 개조를 받고 중앙선에서 운행 중이다. 5X85편성까지는 현재 311000호대로 개편되었다. * [[한국철도공사 331000호대 전동차]]: [[수도권 전철 경의선]]용 전동차[* 현재는 경의·중앙선용 전동차다.] * [[한국철도공사 341000호대 전동차]]: [[수도권 전철 4호선]]용 전동차[* [[한국철도공사 전동차#s-1.4.1|1기형]], [[한국철도공사 전동차#s-1.4.2|2기형]] 열차의 기초가 되었다.] * [[한국철도공사 351000호대 전동차]]: [[수도권 전철 분당선]], [[수도권 전철 수인선|수인선]]용 전동차[* 현재는 수인·분당선용 전동차이며, [[한국철도공사 전동차#s-1.4.1|1기형]], [[한국철도공사 전동차#s-1.4.2|2기형]] 열차의 기초가 되었다.] * [[한국철도공사 361000호대 전동차]]: [[수도권 전철 경춘선]]용 전동차 - 361C14~15편성이 1호선으로 이적되면서 직교류 겸용 및 10량화 개조를 통해 311B90~91편성으로 바뀌었다. 하지만 311B91편성은 [[2017년]]에 8량으로 환원되어 경춘선 전동차로 복원되었다. * [[한국철도공사 1000호대 전동차]]: [[수도권 전철 1호선]]용 전동차로, 이 전동차 시리즈의 전신이다. 노후화 및 내구연한, 차량 수명 만료로 [[2020년]]까지 전량 퇴역한 상태다.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코레일 312000호대 전동차, version=45)][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코레일 319000호대 전동차, version=118)] [[분류:대한민국의 철도차량]][[분류:전동차]][[분류:수도권 전철 1호선]][[분류:1996년 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