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7><:> '''{{{#fff 한국어족 관련 틀}}}''' || ||<-7><:><#fff,#2d2f34>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include(틀:한국어족)] [include(틀:한국어)] [include(틀:한민족)] ---- }}} || ||<-3> {{{#eee {{{+2 '''한국어족'''}}}[br]{{{+1 韓國語族}}}[br]{{{-2 Koreanic languages}}}}}} || ||<-3> [[파일:한국어 분포 지도.png|width=100%]] ---- {{{-2 {{{#628125 녹색}}}은 [[한민족|주민 대부분]]이 [[한반도|한국어족 언어를 모어로 사용하는 지역]]이며,[br]{{{#628125 빗금}}}은 주민 일부[* [[조선족]], [[고려인]]]가 한국어를 모어로 사용하는 지역이다.}}}[* 그런데 이 지도에 나온 바와는 달리 옌볜에서도 조선족 인구 비율이 50%를 넘지 못하며, 조선족마저도 중국어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또한 연해주쪽에도 한국어 사용자들이 있다.] || ||<-2> '''유형''' ||[[교착어]][* [[체언|명사, 대명사, 수사]]를 [[조사(품사)|후치수식]]함.] || ||<-2> '''어순''' ||주어-목적어-서술어 (SOV) || ||<-2> '''원어민''' ||78,039,165명 || ||<-2> '''하위 언어''' ||[[고대 한국어]]^^†^^[br][[중세 한국어]]^^†^^[br][[근대 한국어]]^^†^^[br][[한국어]] {{{-2 (현대 한국어)}}}[br][[제주어]][* 한국어족 개념을 부정하는 쪽에서는 '[[제주어|제주 방언]]'으로 정의.][br][[육진 방언|육진어]][* '[[육진 방언]]'으로도 정의.] || ||<|4> '''언어 코드''' || ISO 639-1 ||KO || || ISO 639-2 ||KOR || || ISO 639-3 ||KOR || || 글로톨로그 ||한국어: kore1280[br]한국어족: kore1284 || ||<-3>'''[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한국어)]''' || [목차] [clearfix] == 개요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1JY9uds519o)]}}}|| || 한국어족의 기원에 대한 주요 학설을 소개한 영상 || [[언어]]를 [[비교언어학]]적으로 분류할 때 쓰는 어족의 하나로 [[한반도]]와 부속도서에서 쓰이는 언어들이다. 현대에 존재하는 언어로는 [[한국어]]와 [[제주어]], [[육진어]] 등이 속한다. 보통 이 용어는 현대 존재하는 [[언어]]를 묶을 때보다는, 고대 [[만주]]-[[한반도]]에서 사용되었던 여러 언어를 통틀어 분류해 가리킬 때 사용한다. 한국어족에 속하는 고대 언어들에 대해서는 아직 학문적 합의가 없고 대립적으로 부여계 언어를 지칭하는 Koguryoic(고구려)이 한국어족이라는 관점과 [[삼한]]계 언어를 지칭하는 Han이 한국어족이라는 관점이 있다. 전자는 부여계 언어가 한국어족에 속했고 삼한계 언어는 [[일본어족]]에 속했다고 주장하지만 후자는 반대로 부여계 언어는 일본어족이나 퉁구스어족에 속했고 삼한계 언어가 한국어족에 속했다고 주장한다. 2021년 이후 경향은 전자에 힘이 실리는 추세이다. == 분류 == [[한국어]]의 계통을 어떻게 분류해야 할지에 대해서는 19세기부터 수 차례 논쟁이 지속되어 왔었고, [[알타이 제어|알타이어족]]에 속한다는 가설이 잠깐동안 설득력을 얻었던 동시에 만주어를 비롯한 통구스어족이나 몽골어족, 나브흐어, 튀르크어족 등을 친척 언어인지 비교 분석하는 작업을 해왔다. 그러나 오랜 연구에도 이들 언어들이 어족을 형성할 수 있는지에 대한 충분한 근거가 마련되지 못하였다. 그러던 중, [[제주도 방언]]을 [[한국어]]와 별개의 언어로 분류해서 봐야 한다는 주장이 제시됨에 따라 [[한국어]]와 [[제주어]]를 한국어족으로 분류하는 기류가 생겨났으며 일부 학계에서도 이렇게 분류하기 시작했다. [[막스 플랑크 협회|독일 막스 플랑크 인류사학 연구소]]만 하더라도 [[https://glottolog.org/resource/languoid/id/kore1284|한국어족을 별도로 분류]]하였다. 즉, [[제주어|제주도 방언]]은 다른 한국어 방언과 차이점이 많고 의사소통이 어렵기 때문에, 관점에 따라서는 다른 언어로 볼 수도 있다는 주장이다. 물론 [[제주어]]가 별개의 언어로 구분될 정도로 [[한국어]]와 소통하기 힘들지는 않기 때문에 굳이 나눌 필요가 없다고 보는 입장도 있지만, 간단한 의사 소통이 가능할 정도의 근연 언어인 [[스페인어]]와 [[포르투갈어]]는 물론, 정치적인 이유로 이름만 다르게 부르고 있을 뿐인 [[마인어|말레이어와 인도네시아어]]도 경우에 따라서는 다른 언어로 분류되기도 하기 때문에, 이것을 근거로 한국어족 지지자는 제주어라는 개념에 정당성이 부여된다고 주장한다. 무엇보다 유네스코에서 소멸 위기 언어로 지정한 제주어, 즉 현대 제주 사람들 대다수가 구사하는 제주 방언이 아니라 현지에서도 구사자 수가 매우 적은 제주어의 경우, 다른 한국어의 방언과 비교했을 때 [[상호 의사 소통성]]이 현저히 떨어진다.[* 순 제주어와 한국어의 상호의사소통성은 독일어와 노르웨이어와 비슷하다. 즉 상호의사소통성이 떨어진다.] 언어의 분류라는 것은 여기부터 여기까지는 무슨 언어이고 저기부터는 다른 언어라는 식으로 딱딱 나뉘는 것이 아니다. 각각의 언어의 범위와 화자 수를 확정지어주는 국제적인 통일 기구 따위도 존재하지 않는 데다가, 언어의 분류는 국가 단위에 따른 정치적 문제에 역시 개입하기에 이 점은 연구자마다 다를 수 밖에 없다. 이러한 이유로 '[[방언|사투리]]가 군대를 가지면 언어가 된다'는 말이 있다. 예로 [[포르투갈어]]와 [[스페인어]]는 국가 자체가 다르기 때문에 완전히 다른 언어로 분류되지만 실제로는 다른 인도유럽어족과 비교해도 상호 이해 소통성이 매우 높다. 인도유럽어족 언어들이 겹치는 어휘나 어문이 많아 장벽이 낮은 편이긴 한데 스페인어와 포르투갈어는 그중에서도 특출나게 유사한 편. 반면 중국어의 경우 보통화와 광동화는 언어학적으로 완전히 다른 언어로 분류될 정도고 화자들 간의 [[상호 의사 소통성]]이 매우 낮음에도[* 한자로 필담하지 않는 한 아예 알아들을 수 없다.] 불구하고 중국 내부의 정책이 '하나의 언어'에 집착하기 때문에 광동화는 중국어의 '방언' 취급을 당한다. 만일 스페인어와 포르투갈어를 다른 언어로 구분지을 정도의 깐깐한 기준을 적용하게 된다면, 표준중국어-광동어, [[한국어]]-[[제주어]] 모두 다른 언어로 다루는게 타당해진다. 국제적으로는 [[제주어]]의 존재 자체는 인정하되, 언어학적으로는 [[한국어]]의 하위 [[방언]]으로 분류하고[* 조금 비주류 언어이긴 하지만, [[민어(언어)|민남어]]와 [[대만어]]의 관계와 비슷하다. 중국의 복건성과 대만 지역을 중심으로 사용되는 민남어의 아래에는 [[민어(언어)|복건어]]와 대만어는 물론, 조주어처럼 다른 민남어 방언과 음성적인 의사소통이 어려운 방언도 포함되지만, 일단은 전부 합쳐서 민남어로 분류 및 집계되고 있다.] 한국어를 [[고립어(비교언어학)|고립어]]로 분류하는 것이 주류 학설이다. 언어 화자수 조사에서 제주어 화자수가 한국어 화자수에 포함되어 집계되고 있는 것이 단적인 예시이다. == 조어 == [anchor(한국조어)] [include(틀:토론 합의, this=문단, 토론주소1=DarkImpartialBashfulLimit, 합의사항1=한국조어에 관한 내용은 한국어족 문서에 작성하고 한국조어 문서는 해당 언급에 앵커 리다이렉트 한다.)] [include(틀:한국어)] '''한국조어'''(韓國祖語) 또는 '''원시 한국어'''(原始韓國語)는 [[한국어]]의 [[조어|조상격 언어]], 또는 그것으로 추정되는 것을 말한다. 한국어의 원향은 요서 및 [[만주]]로 비정되고 있다. 대다수의 조어들이 그렇듯 문자 기록은 거의 남아있지 않으며, [[고대 한국어]]에 관한 사료가 터무니없이 부족한 한국어의 특성상 그 뿌리를 찾기가 매우 어렵다. [[알렉산더 보빈]] 교수가 2003년 서적, Once Again on Lenition in Middle Korean에서 '오-'라는 어근을 한국조어 *won으로 재구하였으며, 그 이외에도 몇몇 [[언어학|언어학자]]들이 한국어와 [[일본어족]]이 친연관계를 가진다는 전제 하에 한국-일본의 공동조어를 재구한 바도 있으나, 이것도 하나의 설에 지나지 않은 실정이다.[* 한국어-일본어 동계론은 [[한국어]] 문서 참조.] 아래는 실험적으로 재구된 조어의 어휘이다. 학계에서 검증되어 있지는 않다. 1. 중세국어: ᄒᆞ나. 고려어: *hona. 고대 일본어: kazu. 한국일본공동조어: *xəna. 1. 중세국어: ᄧᅡᆨ(짝의 고어). 고대 일본어: puta. 한국일본공동조어: *puca.[br]중세국어: 둘. 고대 일본어: towo(10이라는 뜻이지만 2X5로 해석한다). 한국일본공동조어: *tɨwɨ. 1. 중세국어: 몣(몇의 고어). 고대 일본어: mi. 한국일본공동조어: mi. 1. 고려어: 중세국어의 여듧은 yo-tuWul(4X2)로 해석되기 때문에 고려어로는 *yo로 재구한다. 고대 일본어: yo. 한국일본공동조어: *jə. 1. 고려어: 중세국어로 50은 swuy:n(10X5)로 해석되기 때문에 고려어로는 *ywu로 재구한다. 고대 일본어: itu. 한국일본공동조어: ju. 1. 현대국어: 부처 [[중세국어]]: 부텨. 상대 일본어:poto²ke². 만주어:fucihi. 한국조어:*pwutukye. [include(틀:문서 가져옴, this=문단, title=한국조어, version=22)] == 기타 == * [[일본어]]와 [[류큐어]]를 묶은 [[일본어족]]이 비교적 광범위하게 사용되는 분류인 것에 비해, 한국어족이라는 어족 분류는 그다지 일반적이진 않다. [[삼국시대|예로부터]] 한국사회가 [[중앙집권]] 지향적인 분위기인데다 무엇보다 [[제주 4.3 사건]]의 여파로 인해 '[[제주어]]'도 강한 교정압력을 받는 등[* 학교에서 [[제주어|제주도 말]]을 쓰면 [[체벌]]을 당했다. 국어학계에서는 일찍부터 [[제주어]]를 아래아가 남아있는 등 표준어에서 보이지 않는 고어들이 많고 여러 독특한 특성들이 있다면서 연구대상으로 삼았지만 이러한 논의는 교육계에서 출세지향적인 태도를 보인 관계로 상당기간 동안 반영되지 않았다.] 제주어라는 주제 자체가 주목받은지 오래되지 않았기도 하고, 애초에 일본어족과 한국어족 연구자의 수에서부터 차이가 나기 때문이다. 그 단적인 예로 [[위키백과]]를 들 수 있다. 2022년 9월 기준으로 일본어족이라는 표제어는 위키백과의 61개 언어판에 등록되어 있지만, 한국어족이라는 표제어는 20개의 언어판에만 등록되어 있다. * 제주어와 마찬가지로 표준어와 말이 안 통할 정도로 차이 나는 [[육진어]]도 별개의 언어로서 주목하는 경우가 있으나 쓰이는 곳이 [[북한]] 땅이라 애초에 연구도 잘 이뤄지지 못하는 상황이다. 그리고 육진어 사용자 중에 [[여진족]]의 후손으로 알려진 [[재가승]]들이 포함돼 있는데, 이들이 북한에 의해 강제 동화됐다는 소문(근거는 없다)까지 나도는 판이라 같은 맥락에서 현지에서 소멸 직전이거나 진작에 소멸됐을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 관련 문서 == * [[한민족]] [[분류:한국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