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한국시니어바둑리그)] ||<-2> {{{#!wiki style="margin: -10px -10px" || [[파일:편강배2022시니어바둑리그.png|width=250]] || ||<#fff> {{{#0d1754 '''{{{+1 편강배 2022 시니어바둑리그}}}'''}}} ||}}} || || {{{#fff '''주최, 주관'''}}} ||[[한국기원|재단법인 한국기원]]|| || {{{#fff '''주관방송사'''}}} ||[[바둑TV]]|| || {{{#fff '''타이틀스폰서'''}}} ||[[편강한의원]]|| || {{{#fff '''재정 후원'''}}} ||[[문화체육관광부]], [[국민체육진흥공단]]|| || {{{#fff '''대회기간'''}}} ||정규리그 : [[2021년]] [[8월 15일]] ~ [[11월 2일]] 포스트시즌 : [[2022년]] [[11월 9일]] ~ [[11월 19일]] || || {{{#fff '''전기 우승팀'''}}} ||부천 판타지아 ([[한국시니어바둑리그/2021시즌|2021시즌]]) || || {{{#fff '''참가팀'''}}} ||[[부천시|부천 판타지아]], [[편강한의원|구전녹용]], 데이터스트림즈, KH 에너지[br][[의정부시|의정부 행복특별시]], [[통영시|통영 디피랑]], [[영천시|스타 영천]], [[고양시]] || || {{{#fff '''대국규정'''}}} ||제한시간 각자 30분, 40초 초읽기 5회[br]계가 : 한국룰 [[덤(바둑)|덤]] 6.5집 || ||<-2> {{{#!folding [ 대회 결과 ] ||<-2> {{{+1 {{{#fff '''우승'''}}}}}} || ||<-2> {{{#39752b {{{+2 '''고양시'''}}}}}} || || {{{#fff '''정규리그 우승'''}}} || {{{#39752b 고양시}}} || || {{{#fff '''MVP'''}}} || 김승준 (고양시) || || {{{#fff '''다승왕'''}}} || [[유창혁]] (데이터스트림즈) - 13승 1패 || }}} || [목차] [clearfix] == 개요 == [[2022년]] [[8월 15일]]에 개막하는 [[한국시니어바둑리그]]의 2022시즌 문서. 시니어바둑리그의 7번째 시즌으로, 지난 시즌과 마찬가지로 [[문화체육관광부]]와 [[국민체육진흥공단]]의 재정 후원, [[편강한의원]]의 타이틀 스폰서로 진행한다. 이번 시즌은 종전 남녀 구분 없이 50세이상의 프로기사에게 주던 참가자격을 '''여자 기사에 한해 40세 이상'''에게도 참가의 기회를 넓혔다. == 이전 시즌 == [[한국시니어바둑리그/2021시즌]] == 중계 및 해설진 == === 중계 === * [[바둑TV]](월~목 오전 10시 개시) * [[네이버]], [[바둑TV]] [[유튜브]](바둑TV 재송신) === 해설진 === * 캐스터 : [[김여원]], 한해원 三단 - [[이소용]] 캐스터를 대신하여 한해원 三단이 중계에 합류했다. 스케줄 변동이 없을 경우에는 주로 매주 월~화는 김여원 캐스터, 수~목은 한해원 三단이 진행을 맡는다. * 해설 : [[김영삼(1974)|김영삼]] 九단, [[김만수(바둑)|김만수]] 八단 - 해설진은 지난 시즌과 동일하다. 스케줄 변동이 없을 경우에는 주로 매주 월요일과 목요일은 김영삼 九단, 화요일과 수요일은 김만수 八단이 해설을 맡는다. * 이번 시즌은 [[한국여자바둑리그]]의 유튜브 방송인 '주간 여바리'의 시니어리그 버전인 '주간 시니어' 유튜브 방송을 진행한다. '주간 여바리'와 마찬가지로 시니어리그의 매 라운드 주요 대국을 리뷰하는 방송이다. 박경근 六단과 [[이유진(바둑)|이유진]] 二단의 해설로 매주 금요일에 방송한다. == 참가팀 == ||<-4> '''{{{#FFF 편강배 2022 시니어바둑리그 참가 구단}}}''' || ||<-2> '''팀명''' || '''연고지''' || '''감독''' || || [[파일:2022부천판타지아.png|width=50]] ||<#1e83bf> {{{#fff '''부천 판타지아'''[br]{{{-1 (전기 정규+PS 통합 우승)}}}}}} || 경기 부천시 || 이홍열 || || [[파일:2022구전녹용.png|width=50]] ||<#333333> {{{#fff '''서울 구전녹용'''[br]{{{-1 (전기 정규 4위+최종 준우승)}}}}}} || 서울특별시 || 권갑용 || || [[파일:2022데이터스트림즈.png|width=50]] ||<#ff7600> {{{#fff '''서울 데이터스트림즈'''[br]{{{-1 (전기 정규 2위+최종 3위)}}}}}} || 서울특별시 || [[양상국(바둑)|양상국]] || || [[파일:2022KH에너지.png|width=50]] ||<#d0333a> {{{#fff '''부산 KH 에너지'''[br]{{{-1 (전기 정규 3위+최종 4위)}}}}}} || 부산광역시 || 김성래 || || [[파일:2022의정부행복특별시.png|width=50]] ||<#a72b85> {{{#fff '''의정부 행복특별시'''[br]{{{-1 (전기 정규 6위)}}}}}} || 경기 의정부시 || 이형로 || || [[파일:2022통영디피랑.png|width=50]] ||<#7bb7de> {{{#fff '''통영 디피랑'''[br]{{{-1 (전기 정규 7위)}}}}}} || 경남 통영시 || 문명근 || || [[파일:2022스타영천.png|width=50]] ||<#99cb52> {{{#fff '''스타 영천'''[br]{{{-1 (전기 정규 8위)}}}}}} || 경북 영천시 || 윤종섭 || || [[파일:2022경기고양시.png|width=50]] ||<#39752b> {{{#fff '''고양시'''[br]{{{-1 (신생팀)}}}}}} || 경기 고양시 || [[한철균]] || * 지난 시즌 5위였던 '영암 월출산'이 리그에서 빠지고 대신 경기 고양시가 새롭게 시니어리그에 참가했다. 고양시는 [[한철균]] 九단이 감독을 맡게 됐다. * '의정부 희망도시'는 '의정부 행복특별시'로 팀명을 변경했다. == 선수 구성 == 지역 연고선수는 7월 15일, 보호 선수 지명은 7월 19일에 진행했으며 선수 선발식은 7월 21일에 한국기원에서 진행됐다. * [[https://youtu.be/MCdmvPmG3vo|선수 선발식 영상]] * 드래프트 순서 : {{{#1e83bf 부천 판타지아}}} → {{{#99cb52 스타 영천}}} → {{{#333333 서울 구전녹용}}} → {{{#a72b85 의정부 행복특별시}}} → {{{#7bb7de 통영 디피랑}}} → {{{#ff7600 서울 데이터스트림즈}}} → {{{#d0333a 부산 KH 에너지}}} → {{{#39752b 고양시}}} (1지명과 후보선수는 드래프트 순서, 2지명과 3지명은 드래프트 역순으로 지명.)[* 드래프트 순서는 먼저 신생팀인 '고양시' 팀이 순번을 정하고 나머지 팀은 추첨으로 결정했다.] ||<-6> '''{{{#FFF 편강배 2022 시니어바둑리그 선수 지명}}}''' || || '''팀명''' || '''대진순번''' || '''1지명''' || '''2지명''' || '''3지명''' || '''4지명''' || ||<#1e83bf> {{{#fff 부천 판타지아}}} || 7 || [[최규병]] || [[장수영]] ||<#97ecab,#006118> [[강훈(바둑기사)|강훈]] || 강만우 || ||<#99cb52> {{{#fff 스타 영천}}} || 4 || 이상훈 ||<#97ecab,#006118> 김종수 ||<#ff9,#b29a00> 김동면 || 김종준 || ||<#333333> {{{#fff 구전녹용}}} || 8 ||<#ff9,#b29a00> [[권효진(1982)|권효진]] || 정대상 || 하호정 ||<#97ecab,#006118> [[차민수]] || ||<#a72b85> {{{#fff 의정부 행복특별시}}} || 1 || 안관욱 ||<#97ecab,#006118> [[서능욱]] || 정수현 || [[이지현(1979)|이지현]] || ||<#7bb7de> {{{#fff 통영 디피랑}}} || 3 || [[김수장]] || 박승문 ||<#ff9,#b29a00> 김기헌 || 박영찬 || ||<#ff7600> {{{#fff 데이터스트림즈}}} || 2 ||<#ff9,#b29a00> [[유창혁]] || 김동엽 || 조대현 || 이기섭 || ||<#d0333a> {{{#fff 부산 KH 에너지}}} || 5 ||<#97ecab,#006118> [[서봉수]] || 김일환 || 오규철 ||<#ff9,#b29a00> 김철중 || ||<#39752b> {{{#fff 고양시}}} || 6 ||<#ff9,#b29a00> 김승준 || 김찬우 || [[백성호]] || 이영신 || ||<-6><:>{{{-1 {{{#ff9,#b29a00 연노란색}}} {{{#fff : 지역 연고 선수,}}} {{{#97ecab,#006118 녹색}}} {{{#fff : 보호선수}}} }}}|| * 이번 시즌은 40세 이상 여자기사에게도 문을 넓힌 가운데 44명의 기사들이 참가를 신청했다. 지난 시즌과 마찬가지로 보호 규정은 팀당 지역 연고 1명, 보호선수 1명으로 제한했다. * 전기 우승팀인 '부천 판타지아'는 드래프트 순번 추첨에서 1번을 뽑으면서 지난 시즌 팀의 주장이자 MVP였던 최규병 선수를 전체 1번으로 지명했다.[* 부천의 경우 3지명인 강훈 선수를 보호 선수로 지정하면서 보호선수를 팀당 1명으로 제한 한다는 규정에 의해 최규병 선수가 드래프트로 풀리게 됐으나 부천이 순번 추첨에서 1번을 뽑으며 다시 불러들일 수 있었다.] * 전기 준우승팀인 '구전녹용'은 남 2, 여 2의 팀 구성으로 뽑았는데 1지명으로 권갑용 감독의 딸인 [[권효진(1982)|권효진]] 선수를 지역 연고로 선발하며 부녀가 한 팀의 감독과 선수로 뛰게 됐다. * 여자기사들의 참가자격 완화로 권효진, 하호정(이상 구전녹용), 이지현(의정부), 이영신(고양시) 선수가 이번 시즌에 뛰게 되면서 2019년 '삼척해상케이블카'에서 뛰었던 [[루이나이웨이]] 이후 3시즌만에 여자기사들이 시니어리그에 등장했다. * 이번 시즌을 통해 데뷔 시즌을 뛰는 선수는 7명으로 여자기사 4명 외에도 이상훈(大)(영천), 김승준[* 김승준 선수의 경우 경기도 출신이라 경기도 연고 팀들인 '고양시'와 '부천 판타지아', '의정부 행복특별시' 세 팀이 지역 연고선수로 중복 신청을 했다. 결국 추첨을 통해 '고양시'팀이 김승준 선수를 지역 연고 선수로 지명했다.], 김찬우(이상 고양시) 선수도 이번 시즌을 통해 데뷔하게 됐다. 특히 이상훈(영천)-하호정(구전녹용)은 부부가 모두 시니어리그 선수로 뛰게 됐다. * '통영 디피랑'은 1지명 김수장, 3지명 김기헌, 4지명으로 박영찬 선수를 선발했는데 이 셋은 [[한국시니어바둑리그/2020시즌|2020 시즌]] 우승팀인 '김포 원봉루헨스'의 우승 멤버들로 이 세 선수가 2년 만에 새로운 팀에서 함께 뛰게 됐다. == 시작하기 전에 == * [[박지은(바둑)|박지은]] 九단 유튜브와 일부 시니어 기사들의 얘기를 통해 이번 시즌 참가자격이 개정되었다는 소식이 전해졌었다. 이번 시즌의 가장 큰 변화로 종전 남녀 공통 50세 이상 기사였던 참가 자격이 남자는 종전과 동일, 여자는 40세 이상 기사로 완화됐다.[* 소식을 전한 박지은 九단은 불참한다. "승부에 대한 열정이 식었다"는 답변을 한 인터뷰가 있었기 때문이다.] * 여자바둑리그에서 도입된 흑백 자동배정[* 대진 순번에 따른 흑백 배정] 시스템이 시니어리그에서도 도입이 됐다. * 이번 시즌은 8월 11일에 개막식을 갖고 15일부터 2022시즌 일정에 들어간다. 대국 규정은 종전(제한시간 각자 30분, 40초 초읽기 5회)과 동일하며 지난시즌과 마찬가지로 정규리그는 전반기 지명제, 후반기 오더제로 운영된다. == 전체 경기 일람 == [include(틀:한국시니어바둑리그/2022시즌)] == 정규리그 순위 == ||<:>
<-8> '''{{{#fff 편강배 2022 시니어바둑리그 정규리그 순위}}}'''|| ||<:> '''순위''' ||<:> '''팀''' ||<:> '''경기''' ||<:> '''승''' ||<:> '''무''' ||<:> '''패''' ||<:> '''개인승''' ||<:> '''비고''' || || 1 ||[include(틀:표시, other1=#39752b, other2=#FFFFFF, other3=고양시)] || 14 || 10 || 0 || 4 || 26 || || || 2 ||[include(틀:표시, other1=#99cb52, other2=#FFFFFF, other3=스타 영천)] || 14 || 8 || 0 || 6 || 25 || || || 3 ||[include(틀:표시, other1=#d0333a, other2=#FFFFFF, other3=KH에너지)] || 14 || 8 || 0 || 6 || 20 || || || 4 ||[include(틀:표시, other1=#ff7600, other2=#FFFFFF, other3=데이터스트림즈)] || 14 || 7 || 0 || 7 || 23 || [*상위지명 상위지명자 다승 - 유창혁(데이터스트림즈) 13승 1패 / 최규병(부천) 9승 5패] || || 5 ||[include(틀:표시, other1=#1e83bf, other2=#FFFFFF, other3=부천 판타지아)] || 14 || 7 || 0 || 7 || 23 || [*상위지명] || || 6 ||[include(틀:표시, other1=#7bb7de, other2=#FFFFFF, other3=통영 디피랑)] || 14 || 7 || 0 || 7 || 18 || || || 7 ||[include(틀:표시, other1=#a72b85, other2=#FFFFFF, other3=의정부 행복특별시)] || 13 || 5 || 0 || 9 || 18 || || || 8 ||[include(틀:표시, other1=#333333, other2=#FFFFFF, other3=구전녹용)] || 14 || 4 || 0 || 10 || 14 || || ||<-8> {{{#ff9,#b29a00 노란색}}} : 챔피언결정전 직행, {{{#97ecab,#006118 초록색}}} : 플레이오프 진출, {{{#adf,#2b5797 파란색}}} : 준플레이오프 진출 || == 대회결과 및 시상식 == ||<:>
'''{{{#fff 편강배 2022 시니어바둑리그}}} {{{#gold 우승}}}'''|| ||<#fff> [[파일:2022경기고양시.png|width=100]] || ||<#39752b> {{{+1 {{{#fff '''고양시 '''}}}}}}[br]{{{#fff (창단 첫 해 우승 / 정규리그 + 포스트시즌 통합 우승)}}} || ---- 시상식은 12월 15일 한국기원에서 진행됐다. ||<:>
'''{{{#fff 편강배 2022 시니어바둑리그 시상식}}}'''||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uh0XHts_LHo)]}}}|| * '''시즌종합 MVP''' : '''김승준 九단 ({{{#39752b 고양시}}}, 정규리그 11승 3패 + 포스트시즌 2승)''' - 고양시의 주장을 맡으며 정규시즌 11승(3패), 챔피언결정전에서는 서봉수와의 두 차례 주장전읆 모두 승리로 이끌며 창단 첫 해 통합우승의 주역으로 맹활약하여 기자단 만장일치, 인터넷 팬투표에서는 76.85%의 압도적인 지지로 시즌 MVP에 선정됐다. * 감독상 : [[한철균]] 감독({{{#39752b 고양시}}}) * 다승왕 : [[유창혁]] 九단({{{#ff7600 데이터스트림즈}}}) - 13승 1패, 3년 연속 다승왕 수상이다. * 단체 시상 ||<:>
'''{{{#fff 결과}}}'''|| '''{{{#fff 팀}}}''' || '''{{{#fff 성적}}}''' || || '''{{{#000 우승}}}''' ||<#39752b> '''{{{#FFF 고양시}}}''' || 정규리그 & 포스트시즌 통합 우승 || || '''{{{#000 준우승}}}''' ||<#d0333a> '''{{{#fff 부산 KH 에너지}}}''' || 정규리그 3위, 최종 준우승 || ||<#b8860b> '''{{{#000 3위}}}''' ||<#99cb52> '''{{{#fff 스타 영천}}}''' || 정규리그 2위, 최종 3위 || || '''4위''' ||<#ff7600> '''{{{#fff 서울 데이터스트림즈}}}''' || 정규리그 & 포스트시즌 통합 4위 || [[분류:한국시니어바둑리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