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산업통상자원부 산하기관)] ||<-2> '''{{{+2 한국산업기술기획평가원}}}'''[br]'''韓國産業技術企劃評價院'''[br]'''Korea Planning&Evaluation Institute of Industrial Technology (KEIT)''' || ||<-2> [[파일:한국산업기술기획평가원 CI.svg|width=200]] || || '''설립일''' ||[[2009년]] [[5월 4일]] || || '''주무 기관''' ||[[산업통상자원부]] || || '''기업 분류''' ||[[위탁집행형 준정부기관]] || || '''소재지''' ||[[대구광역시]] [[동구(대구광역시)|동구]] 첨단로 8길 32 ([[대구신서혁신도시]]) || || '''링크''' ||[[https://www.keit.re.kr/|[[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0px]]]] [[https://www.facebook.com/keitkorea|[[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width=20px]]]] [[https://www.youtube.com/channel/UCzW0FveoY3_sTgBjvpG7Kwg|[[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px]]]] [[https://blog.naver.com/ktechstory|[[파일:네이버 블로그 아이콘.svg|width=20px]]]] || [목차][clearfix]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l_2017022401003026200271001.jpg|width=100%]]}}} || == 개요 == 산업부가 정하는 산업기술혁신사업의 과제기획ㆍ관리 및 평가 등을 지원하는 기관. == 연혁 == [[파일:한글산업기술평가관리원 로고.svg|width=300]]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시절 로고. [[2008년]] [[8월 26일]], 정부의 '제2차 공공기관 선진화 계획' 발표에 따라, 7개 기관을 통폐합-재조정해서,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과 [[한국산업기술진흥원]] 두 기관으로 재편했다. 한국산업기술평가원(ITEP), 한국산업기술재단(KOTEF), 한국부품소재산업진흥원(KMAC), 한국기술거래소(KTTC) 4개 기관의 기능을 통합했다. 정보통신연구진흥원(IITA)은 일부 기능을 이관하고 [[정보통신산업진흥원]]으로 개편했다. [[한국디자인진흥원]](KIDP)와,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산하의 국가청정생산지원센터(KNCPC)은 일부 기능을 이관만 하고 존치한다. [[2009년]] [[1월 30일]], '''[[산업기술혁신 촉진법]]''' 개정안 39조에 따라 법적 근거가 생겼다. 2009년 5월 4일, 기관이 설립되었다. 서울특별시 강남구 역삼동 701-7 한국기술센터 9~13, 15층에 위치했다. 2011년 11월 11일, [[산업통상자원부]]의 연구장비관리 전문기관으로 지정되었다. 2014년 11월 11일, [[대구광역시]] 신서혁신도시 동구 첨단로 8길 32로 이전했다. 2015년 3월 1일, [[한국산업기술시험원]]이 독립했다. 2019년 6월 13일, 현장대응부처 재난안전 R&D 공동전문기관으로 지정되었다. 2018년 8월~, '1부처(산업부) 1전담기관 원칙'에 따라서, 산기평과 [[한국산업기술진흥원]], [[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 셋을 합치자는 논의가 나오기 시작했다. 2023년 9월에 명칭을 한국산업기술기획평가원으로 바꾸었다. [[분류:2009년 기업]][[분류:위탁집행형 준정부기관]][[분류:산업통상자원부]][[분류:대구신서혁신도시]][[분류:대구광역시의 기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