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대한민국의 보수정당(제1공화국-제4공화국))] ||<-5><:>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left, #F8E018, #0070C8)" [[대한민국 보수정당|{{{#FFFFFF '''대한민국의 보수'''}}}]][[민주당계 정당|{{{#FFFFFF '''·민주당계 정당'''}}}]]}}}|| || [[한국사회당(1960년)|한국사회당]] || {{{+1 →}}} || {{{#FFF '''한국독립당'''}}} || {{{+1 →}}} || [[신민당(1967년)|신민당]] || ||<-2><:>[[파일:한국독립당(1963년) 흰색 로고타입.svg|width=230]]|| ||<-2><:>{{{#fff '''한국독립당'''}}}|| ||<:>'''공식 명칭'''||한국독립당[br](韓國獨立黨)|| ||<:>'''창당일'''||[[1963년]] [[10월 30일]]|| ||<:>'''해산일'''||[[1970년]] [[1월 25일]][br],,([[신민당(1967년)|신민당]])에 흡수 합당,,|| ||<:>'''당수''' ||[[김학규]] || ||<:>'''당 색'''|| {{{#!wiki style="display: inline; background: #113DA6; border: 1px #113DA6; border-radius: 3px; padding: 3px 4px" {{{#fff 파랑색 {{{-2 (#113DA6)}}}}}}}}} || [목차] == 개요 == 과거에 한국독립당에 소속되어 있었던 대한민국 초기의 [[군인]], 정치인이었던 [[김홍일(군인)|김홍일]]이 [[제6대 국회의원 선거]] 직전에 재건한 당. 1963년 10월 30일에 창당되었다. 한국독립당의 역사를 감안한 작명이었으나 누가 봐도 이름을 팔아 선거용으로 내세운 것이 자명했으므로 단 한 명의 당선자도 내지 못하다가 1965년 보궐선거에서야 간신히 한 명의 국회의원을 배출하여 미약하나마 원내정당이 되었는데 그 국회의원이 바로 '''[[김두한]]'''이다. 그러나 이후 김두한은 바로 한독당 내란음모 사건에 연루되어 감옥(서대문형무소)에서 구속재판을 받다가 다른 야당의 구명운동[* 국회의결로 불구속 재판으로 바뀌게 되었다.]으로 석방되어 불구속 재판을 받다가 무죄를 선고받아 누명을 벗었지만, 이미 감옥에서 여당과 박정희에게 큰 앙심을 품은 그는 무죄 선고를 받은지 2일만에 그보다 더 유명한 사건인 [[국회 오물 투척 사건]]을 일으켜[* 무죄를 선고받고 2일만에 진짜 죄를 지은 셈이었다. 당시 김두한은 오물을 뿌리기 전 박정희 정권의 문제점을 비난하는 연설을 하였기에, 후에 박정희가 그의 연설 속기록을 읽고 크게 분노하였다고 한다. 그리고 김두한은 다시 구속되어 수사받았는데 그 과정에서 중정에 끌려가 심각한 고문을 당했다고 알려진다. 결국 집행유예로 풀려나긴 해서 감옥에 오래 살지는 않았음에도, 고문 때문에 후유증이 생겼고 사건 후 한반도 최고의 싸움꾼이자 튼튼함의 대명사였던 그가 6년만에 50대의 젊은 나이로 사망했다. ] 파란만장한 정치 인생을 자기 손으로 마무리 해 버렸다. 결국 이후의 선거에서는 당선자를 못 내고 군소 정당으로 연명하다가 1970년 1월 25일 보수 야당 대통합이란 명목으로 [[신민당(1967년)|신민당]]에 흡수 합당되었다. == 관련 문서 == * [[한국독립당 내란 음모 사건]] [[분류:대한민국의 보수정당]][[분류:반공주의 정당]][[분류:1963년 정당]][[분류:1970년 해체]][[분류:한국의 없어진 정당]]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한국독립당, version=2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