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역대 슈퍼레이스 6000 클래스 드라이버 챔피언)] ||<-2> ''' {{{#fff {{{+1 한국 컴피티션}}}}}}'''[br] '''{{{#fff Hankook Competition}}}''' || ||<-2><#fff> [[파일:Hankook Competition.jpg|width=100%]] || ||<#000> '''{{{#fff 창단}}}''' ||<#fff>[[2010년]] || ||<#000> '''{{{#fff 운영 법인}}}''' ||<#fff>주식회사 아트라스비엑스 모터스포츠 || ||<#000> '''{{{#fff 법인 설립}}}''' ||<#fff>[[2009년]] [[12월 23일]] || ||<#000> '''{{{#fff 대표이사}}}''' ||<#fff>[[조항우]][* 평정호 감독의 말에 의하면 창단시 감독직을 역임하였지만 실질적인 창업자이며, [[2021년]] 현재 선수 겸임.] || ||<#000> '''{{{#fff 감독}}}''' ||<#fff>평정호 (2018~) || ||<#000> '''{{{#fff 드라이버}}}''' ||<#fff>[[파일:캐나다 원형 국기.svg|width=25]][[파일:UEFA KOR.png|width=25]] [[조항우]][br] [[파일:UEFA KOR.png|width=25]] [[김종겸]][br] [[파일:UEFA NED.png|width=25]][[파일:UEFA KOR.png|width=25]] [[최명길(레이싱 드라이버)|최명길]] [br] [[파일:UEFA KOR.png|width=25]] [[노동기(카레이서)|노동기]][br][[파일:UEFA KOR.png|width=25]] [[양태근]] || ||<#000> '''{{{#fff 시즌 챔피언[br]}}}''' ||<#fff> [[슈퍼레이스]][* 7회(최다우승)][br] 2014, 2015,2017, 2018, 2019, 2021, 2022[br] 24h 시리즈[br] 2023 || ||<#000> '''{{{#fff 기타경력}}}''' ||<#fff>2020년 24h 시리즈 두바이 24시 GT4 클래스 우승[br]2022년 NLS 5 6h VT2-F 클래스 우승[br]2022년 24h 시리즈 바르셀로나 24시 GT4 클래스 우승 || [목차] [clearfix] == 개요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ABX 바르셀로나 우승.jpg|width=100%]]}}} || || {{{#!wiki style="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0000, #faca04)" {{{#FFFFFF 아트라스BX 모터스포츠 [br]2023 24h 시리즈[br] 종합우승 }}}}}} || [[2010년]] 한국타이어 그룹 소속 배터리 전문 업체인 [[한국앤컴퍼니|한국아트라스BX]]가 창단한 레이싱팀으로, 팀 운영 법인은 팀명과 동일한 (주)아트라스비엑스 모터스포츠. 이 때문에 소유와 경영이 분리된 상태다. 국내 3년 연속 부분 우승 및 2009, 2017년 올해의 드라이버로 선정된 조항우 드라이버가 대표로 있으며 초대 감독을 맡은 팀으로, 현재 국내 모터스포츠 팀 중에서는 가장 선진적인 운영 시스템을 가지고 있는 팀으로 평가받는다. 상기 설명대로 한국아트라스BX는 한국타이어 그룹 계열사이기 때문에 아트라스비엑스 모터스포츠 팀 역시 사실상 국내 시리즈 한정으로 한국타이어의 팩토리 팀 이며, 한국타이어가 국제 무대에서 타이어를 공급하면서 쌓은 모터스포츠 노하우를 토대로 팀을 운영해나가고 있다. 그 결과 현 한국 모터스포츠계의 매번 강력한 우승후보로 꼽히는 팀으로 '''통산 슈퍼레이스 팀 챔피언 7회'''의 명문팀으로 거듭나 있다. 국내 라이벌 중 하나인 [[쏠라이트 인디고 레이싱]]에서 아시아권 TCR 및 GT 레이싱에 참가하는 것에서 자극받은 것인지 2020년 참전한 두바이 24시를 시작으로 해외의 국제 레이스에도 도전장을 내밀었다. 2022년부터는 Creventic의 24H Series가 해외 프로그램의 주 무대가 될듯하며[* 두바이 24시 당시부터 GT4 클래스에 참전 중], 독일의 NLS에도[* 이전 VLN] 도전한다. 2022년 부터는 이원일 선수와 [[현대 N 페스티벌]]에도 참전하며, 본무대인 [[슈퍼레이스]]에서도 박성연 선수와 포로토타입 컵에[* 이전 래디컬 컵 코리아] 참가했다. 2020년 두바이 24시 첫 참전 당시에는 [[야나기다 마사타카]] 선수를 필두로 GT4 클래스 우승을 거두었고, 프로토타입 컵의 박성연 선수는 2022 시즌 드라이버스 챔피언을 달성하는 등 모터스포츠 프로그램 확장은 좋은 결과를 거두었다.2023년은 슈퍼레이스에 불참하고,24h 시리즈에 전념했고, GT4 클래스 우승과,통합 챔피언을 달성했다. 팬들 사이의 은어는 '''밧데리'''[* 타이어 아냐? 하실 분들을 위해 설명하자면 타이어는 금호 [[엑스타 레이싱팀]]의 별명이다.][* 2020년 [[쏠라이트 인디고 레이싱]]이 슈퍼레이스에 합류하며 밧데리 팀이 잠시 늘었었다.][* 심지어 쏠라이트는 [[엑스타 레이싱팀]]을 후원한다.--연합군?--], 또는 컬러링이 은색이라 '''은갈치'''라는 별명도 있다. == 팀 소개 == [include(틀:아트라스비엑스 모터스포츠)] [[조항우]]와 [[최해민]] 드라이버 듀오로 팀을 창단한 것이 시초이다. 이후 김중군[* 현 [[서한 GP]] 소속]을 합류시켜서 슈퍼레이스와 KSF에서 활동하던 중, 2015년에는 독일 국적의 베테랑 드라이버인 팀 베르그마이스터를 영입하면서 팀을 더욱더 체계적인 수준으로 끌어올렸다. 2017년, 3대 체제로 전환하면서 전 슈퍼GT GT500 클래스 챔피언인 야나기다 마사타카를 영입, 2018년에는 팀 베르그마이스터와 결별하고, 2017년 슈퍼레이스 챔피언십 GT1 클래스 챔피언인 김종겸을 영입하여 데뷔 첫 우승, 최연소 우승, 그 후 2019년에도 2연속으로 슈퍼6000 클래스를 재패하며 한국 레이싱계에 강자로 자리를 굳히고 있다. 2020년 시즌부터는 팀 훅스를 2군 팀으로 편성, '팀 훅스-아트라스BX'라는 이름으로 주니어 프로그램을 가동 기존 팀 훅스 드라이버인 김민상 선수, 2022년 시즌부터는 [[소닉모터스포츠-아트라스비엑스]]라는 이름으로 [[양태근]]선수를 이상학 감독이 실전 코칭과 매니지먼트 등을 담당하고 있다. 2020년에는 [[코로나바이러스-19]] 문제로 인하여 야나기다 마사타카의 입국이 어려워지는 것을 감안, 야나기다 마사타카의 공백을 대체할 선수로 2009년부터 쏠라이트 인디고에서 활동하며 팀의 감독과 드라이버를 역임한 최명길이 합류하며[* 당초 최명길은 2020년 시즌에는 인디고의 마케팅 비즈니스 지원을 담당했으며, 양측은 이해 6월 1일부로 계약을 해지, 6월 5일 쏠라이트 인디고 측에서 최명길의 환송 파티를 열었고 그에게 공로패를 증정했다. 최명길의 감독직 후임은 전 쉐보레 레이싱 감독이었던 인디고 레이싱 출신의 베테랑 드라이버인 이재우 감독.], 야나기다 마사타카는 코로나로 인해 당분간 해외에서 열리는 레이스에 참전할 예정이다.([[슈퍼 GT]]의 GT300 클래스 '아르나지 레이싱'팀 소속으로 출전중이고,슈퍼 포뮬러의 현장기자 역할도 수행중이다) 2022년부터 [[현대 N 페스티벌]] 아반떼 N컵 프로클래스에 출전한다. 드라이버는 이원일. === 역대 엔트리 === || 연도 || 참전 대회 || 클래스 || 엔트리 || || 2010년 || CJ Tving.com 슈퍼레이스챔피언십 ||<|3> 제네시스 쿠페 || 조항우, 최해민, 카게야마 마사미[* 2010년 슈퍼레이스 제 5전, 6전 한정] || || 2011년 || Tving.com 슈퍼레이스챔피언십[br]KOREA SPEED FESTIVAL || 조항우, 이승진 || || 2012년 || KOREA SPEED FESTIVAL ||<|3> 조항우, 김중군 || || 2013년 || KOREA SPEED FESTIVAL[br]CJ헬로비전 슈퍼레이스 챔피언쉽 || 제네시스쿠페 10[br]SUPER 6000[* 조항우 2회 참전] || || 2014년 ||<|2> CJ헬로모바일 슈퍼레이스 챔피언십 ||<|6> SUPER 6000 || || 2015년 ||<|2> 조항우, 팀 베르그마이스터 || || 2016년 ||<|4> CJ 대한통운 슈퍼레이스 챔피언십 || || 2017년 || 조항우, 팀 베르그마이스터, 야나기다 마사타카 || || 2018년 ||<|2> 조항우, 야나기다 마사타카, 김종겸 || || 2019년 || ||<|2> 2020년 || HANKOOK DUBAI 24H 내구레이스 || GT4 클래스 || 조항우, 야나기다 마사타카, 김종겸, 박재성 || || CJ 대한통운 슈퍼레이스 챔피언십 || SUPER 6000 || 조항우, 김종겸, 최명길[* 코로나바이러스-19 문제로 인해 야나기다 마사타카의 입국이 어려워지면서 그 공백에 최명길이 합류.] || || 2021년 || CJ 대한통운 슈퍼레이스 챔피언십 || SUPER 6000 || 조항우, 김종겸, 최명길 || ||<|5> 2022년 || HANKOOK DUBAI 24H 내구레이스 || GT4 클래스 || 조항우, 최명길, 김종겸, 양용혁([[양태근]][* 양태근으로 개명 하였음]) || || NLS || VT2-F ||조항우, 김종겸, 최명길 || ||<|2> 슈퍼레이스 || SUPER 6000 || 조항우, 김종겸, 최명길 || || 프로토타입 || 박성연 || || 현대 N 페스티벌 || 아반떼 N 컵-프로 || 이원일 || == 종합 전적 == || 통산 출전 횟수 || 통산 우승 || 통산 폴 포지션 || || 212회 || 30회 || 34회 || == 기타 == * 2020년 한국 레이싱팀 최초로 두바이 24H 내구레이스 GT4 클래스에 출전 했으며 '''첫 출전만에 우승했다.''' 엔트리는 조항우, 김종겸, 야나기다 마사타카에 페라리 챌린지 참전자인 박재성 드라이버. 야나기다 마사타카는 2010년 두바이 24H 우승 경력이 있다.2022년,재출전이 결정되었다. 드라이버는 [[김종겸]], [[조항우]], [[최명길(레이싱 드라이버)|최명길]], [[양태근]]으로 결정되었다. * 2017년까지는 조항우 선수가 감독도 겸직했으나 2018년 들어서 평정호 감독[* 본래 이 팀의 운영팀장 출신이다.]이 기술 책임 및 총괄 감독을, 2019년부터 이상학 감독이 스포팅 감독으로 합류하며 ATLASBX Motorposrts는 두명의 감독이 역임하고 있다. [[https://youtu.be/-sdQ9iQ3DnI|팀 소개 영상]]에서 조항우 대표의 말을 들으면, 평정호 감독은 기술 감독으로 팀을 총괄하고 경기 중에는 조항우 선수 차량의 엔지니어링까지 담당한다고. * 팀 고질적인 문제(?)인지는 모르는데, 슈퍼레이스에서는 잘나가지만 코리아 스피드 페스티벌에서는 좋은 성적은 못 냈다는 이야기가 있다. 조항우 본인도 그렇고 김종겸도 KSF에서는 크게 힘을 못 썼다고. * 2021년 4월 26일 팀 홈페이지를 개설했다. * 팀 홈페이지에 따르면 24H Series 참가계획이 올해에도 있다. 참전 횟수도 4회로 늘려놓은 상태이다. 호켄하임 12시와 무젤로 12시,시칠리아 12시는 불참했다. 불참 이유는 코로나 19 인듯하다. 세브링 24시 참전도 불명확하다. * 2022년 두바이 24시에 재출전한다. * 차량 카울이 크롬색이라 은갈치 라는 얘기가 많다. * 2023년 무젤로 12시에 출전했다.결과는 GT4 클래스 우승 * 2023년 한국타이어 대전공장 화재로 인하여 2023년 슈퍼레이스에 불참한다고 인스타에 밝힘. * 2024년에도 슈퍼레이느에 불참하는듯하다. [[분류:모터스포츠 팀]][[분류:CJ 대한통운 슈퍼레이스 챔피언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