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NHN)] ||<-2>
{{{#!wiki style="margin: -10px -10px" ||
[[파일:한게임 로고.svg|width=150]]||{{{#FA6E00 {{{+3 '''HANGAME'''}}}[br]{{{-3 '''한게임'''}}}}}} || }}} || || {{{#FFFFFF '''종류'''}}} ||[[온라인 게임]], [[포털 사이트]] || || {{{#FFFFFF '''국가'''}}}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 || {{{#FFFFFF '''기본 언어'''}}} ||[[한국어]] || || {{{#FFFFFF '''회원가입'''}}} ||필수 || || {{{#FFFFFF '''서비스 시작일'''}}} ||[[1999년]] [[12월]] || || {{{#FFFFFF '''소유'''}}} ||[[NHN]] || || {{{#FFFFFF '''소재지'''}}}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대왕판교로645번길 16 NHN 플레이뮤지엄 || || {{{#FFFFFF '''링크'''}}} ||[[http://www.hangame.com/|[[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0]]]] [[https://www.facebook.com/playHangame/|[[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width=20]]]] [[https://www.youtube.com/channel/UCNfOz2pGMnPpCC3Nr9F9mAQ|[[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목차] [clearfix] == 개요 == [[NHN]]에서 제공하는 게임 포털 사이트. [[넷마블]]과 더불어 한국형 게임 채널링 포탈의 선구자로 꼽힌다. 수익 구조상 고스톱이나 포커 같은 웹보드 게임에 많이 의존했는데, 웹보드 규제와 모바일 한게임의 성장 등에 따라 모바일게임 매출 비중이 높아졌다. 트레일러나 티저 공개 때마다 로고를 멋지게 바꾸는 일이 잦다. 북미/유럽에 ijji.com(이지 닷컴)으로 진출했으나 망했고 지분 전량을 [[https://www.aeriagames.com/|Aeria Games]]에 처분했다. == 역사 == 1999년 초에 [[김범수(기업인)|김범수]]가 창립하였다. 한동안 시범 서비스를 하다가 12월 정식 서비스를 개시했다. 보드나 카드 게임, 간단한 퍼즐 게임 위주의 게임 포털 사이트로 시작했는데, 당시 이렇다할 게임 포털 사이트가 없었기 때문에 5개월만에 회원수 300만을 확보할 정도로 인기를 끌었다. 2000년 4월 26일에 [[이해진]]의 NHN이 한게임 커뮤니케이션을 합병하면서[* 이해진과 김범수는 합병 이전부터 서로 알고 지내던 사이었다고 한다.] NHN 산하의 사이트가 되었다. NHN의 계열사이기 때문에, 마찬가지로 NHN의 계열사인 [[웹젠]]의 신작 게임들은 모두 여기서 서비스하곤 했다. NHN 계열의 개발사였던 NHN 게임즈는 [[웹젠]]에 합병되기도 했다. [[2004년]] 'NHN 한게임'이라는 명칭으로 [[온게임넷 스타리그]]의 [[NHN 한게임배 온게임넷 스타리그 03~04|스폰서를 맡았다.]] 그리고 동년에 자사의 온라인 게임이었던 '당신은 골프왕'으로 [[MSL]]의 [[당신은 골프왕 MSL|스폰서도 맡았다.]] 2013년 8월 1일 게임사업부분으로 다시 분류되어 NHN엔터테인먼트로 분리되었다가 2019년 4월 1일 NHN로 사명을 다시 변경했다. 2015년 들어서 서비스하고 있던 온라인 게임들의 계약을 종료시켰다. 이 중 크리티카는 올엠에서 직접 운영하기 시작했고[* 다만 기존 한게임 유저들을 위해 채널링 서비스는 종료되지 않아 한게임 계정으로 실행은 가능하다.], 2016년에는 테라가 넥슨으로 이관됐다. == 특징 == 멀쩡해 보이는 게임도 한게임의 손을 거치면 망하는 '''마법의 손'''으로 유명하다. 이유는 간단한데, 대부분의 게임 관리가 엉망인데다 제대로 손을 대면 게임성이 땅바닥을 친다거나 유저들이 손을 댈 수가 없을 정도로 서비스가 엉망이 된다거나, 멀쩡하던 게임도 순식간에 [[흑역사]]로 만들어버릴 정도의 위력을 자랑하기 때문이다. 아래의 서비스 종료된 게임 항목을 참고해보면 알 수 있듯이 괜찮은 평을 받은 게임이나 대작게임들이 망해버린 것을 알 수 있다. 서비스는 되고 있지만 사실상 망한 게임도 있다. 이 때문에 [[이말년]]은 [[던전스트라이커]] [[https://comic.naver.com/webtoon/detail?titleId=557527&no=1|홍보 만화]]에서조차 한게임을 "마이너스의 손"이라고 까버렸다. [[http://bbs2.ruliweb.daum.net/gaia/do/ruliweb/default/325/read?bbsId=G005&articleId=17966675&itemId=143|마법의 손 한게임]]. 그래서 처음에는 느낌 좋은 신작도 분위기가 좋다가 '''서비스가 한게임'''으로 드러나면 '''기겁'''하는 사람들까지 생겨난 상태이다. 이러한 마이너스의 손은 유력 IP도 예외는 아닌데, 대표적인 피해 사례가 바로 [[킹덤 언더 파이어 2]]이다. 심지어 이 게임은 발매도 전에 망가져 버린 사례로, 처음에는 일반적인 콘솔 전략 액션 게임으로 순조롭게 개발되나 싶었는데, 개발진 언급에 따르면 퍼블리셔의 입김으로 인해 MMORPG로 선회하게 되었다고 한다. 지금은 흔적이 남아있지 않지만 10년 전 당시에 한게임 홈페이지에서 KUF 2의 정보란이 실시간으로 MMORPG스럽게 변모하는 모습을 볼 수 있었는데, 당시 팬들은 이를 손놓고 속터지며 지켜봐야 했다. 이후 이러한 갈팡질팡하는 개발 방향은 10년 넘는 개발을 지속해 온 KUF 2의 막장 행보로 돌아왔다. 예외적으로 한게임 퍼블리싱임에도 인기를 얻은 게임이 몇 있는데, [[던전앤파이터]], [[스키드러쉬]], [[테일즈런너]]가 해당된다. 던전 앤 파이터의 한게임 채널링 시절의 운영을 그리워하는 던파 1세대들이 상당히 많을 정도. 물론 해킹 등으로 인한 복구 서비스나 상담 서비스가 다소 문제가 있었지만 그건 오히려 지금와서는 넥슨 채널링에 고객센터 전화까지 닫아버린 현재가 더 심한 지경이니 비교 자체가 실례일 지경이다. 물론 던전 앤 파이터가 넥슨으로 이관된 뒤에 한게임에서 주도하는 다른 게임들의 [[망했어요|기라성 같은 행보]]를 생각하면 [[스키드러쉬]]도 한게임 채널링 서비스 시절 굉장히 인기가 높았다. 2007년 8월 30일에는 테일즈런너 채널링 서비스를 개시하였는데 이때부터 2009년 4월 30일까지 한동안 나우콤 테일즈런너 회원가입이 제한되었으며 한게임 채널링으로만 가입할 수 있었다. 그래서 2007년 8월 30일 이후부터 2009년 4월 30일 이전에 테일즈런너를 시작했다면 100% 한게임 유저라고 보면 된다. [[대항해시대 온라인]]의 경우 [[넷마블]]이나 [[Daum]]에서는 서비스 중이긴 한데, 서비스 종료된 한게임 대항해시대는 있었는지도 모르는 신규 유저가 매우 많다. 한 때 반응이 좋은 편이던 [[던전스트라이커]]나 [[크리티카]]에서 그 오명을 벗어던질 수 있나 싶었으나 '''[[명불허전|한게임의 손에서 완전히 벗어날 수 없었다.]]''' 그리고 2013년 9월 [[에오스 더 블루|에오스]] 사태로 막장운영의 정점을 찍었다. 이후 2년만에 서비스 종료. 유일하게 크리티카만 살아남았다는게 아이러니. 2013년 9월 서비스를 시작한 [[에오스 더 블루|에오스]]에서 OBT 시작과 동시에 PC방 업주들에게 1000골드를 지급하는 이벤트를 벌였다. 세부 사항은 [[에오스 더 블루]] 참조. 이 사건으로 한게임은 명성에 걸맞는 운영의 진면목을 제대로 보여주었다. 유저들이 분노한 이유가 '''PC방에 불공평하게 주어진 게임 머니'''임에도 불구하고 '''게임머니를 불법적으로 사용한 업주들이 나쁘다'''라는 태도를 취하여 은근 슬쩍 '''이벤트 자체는 문제가 없었다'''는 결론을 내렸다. 이로 인해 유저들은 '''문제만 없다면 이런 이벤트를 나중에도 할 수 있다'''라고 판단을 하게 되었다. 이는 현재 서비스 중이거나 이후 서비스 될 게임에서 '''특정 계층이나 유저에게 특혜가 주어질 가능성'''이 있다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고 일개 개발사가 아닌 국내 최대의 대형 게임 퍼블리셔로서 이러한 유저들의 의심은 치명적일 수밖에 없다.[[http://www.thisisgame.com/webzine/news/nboard/12/?n=49451|#]] == 사행성 == 한게임의 온라인게임은 고포류(고스톱, 포커)라고 불리는 웹보드게임으로 대부분의 수입을 벌어들이고 있는지라, 시사프로그램에서 인터넷 도박의 폐해로 취재하면 꼭 [[NHN]]에서 인터뷰를 따온다. 넷마블, 피망 등 다른 사이트들도 많은데 맨날 한게임만 등장하는 것을 보면 고포류의 점유율은 한게임이 압도적인 듯하다. 항간에는 한게임이 자기 능력 이상으로 게임 퍼블리싱을 진행한 이유가 사행성 게임이 흥한다는 이미지를 탈피하기 위해서라는 말도 있다. 인터넷 도박으로 집 날렸다 이런 소리가 있는데 사실 한게임에서 한 달에 충전할 수 있는 고포류 머니는 최대 30만 원(신윷놀이/바둑/장기 50만 원)밖에 안 된다. 그런데도 왜 한게임으로 차나 집을 날렸다는 소리가 나오고 빚더미에 앉았단 소리가 나오냐면 다 불법 환전상을 통한 현금 거래 때문. 한게임은 맨날 이들을 단속한다고 하지만 대부분은 쏙 빠져나가기에 이들은 2020년 기준 아직도 활개를 친다고 한다.[* 이건 사실 윈조이나 피망 등 다른 고포류 사이트들도 사정이 비슷하다.] 요즘엔 아예 필리핀, 홍콩, 마카오 등에 서버를 차려놓고 영업하는 불법 인터넷 도박 등이 등장하여 이들이 더 인기가 있는 듯하다. 결국 웹보드게임 전체가 등급취소 예정[* 쉽게 이야기하자면 '''서비스 즉시 중단 명령'''.] 처분을 받게 되었으나, 기존 심의를 버리고 심의를 다시 받았다고 한다. == 로고 및 마스코트 == || [[파일:한게임 로고(1999-2005).svg|width=90%]] || [[파일:한게임 로고(2005-2010).svg|width=95%]] || [[파일:한게임 로고(2010-2016).png|width=100%]] || [[파일:한게임 로고.svg|width=90%]][* [[토스트(브랜드)|토스트]] 리브랜딩 선언 이후 변경됐다.[br][br][[파일:NHN 한게임 로고.svg|width=190]][br][[NHN]]이 포함된 버전의 로고.] || || '''1999년 ~ 2005년''' || '''2005년 ~ 2010년''' || '''2010년 ~ 2016년''' || '''2016년 ~ 현재''' || ||<-2> '''마스코트 '마우키' ''' || || [[파일:schatmain2.gif|width=70%]] || [[파일:main_04.png|width=100%]] || || '''오픈 ~ 2004년 7월''' || '''2004년 7월 ~ ?''' || == [[스마트폰]] 게임 == [include(틀:다른 뜻1, other1=토스트라는 브랜드로 런칭되었던 게임, rd1=토스트(브랜드))] 2011년부터 스마트폰 게임 시장에 뛰어들고 있다. 물론 [[게임빌]]이나 [[컴투스]] 같은 오래전부터 모바일 - 스마트폰 게임 분야에서 지지를 확고히 한 메이저한 회사에 비교하면 아직은 가야 할 길이 멀지만, 현재까지 발매한 게임들은 '''모두 무료'''[* 물론 유료 아이템 결제를 유도한다는 이야기가 있고, 실제로도 몇몇 게임들은 유료 아이템 결제가 없으면 게임을 하기 쉽지 않은 것도 있다.]고 과거의 명작 모바일 게임을 스마트폰 게임으로 이식하는등의 의욕적인 모습을 보이고 있다. 문제는 위에서도 설명한대로 역시나 운영은 [[내려갈 팀은 내려간다|개판인 게임은 개판이다]]. 후발주자지만 [[피쉬 아일랜드]]로 꽤 괜찮은 수익[* 스마트폰 게임 수익률에서 [[카카오톡]] 게임들이 득세인 상위 랭킹에서도 일정 이상의 순위를 지키고 있는 몇 안되는 게임이기도 하다.]을 거두고 [[언데드 슬레이어]]도 좋은 평가를 받는거보면, 오히려 기존의 서비스하는 게임들보다 평가가 좋은 듯 하다. 반대로 [[뿌요뿌요!! 퀘스트]]의 경우 뽑기 이벤트를 시행한 다음날 서비스를 접어버리는 막장 상황이 발생했다. [[http://www.thisisgame.com/webzine/news/nboard/4/?n=57987|관련 기사]] 한게임에서 [[토스트(브랜드)|토스트]]라는 이름으로 서비스하고 있었다. 2016년 5월에 다시 한게임으로 바뀌었다. == 서비스 게임 == === 서비스 중인 게임 === * RPG * [[이터널시티]]: 채널링 서비스 * [[군주 온라인]]: 채널링 서비스 * [[드래곤네스트]]: 채널링 서비스 * [[프리스톤테일]]: 채널링 서비스 * [[썬: 리미티드에디션]]: 채널링 서비스 * [[크리티카]]: 채널링 서비스 * [[아틀란티카]]: 채널링 서비스 * [[귀혼]]: 채널링 서비스 * [[로스트사가]]: 채널링 서비스 * [[이카루스(게임)|이카루스]]: 채널링 서비스. PC방 프리미엄 서비스를 지원했으나 2017년 5월 24일부로 종료됐으며, [[카카오게임즈|다음 게임(現 카카오 게임즈)]]가 PC방 서비스를 이어받았다. * [[소울워커]]: 채널링 서비스. * [[아키에이지]]: 채널링 서비스. 이카루스와 마찬가지로 PC방 프리미엄 서비스를 지원했으나 2017년 3월 23일부로 종료됐으며, 현재 PC방 프리미엄 서비스는 넥슨에서 제공하고 있다. * [[명품2]]: 채널링 서비스 * [[디지몬 마스터즈]]: 채널링 서비스 * [[로도스도 전기 온라인]]: 채널링 서비스 * [[다크에덴 오리진]]: 채널링 서비스 * [[킹덤 언더 파이어 2]]: 미출시 * 스포츠 * [[마구마구]]: 채널링 서비스, 넷마블 서버로 플레이 된다. * 샷온라인: 채널링 서비스, 웹젠 서버로 플레이 된다. * [[슬러거]]: 채널링 서비스, 피망 서버로 플레이 된다. * [[야구9단]] : 채널링 서비스 * 캐주얼/FPS * [[테일즈런너]]: 채널링 서비스 (2007년 8월 30일 개시) * [[오디션(게임)|오디션]]: 채널링 서비스 * [[모두의마블]]: 채널링 서비스라서 넷마블 서버로 플레이 된다. * [[스페셜 포스 2]]: 채널링 서비스 * 웹게임 * 뮤 이그니션 * [[와룡전설]] * [[열혈강호]] 외전 등 * 보드 * '''[[한게임 바둑]]&오목''' * 장기 * 사천성 * 신[[윷놀이]] * [[고스톱]]/[[섯다]]류 * [[한게임 신맞고]] * 한게임 신맞고 토너먼트 * 한게임 맞고 * 한게임 고스톱 * 더블맞고 * [[한게임 섯다]] * [[포커]]류 * [[한게임 포커]] * '''[[한게임 로우바둑이]]''' === 서비스 중인 모바일 게임 === * [[크루세이더 퀘스트]] * [[킹덤 스토리]] === 서비스가 종료된 게임 === * [[건스터]] * [[고고씽]] * 골드윙 * 굴착소년 쿵 * [[그랑에이지]] * 날온라인 * [[내맘대로Z9별]]: 서비스 자체는 종료되지 않고 개발사 자체 서비스로 전환되었으나 한번 더 이관되었다. * 네모네모 * 당구프로 * [[당신은 골프왕]] * [[대항해시대 5]] * [[대항해시대 온라인]]: [[넷마블]]에서는 서비스 유지중. * [[던전스트라이커]]: 서비스 종료 이후 [[액토즈소프트]]에서 [[뉴 던전스트라이커]]를 운영했으나 이쪽도 2016년 2월 [[서비스 종료]]됐다. * '''[[던전앤파이터]]''': 이쪽은 채널링 서비스가 종료된 것으로[* 한게임 채널링 서비스 이전, 즉 던파 서비스가 시작된 2005년 8월 10일부터 한게임 채널링이 시작됐던 2006년 8월 9일까지 네오플에서 1년간 자체 운영을 했었다.], 한게임 계정으로 접속했던 유저들을 대상으로 던파 ID 이관 신청을 받기 시작했다. 이후 잠시동안 네오플에서 자체 운영을 하다가 2009년 1월 22일부로 [[넥슨]] 채널링이 시작됐다. 넥슨 채널링 개시 이전 2008년 7월에 넥슨이 네오플을 인수했으므로 사실상 [[넥슨]]으로 넘어간 것이나 마찬가지다. 이후 2013년 7월 18일부로 네이버 게임 채널링 서비스가 개시됐다. * [[데빌리언]] * [[드래곤 소드]] * [[라이딩스타]] * [[라크무]] * 런앤히트: 서비스종료 후에도 오프라인 모드는 이용 가능. * [[몬스터 헌터 프론티어]] * [[바우트]] * [[바투]] * [[반지의 제왕 온라인]] * [[블리츠 1941]] * [[빙고#s-1]] * 빵빠야 * 세임팡팡 * [[소오강호]] * [[슈팅대전 탄]] * [[스키드러쉬]]: 서비스 자체는 종료되지 않고 개발사 엔플루토가 자체적으로 운영하다 2016년부터 마상소프트가 운영함. * 신윷놀이2 * [[십이지천2]] * [[야구9단]] * [[아란 전기]] * [[아스타(게임)|아스타]] * [[아크로드]] * [[애프터라이프]][* 2020년 12월 31일부로 서비스 종료.] * [[에오스 더 블루]]: 블루포션게임즈에서 서비스를 다시 재개하였다. * 열혈농구: 조이씨티 '프리스타일' 출시 후 경쟁에 밀려 종료 * --[[오목]]--[* 2022년 11월 22일부터 바둑 클라이언트에 추가되면서 서비스가 재개되었다.] * [[우뿌]] * [[우파루사가]] * [[울프팀]]: 서비스 자체는 종료되지 않고 개발사 자체 서비스로 전환되었다. * [[워해머 온라인]] * 원더볼 / 원더볼Z: 눈싸움 게임. 한게임 마스코트, 헥사, 테트리스 등의 캐릭터들을 사용했다. * [[원카드]] * 위닝펏 * [[이너시아드]] * [[인드림월드]]: 2003년 7월에 오픈베타를 시작하여 3달을 못가고 서비스 종료. * [[전장의 발큐리아 듀얼]] * 점프점프: 점프 게임. 계급구조가 올챙이~개구리 순서로 되어있는 세로형 플랫폼 게임. 먼저 꼭대기로 올라가면 승리한다. * [[지뢰찾기]] * [[천년도]] * 체인지팡팡 * [[출조낚시왕]] * [[카로스 온라인]] * [[카르마2]] * 큐티마블: 부루마불 게임. 여자아이 마스코트가 메인이었다. * '''[[테라(MMORPG)|테라]]''': 던전 앤 파이터와 똑같이 [[넥슨]]으로 넘어갔으며, 테라 역시 네이버 게임 채널링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 [[테트리스]]: 한게임 오픈과 동시에 서비스를 했지만, 저작권 문제가 발생하여 서비스를 종료했던 [[흑역사]]가 있다. 정식 라이선스를 취득하여 서비스하고 있었다. 그러나 접속자 수가 줄어서 서비스 종료되었다. * [[팡야]]: 2016년 8월 29일 서비스 종료. * 퍼니사커: 알카노이드(벽돌깨기)에 당구와 축구 개념을 더한 게임. 싱글버전이 인터넷에 돌아다닌다. [[http://web.archive.org/web/20020223204545/http://download.metarica.com/FunnySoccer_single/FunnySoccerSingle.exe|다운로드 링크]]. * [[페이퍼맨(게임)|페이퍼맨]] * [[포포조이]] * 프로골프매니저 * [[피쉬 아일랜드]] * 한게임 민화투 * [[한게임 플래시]] * [[한쿠아]]: 물고기를 낚는 낚시 게임. * [[헉슬리]] * [[헥사]] * 호버보드ASDF * '''[[C9(게임)|C9]]''' * G2([[골드윙2]]) * JD * [[R2]] == 논란 == * 한게임의 웹게임 '도천' 사전예약 페이지가 리그 오브 레전드 아트록스 스킨인 불의 축제 아트록스 일러스트를 도용하였다는 의혹이 있다. [[https://talk.op.gg/s/lol/free/4822562/%EC%9B%B9%EA%B2%8C%EC%9E%84%EC%97%90%EC%84%9C-%EB%A1%A4-%EC%9D%BC%EB%9F%AC-%EB%8F%84%EC%9A%A9%ED%96%88%EB%84%A4|논란이 게시된 OP.GG 게시글]] [[http://d1000.hangame.com/Event/PreRegist.aspx?utm_source=K_D1000&utm_medium=gamelist&utm_campaign=main|도천의 사전예약 홈페이지]] [[https://lol.inven.co.kr/dataninfo/skin/#champ=114,skin=1366|불의 축제 아트록스 스킨 일러스트]] 현재는 논란이 되자 이미지를 바꾼 상태이다. 이후 정식 오픈 이벤트 홍보용 일러가 도용 된 것이라는 의혹이 나왔다. [[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genrenovel&no=4331758|도용 의혹 게시물]] [[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genrenovel&no=4331948|추가 정보]] == 여담 == * [[파이어폭스]]에서는 로그인이 안된다. * 2022년 광고에 [[이병헌]], [[조승우]], [[정우성]]을 캐스팅한 초호화 CF를 선보였다. 포커, 화투, 바둑 3개의 게임이 나오는데 각각 [[올인(드라마)|올인]](포커)의 [[이병헌]], [[타짜(영화)|타짜]](화투)의 [[조승우]], [[신의 한 수(영화)|신의 한 수]](바둑)의 [[정우성]]을 고려한 캐스팅으로 보여진다. || [youtube(a5boYecy07U)] || * "야, 한게임 하냐?"라는 질문에 그렇다 하면 '야햔게임'을 하는 변태로 몰아가는 고전 말장난이 있다. 지역에 따라 "야, 한개 보여?"라고 질문하고 그렇다 답하면 "야한게 보인다"고 몰아가는 변형이 있다. == 관련 문서 == * 한게임 [[해피빈]] * [[해피빈농장]] * [[메트로 컨플릭트]]: 퍼블리싱 계약을 맺고 2011년, 2012년에 걸쳐 두 번의 CBT가 진행했으나 2016년까지 홈페이지만 열다가 끝내 정식 서비스가 불발됐으며 홈페이지도 사라져버렸다. 메트로 컨플릭트 자체는 기대작이긴 했으나 정작 해외에서 이리 치이고 저리 치이다가 한국엔 들여오지도 못하고 먼지가 되었다. * [[한게]]: 구 한게임 재팬 [[분류:NHN]][[분류:게임 사이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