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광명시의 법정동)] ||<-2> '''[[광명시|{{{#000000,#dddddd 광명시}}}]]의 [[행정동|{{{#000000,#dddddd 행정동}}}]]'''[br]'''{{{+1 학온동}}}'''[br]鶴溫洞 | Hagon-dong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광명시 학온동, 너비=100%, 높이=100%)]}}} || || '''광역자치단체''' || 경기도 || || '''기초자치단체''' || 광명시 || || '''행정표준코드''' || 3900052 || || '''관할 법정동''' || 노온사동, 가학동 || || '''하위 행정구역''' || 9통 28반 || || '''면적''' || 12.89㎢ || || '''인구''' || 2,066명[* 2022년 6월 주민등록인구] || || '''인구밀도''' || 160.28명/㎢ || || '''정치''' ||<^|1> {{{#!wiki style="margin:-0px -11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5px;margin-bottom:-11px" ||<-2> '''국회의원 | 광명시 을''' ||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행정구역)] || [[양기대]] ,,(초선),, || ||<-2> '''경기도의원 | 제3선거구''' ||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행정구역)] || 유종상 ,,(초선),, || ||<-2> '''광명시의원 | 다 선거구''' || || [include(틀:국민의힘/행정구역)] || 설진서 ,,(초선),, ||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행정구역)] || 이지석 ,,(초선),, ||}}}}}}}}} || ||<|2> [[행정복지센터|{{{#ffffff '''행정복지센터'''}}}]] || 서독로104번길 14[* 가학동 545-3] || || [[http://www.gm.go.kr/dg/ho/index.do|학온동 행정복지센터]] || [목차][clearfix] == 개요 == [[경기도]] [[광명시]]의 [[행정동]]. [[경기도]] [[시흥시]] [[과림동]]과 맞대고 있는 동네다. == 지명 유래 == 행정동 학온동은 관할 법정동인 [[가학동|가'''학'''동]]과 [[노온사동|노'''온'''사동]][* 노온'''4'''동이 절대 아니니 주의할 것. 노'''은'''사동도 절대 아니다.]에서 한 글자씩 따왔다.[* 다만, 과거 노온사리는 광명시가 시흥군 서면 시절 때인 노온사1리부터 노온사4리까지 행정리가 이렇게 있었다고 한다. 그렇다 할지라도 전술한 내용과 더불어 노온사동(老溫寺洞), 즉 노온사라는 절터가 있었던 마을 이름이므로 절대로 헷갈리지 않도록 주의를 요한다.] == 역사 == 노온사리와 아방리가 1911년에 노온사리로, 가학리, 유등리, 노온곡리와 장기리가 같은 해에 가학리로 통합되었다. == 환경 == 면적이 제일 넓으나 개발제한구역([[그린벨트]])이 많아 전형적인 대도시 근교 [[농촌]]의 풍경을 볼 수 있다.[* 이는 2010년 이전의 [[소하동]]도 비슷했다.] == 관할 법정동 == === 노온사동 === ||<-2> '''[[광명시|{{{#000000,#dddddd 광명시}}}]]의 [[법정동|{{{#000000,#dddddd 법정동}}}]]'''[br]'''{{{+1 노온사동}}}'''[br]老溫寺洞 | Noonsa-dong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광명시 노온사동, 너비=100%, 높이=100%)]}}} || || '''광역자치단체''' || 경기도 || || '''기초자치단체''' || 광명시 || || '''행정표준코드''' || 4121010500 || || '''관할 행정동''' || 학온동 || || '''면적''' || 7.34㎢ || 한자로는 老溫寺洞이다. 원래 노온사라는 절이 있어 마을 이름이 되었다고 한다. 옆동네 안양사와 비슷한 케이스. 여담이지만 1920년대까지도 [[시흥군]] 서면 헌병주재소는 노온사리에 있었다. 그래서 3.1운동 당시 기록을 보면 서면에서는 소하리에서 시위를 하고 노온사리 주재소로 끌려가 조사를 받는다(...) 온신초등학교 주위로 화훼단지가 자리잡았는데, 그 단지의 명칭은 '''서서울화훼단지'''(...).[* 여담으로 남서울화훼단지는 [[과천시]] [[주암동]]에 있다.] [[범일운수]] 광명영업소가 [[시흥시]] [[과림동]] 시경계 바로 옆에 있다. 차고지 옆의 능촌교를 건너가면 [[시흥시]] [[과림동]]이다.[* 6639번이 폐지되고 6640번이 단축된 현재, [[시흥시]]에서 [[서울특별시 시내버스]]를 보고 싶으면 노온사동이나 부천시 옥길동으로 가야 한다.] 온신초 부근에 [[대한성공회]] 서울교구 광명교회가 자리하고 있다. [clearfix] === 가학동 === ||<-2> '''[[광명시|{{{#000000,#dddddd 광명시}}}]]의 [[법정동|{{{#000000,#dddddd 법정동}}}]]'''[br]'''{{{+1 가학동}}}'''[br]駕鶴洞 | Gahak-dong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광명시 가학동, 너비=100%, 높이=100%)]}}} || || '''광역자치단체''' || 경기도 || || '''기초자치단체''' || 광명시 || || '''행정표준코드''' || 4121010700 || || '''관할 행정동''' || 학온동 || || '''면적''' || 5.56㎢ || [[광명동굴]], 광명시 자원회수시설, 가학동 고인돌 유적지가 있다. 안서초등학교는 광명시 최남단에 있는 초등학교로, 2000년대에는 광명시내 초등학생들의 수련시설로 쓰이기도 했다. 안서초교 앞 도로는 광명-시흥 시계. [clearfix] == 기타 시설 == * 학교 : 초등학교 2개가 있다. 안서초, 온신초. * 관광지 : [[광명동굴]] * 문화재 : [[소현세자]]의 아내인 [[민회빈 강씨]]의 묘소인 영회원(永懷園)이 위치해 있다. == 교통 == 학온동 지역에서 운행하는 버스 노선은 아래와 같다. ||<-2><:>운행 버스|| ||<#0075c8> [[일반좌석버스|{{{#FFFFFF 일반좌석버스}}}]] || [[안산 버스 301|301]]ㆍ[[안산 버스 320|320]] || ||<#3d5bab> [[간선버스(서울)|{{{#FFFFFF 간선버스}}}]] || [[서울 버스 505|505]] || ||<#5bb025> [[지선버스(서울)|{{{#FFFFFF 지선버스}}}]] || [[서울 버스 5627|5627]]ㆍ[[서울 버스 5633|5633]]ㆍ[[서울 버스 6637|6637]] || ||<#33cc99> [[시내버스|{{{#FFFFFF 일반시내버스}}}]] || [[광명 버스 11|11]]ㆍ[[광명 버스 11-3|11-3]]ㆍ[[광명 버스 17|17]]ㆍ[[광명 버스 77|77]]ㆍ[[시흥 버스 530|530]] || == 정치 == 광명시의 작은 [[TK]] 광명시 유일의 보수정당 텃밭이다. [[20대 대선]]에서도 유일하게 [[윤석열]]이 승리한 곳이다. == 기타 == 광명시흥 [[보금자리주택]] 지구로 지정되어 산림을 제외한 전지역이 그린벨트에서 해제, 개발될 예정이었으나 LH부채 문제와 부동산 경기 침체 때문에 2014년 5월에 잠정 백지화되었고, 2014년 9월에 전면 백지화되었다.[* 이명박 정부가 추진한 주택정책의 핵심이었던 [[보금자리주택]]은 박근혜 정부 들어 첫 부동산 대책인 4.1대책에서 '시장 정상화'라는 목표를 내걸고 보금자리주택 분양 계획들이 강제 종료되었다.] 보금자리 계획 백지화에 따라 해당 지정지역은 그린벨트 환원 대신에 특별관리지역[* 명목상 그린벨트는 아니지만 시한부 개발규제가 적용.]으로 지정되었다. 대신에 보금자리 계획지구 중 남부 일부를 광명시흥테크노벨리 계획으로 대체하여 현재 추진 중에 있다. 해당 보금자리 지정지역은 신도시 후보지로 자주 물망에 올라왔지만 광명 지역사회의 반발과 토지보상금 문제 때문인지 [[3기 신도시]] 지정에서도 제외되었다. 하지만 2021년 2월 24일 [[광명시흥신도시|3기 신도시 추가 계획에 다시 포함 되었다]]. 학온동은 하수처리 미편입 지역으로, 학온동 생활하수는 하수처리장을 거치지 않고 정화조를 거쳐 [[목감천]]으로 배출된다. 업무지구 조성계획과 맞물려 학온동을 관할하는 자체 소규모 하수처리장 설치 계획이 있다고 한다. [[분류:광명시의 행정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