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1 하인츠크리스티안 슈트라헤}}}[br]Heinz-Christian Strache'''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Heinz-Christian Strache.jpg|width=100%]]}}} || ||<|2> '''출생''' ||[[1969년]] [[6월 12일]] ([age(1969-06-12)]세)|| ||[[오스트리아]] [[빈(오스트리아)|빈]]||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오스트리아)]|| || '''신체''' ||NNNcm, NNkg, 혈액형|| || '''가족''' ||이름 ,,(관계),,|| || '''학력''' ||초등학교 {{{-2 (졸업·중퇴)}}}[br]중학교 {{{-2 (졸업·중퇴)}}}[br]고등학교 {{{-2 (졸업·중퇴)}}}[br]대학교 단과대학 {{{-2 (학과1·학과2[*복수전공] / 재학·학사·중퇴)}}}|| || '''종교''' ||종교|| || '''직업''' ||정치인|| || '''소속''' ||[[오스트리아 자유당]]|| || '''서명'''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background: #fff; border-radius: 4px;" [[파일:Unterschrift_von_Heinz-Christian_Strache_(2017).png|width=150]]}}}|| [목차] [clearfix] == 개요 == [[오스트리아]]의 정치인. [[극우]] 정당인 [[오스트리아 자유당]] 소속으로, 2005년부터 당대표를 지내며 유럽의 극우·[[포퓰리즘]]의 돌풍에 힘업어 한때 자유당을 지지율 1위까지 끌어올리는 등 활약했으며, 2017년 [[제바스티안 쿠르츠]]가 이끄는 [[오스트리아 인민당|인민당]] 정부와 연정으로 부총리에 올랐다. == 생애 == [[빈(오스트리아)|빈]]에서 태어났으며, 고등학교 졸업 이후 4년 간 치과기공사로서 일했다. 1990년 8개월 간의 군복무를 마친 후 [[빈 대학교]]에서 역사학을 전공했다. 아버지가 [[체코]] 라이헨베르크[* 체코명 리베레츠] 출신이지만, 실제 체코 혈통은 아니다. 라이헨베르크가 속했던 일명 [[주데텐란트]]에는 2차 대전 이전까지 독일계 지역이었다. 즉 실향민 2세. == 정치 활동 == 청년 시절부터 정치 분야에 관심을 갖기 시작했으며, 본격적인 정치 활동은 1991년에 시작되었다. 당시 자유당에 입당했는데, 일전부터 슈트라헤는 자유당 및 극우 단체가 주관하는 행사에 참여하는 등 일찍이 본질을 드러냈다. 1991년 단 '''21세'''라는 나이에 자유당 빈 시당위원장이 되었는데, 이는 시·도당위원장으로서도 최연소였다. 2017년 [[제바스티안 쿠르츠]]와의 연립 정부 구성으로 부총리직과 스포츠 장관에 올랐다. 하지만 2019년 5월 [[이비자]] 섬 스캔들 (Ibiza Affairs)으로 몰락하였다. 이비자 스캔들이란 슈트라헤 부총리가 스페인 이비사 섬에서 러시아 재벌가의 조카라고 자처하는 여성과 만나서 정부뉴스사업권에 대한 뒷거래를 논의하는 장면이 담긴 몰카 동영상이 공개된 것이다. [[https://www.bbc.com/korean/news-48362337|BBC코리아 기사]] 이 사건은 엄청난 파문을 불러왔으며, 슈트라헤는 곧바로 부총리와 자유당 당수직에서 사임하였다. 후임 당수로는 노르베르트 호퍼 교통장관이 내정되었다. 그러나 자유당 출신 장관들이 죄다 사임하며 연립 정부는 깨지고 당 지지율도 추락하고 있다. 쿠르츠는 군인, 관료 등 각 분야 전문가 출신으로 공석이 된 장관직들을 매꾸었다. 2019년 자유당을 탈당하고 신당을 창당했다. [[분류:당 대표/오스트리아]][[분류:1969년 출생]][[분류:빈 출신 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