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yperborea [목차] == 가공의 대륙 == 원래 어원은 고대 [[그리스]] 사람들이 상상하던 가공의 대륙 이름이었다. '하이퍼보리아'는 영어 발음이며 '휘페르보레아'는 그리스식 발음이다. hyper는 저너머, borea는 북풍(北風) 보레아스를 뜻한다. 즉, 보레아스의 너머 극북(極北)에 있다고 여겨진 가공의 대륙이다. 그리스의 전설에 따르면 휘페르보레아는 '휘페르보레오이'라는 [[거인]]들이 사는 땅으로 극북에 있으면서도 기후가 항상 따뜻하고 살기 좋으며, 태양신 [[아폴론]]의 은총을 받는 곳이다. 슬라브 지역 경우에는 [[페룬]]과 엮기도한다. 사실 이는 [[북유럽]]의 [[백야]] 현상과 북반구 끝자락의 여러 민족들을 고대인이 보고 퍼뜨린 소문에서 파생된 전설이라고 한다. 이런 극지에 존재하는 미지의 대륙이란 개념은 [[미지의 남방대륙]]과 같은 개념으로 이어져 후대의 탐험가들에게도 영향을 줬다. 이상과는 달리 혹한의 땅이었지만 그 덕에 후대에 [[남극 대륙]]이란 극지 대륙이 실존하는 것이 밝혀지기도 했다. [[라틴어]]로는 울티마 [[툴레]](Ultima Thule), 즉 “가장 북쪽”이라 부르기도 한다. [[대 플리니우스]], [[베르길리우스]] 등 당대 여러 석학들이 울티마 툴레/하이퍼보리아에 대해 언급한 기록이 남아있으나, 실존하는 지역이라기보다는 미지의 땅, 이상향 등의 은유로 간주된다. 과거에는 [[아리아인]]들의 고향이 하이퍼보리아라는 주장도 있었고, 때문에 [[나치 독일]]의 부역자들의 어용 단체인 [[툴레 협회]][* 처음부터 [[나치스]]와 엮인 단체는 아니고 [[제1차 세계 대전]]의 패전 직후에 [[독일]]의 여러 귀족과 부유한 기업인 등의 상류층 인사들이 모인 친목회에서 시작되었는데, 단체 성향이 [[극우]]였던지라 [[나치 독일]] 체제가 출범하자 금방 이들에게 장악당했다.]가 있었다. [[신이교주의]] 계열, 특히 러시아 극우 쪽에서도 [[네오나치]]랑 엮어서 단골 소재로 등장한다. == [[크툴루 신화]]에서 == [[하워드 필립스 러브크래프트|러브크래프트]]는 하이퍼보리아를 [[프나코틱 사본]]이 전해져 온 장소 정도로 밖에 구상하지 않았고,[* 러브크래프트는 프나코틱 필사본이 전해진 장소로 로마르(Lomar) 역시 언급하고 있는 걸로 보아 그 둘을 같은 지역으로 설정했을 수도 있는데, 로마르 또한 북쪽 지역에 있는 땅이라는 말 말고는 별다른 직접적인 설명이 없다. 아마도 단순한 [[떡밥]]으로 남기고 직접적으로 등장시킬 생각은 없었던 듯.] [[클라크 애슈턴 스미스]]나 린 카터 등의 작가들이 많이 애용(?)한 대륙이다. 카터의 지도에 의하면 쐐기 모양을 하고 있으며, 북쪽에는 무우 둘란이라는 이름의 반도가 있고 자브다마르라는 이름의 산맥에 의해 하이퍼보리아 본토와 갈라져 별개의 국가를 이룬다. 이곳 출신의 인물로 [[대마법사 에이본]]이 있다. [[차토구아]]와 [[아틀락 나챠]]가 거주했다고 한다. 아주 발전했던 대륙으로, 쟈르나 파줄루라고 하는 화폐의 단위가 존재했으며, 전성기에는 무 대륙이나 [[아틀란티스]]에서도 공물이 들어왔다고 한다. 산맥 남쪽으로는 정글지대가 펼쳐져 있으며 수도는 코모리엄(Commoriom)이다. 원래는 [[북아메리카]]에서 [[뱀 인간]]들이 차토구아와 같이 이주해서 살고 있었으나, 나중에 쳐들어온 인간들에게 지하로 쫒겨났다. 그와 동시에 차토구아를 숭배하는 교단은 이단이 되었고, [[니알라토텝]]의 마누라인 [[이호운데]]를 숭배하는 교단이 주교가 되었다고 한다. 허나 차토구아의 피를 잇는 크니가틴 자움이 이끄는 부어미 족들이 코모리엄을 함락시킨 뒤에는 몰락의 길을 걷게 되었고 결국 [[아품 자]], [[이타콰]], [[림 샤이코스]]가 연합해서 일으킨 대빙하기 때 망해서 가라앉고 만다. 근데 전성기에도 부어미 족이 [[레이드]]를 다니고, [[림 샤이코스]]가 무우 둘란의 항구 도시들을 습격하고 했다는 걸 보아 그리 살기 좋은 곳은 아니었을 듯. == 타 매체 == [[참마대성 데몬베인]]에서는 [[리베르 레기스]]가 이걸 모티브로 한 '[[하이퍼보리아 제로드라이브]]'라는 기술을 쓰기도 했다. [[코난 사가]]의 무대인 [[하이보리아]]의 원형이기도 하다. 이 둘은 자주 혼동되기도 한다. [[헬보이]] 시리즈에서도 하이퍼보리아인이 나온다. 물론 이름만 따온 것이며, 작중에서는 인류 이전의 인간으로 여러 가지 떡밥을 뿌린다. 유사사례로 러시아의 '''벨리카야 타타리아(Великая Тартария)''', '''[[고조선]]'''이 있다. [[우는토끼]]의 종명이 이 하이퍼보리아와 동일하다. [[파이널 판타지 14]]의 87레벨 던전인 [[휘페르보레아 조물원]]의 이름은 여기에서 따왔다 실제로도 엘피스 맵 가장 북단에 위치한다. 또한 마지막 지역의 명칭인 울티마 툴레도 하이퍼보리아의 라틴어 명칭이다. == 관련 문서 == * [[초고대문명]] * 벨리카야 타타리아(Великая Тартария) * [[고조선]](古朝鮮, Kojosŏn, Gojoseon) * 휘페르보레아 * [[아틀란티스]] * [[뮤 대륙]] [[분류:그리스 로마 신화/장소]][[분류:크툴루 신화/지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