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중국의 관광지]][[분류:전국중점문물보호단위]][[분류:중국의 문화재]][[분류:사당]][[분류:관우]] [include(틀:관우)] {{{#!wiki style="margin:0px;margin-top:0px;margin-bottom:0px;padding:0px" ||<:><#CC0000> [[파일:전국중점문물보호단위_4.png|width=65px]] ||<-2><:><#CC0000> {{{#gold {{{+1 '''전국중점문물보호단위'''}}} [br] 全国重点文物保护单位[br]중화인민공화국 국무원 공포}}} || ||<#ffffff><-3>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윈청 중국.jpg|width=100%]]}}} || ||<-3>[include(틀:지도, 장소=Haizhou Guandi Temple,높이=250px, 너비=100%)]|| ||<:><|4><#CCC>명칭 || 한국어 || 하이저우 관제묘 || || 간체 || 解州关帝庙 || || 번체 || 解州關帝廟 || || 영어 || Haizhou Emperor Guan Temple || ||<:><#CCC>분류 ||<-2> 고건축 및 역사기념건축물[br](古建筑及历史纪念建筑物) || ||<:><#CCC>시대 ||<-2> [[청나라|청]] || ||<:><#CCC>일련번호 ||<-2> 3-0130-3-078 || ||<:><#CCC>주소 ||<-2> [[중화인민공화국]] [[산시성(산서성)|산시성]] [[윈청시]] 옌후구 쉐저우진 우이루145호[br]山西省运城市盐湖区解州镇五一路145号 || ||<:><#CCC>등재 ||<-2> [[1988년]] || ||<:><#CCC>차수 ||<-2> 제3차 전국중점문물보호단위 || ||<:><#CCC> 국가 지정 명승지 등급 ||<-2> AAAA급 ||}}} [목차] [clearfix] == 개요 == [[산시성(산서성)|산시성]] [[윈청시]]에 위치한 [[관우]] 사당. 세계 최대의 관우 사당이며 동시에 관우의 고향인 윈청에 있기 때문에 급도 제일 높다. 또한 읽는 법도 특이한데, 解는 통상적으로는 jiě로 읽지만 여기서는 hài로 읽으며 이 관제묘가 있는 쉐저우진도 xiè라는 예외독음으로 읽힌다. == 역사 == [[589년]], [[문제(수)|수 문제]]에 의해 세워진다. 당시에는 작은 사당이었지만 후에 [[1014년]], [[진종(송)|송 진종]]와 [[철종(송)|송 철종]]에 의해 확장된다. 철종은 이로 끝내지 않고 당시 이름이었던 관묘(关庙)에서 숭녕궁(崇宁宫)으로 이름을 개명시킨다. 이러한 확장은 이후에도 지속되어 [[세종(금)|금 세종]]이 정전을 수리하고 직접 친서를 봉헌하였으며 [[장종(금)|금 장종]] 역시 관제묘를 중건하고 중수관묘기(重修关庙记)를 집필하여 봉안한다. [[쿠빌라이 칸|원 세조]]는 관제묘 동측에 정원을 조성하였으며 [[성종(원)|원 성종]]시기 한 번 불탔다가 다시 재건한다. [[명나라]] 시기까지 지속적으로 확장되었고, 이런거 좋아하는 [[가정제]] 시기에 가장 크게 증축되어 현재의 관제묘의 틀은 거의 다 가정제 시기에 만들어진다. [[1702년]]에 화재로 전소되었고 10여년 뒤에 재건된다. [[중화민국]] 건국 이후에는 크게 훼손되었는데, 그 이유는 청말부터 이어진 치안의 악화와 더불어 당시 군벌이 난립하면서 관제묘를 관리할 돈도 시간도 없어졌기 때문이다. 이미 중화민국이 건국된 시점에서 관제묘는 사실상 황폐화되었으며 결국 [[위안스카이]]가 직접 관악묘(关岳庙) 재건령을 내리고 중건을 시작한다. 그러나 돈이 없어서 재건은 한동안 하지도 못 하다가 [[1919년]]에서야 겨우겨우 삽을 파서 [[1922년]]에 어느 정도 재건을 한다. 그러나 [[중일전쟁]] 발발 이후 [[일본군]]의 약탈을 당해 다시 훼손되었으며 [[국공내전]] 시기에는 군 병영으로 쓰이는 등, 관리가 아주 처참하게 되어 있었다. [[중화인민공화국]] 건국 이후 이러한 대규모 약탈은 없었지만 그렇다고 특별히 관리도 안 했으며[* 애초이 이 시절의 관제묘는 이미 다 털리고 껍데기만 남아서 약탈할 거리도 없었던데다가 당시 중국이 [[문화대혁명|뭘 했는지]] 생각 해 보면 관리따위 할 상황도 아니었다.] 본격적인 관리는 [[1975년]]이 되어서야 시작된다. 당시에 전란으로 불탔던 전각들을 중건하고 [[1978년]]에 관광지화 시켰으며 [[1988년]]에 전국중점문물보호단위로 지정한다. == 건축물 == || '''사진''' || '''설명'''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관묘 결의원 정자각.jpg|width=100%]]}}} ||'''결의정(结义亭)'''[br]입장하면 가장 먼저 보이는 건축물로, 이름 그대로 [[도원결의]]에서 따 왔다. 결의정 둘레에는 정원이 꾸며져 있는데, 이 정원은 결의원(结义园)이라고 부른다.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KakaoTalk_20211026_090526901_03.jpg|width=100%]]}}} ||'''치문(雉门)'''[br]관제묘의 정문으로, 3칸으로 지어졌다. 관제묘 현판이 달려있으며, 3문 중 동문은 문경문(文经门), 서문은 무위문(武纬门)으로 칭하고 각각 문인과 무인이 지나가는 문으로 사용되었다.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하이저우관묘 오문.jpg|width=100%]]}}} ||'''오문(午门)'''[br]치문 안에 있는 5칸짜리 문으로, 문 안에는 [[주창]]과 [[요화]]의 초상화 및 관우의 삶을 반영한 그림이 그려져있다.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중국 윈청.jpg|width=100%]]}}} ||'''어수루(御书楼)'''[br]오문을 들어가면 보이는 누각으로, 관우 및 [[제갈량]]에 관한 서적을 보관하는 누각이다.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하이저우관묘 숭녕전.jpg|width=100%]]}}} ||'''숭녕전(崇宁殿)'''[br]관제묘의 정전으로, 7칸으로 지어져 있고 정전 앞에는 운룡(云龙)금주가 세워져 있고 해당 주감에는 [[강희제]]가 쓴 서필 의병건곤(义炳乾坤)이 새겨져 있다. 또한 [[건륭제]]가 직접 쓴 신용(神勇) 현판이 걸려있다.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윈청 중국.jpg|width=100%]]}}} ||'''인경각(麟经阁)'''[br]관제묘의 숙궁(寝宫)으로, 정면에 존재하는 패루인 천추방(千秋坊)이 유명하다. 동서로 각각 인루(印楼)와 도루(刀楼)가 있는데, 인루에는 '''한 수정후(汉寿亭侯)'''[* 관우의 작위명]라고 새겨진 인장이, 도루에는 [[청룡언월도]] 복사본이 존재한다. ||